-
러시아 유아용 기저귀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1. 30. 21:44반응형
러시아 유아용 기저귀 시장동향
2017-11-30 권민정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러시아 정부의 출산지원정책 기반으로 기저귀 수요 성장세 -
- 고품질 중저가 아시아 제품의 수요 확대 기대 -
□ 러시아의 기저귀 사용 문화
ㅇ 최근 러시아 내 삶의 질,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유아용품시장 또한 이러한 추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유아용 음식, 장난감 그리고 위생용품은 부모들의 큰 관심사임. 해당 분야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성장을 보인 품목으로는 일회용 기저귀를 꼽을 수 있음.
- 러시아에서는 평균적으로 2세까지 기저귀를 착용하며, 유치원에서도 해당 시기까지만 기저귀 착용을 허락하기 때문에 3~4세까지 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음. 또 대다수의 부모가 밤, 산책, 외출 등의 경우에만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며, 온종일 착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더불어 기저귀를 구매하는 부모의 약 25%는 모슬린, 플란넬 등의 소재로 만들어져 재사용이 가능한 기저귀를 선호함. 이러한 이유로 일회용 기저귀는 취침 등 특정한 경우에만 사용함.
기저귀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별 분류
(단위: 천 명)
연령
합계
남성
여성
-
146,804
68,044
78,760
1세 미만
1,880
966
914
1~4
7,702
3,958
3,744
5~9
8,558
4,389
4,169
10~14
7,408
3,791
3,617
15~19
6,690
3,418
3,272
20~24
7,828
3,993
3,835
25~29
11,879
6,035
5,844
30~34
12,537
6,270
6,267
35~39
11,194
5,505
5,689
40~44
10,381
5,008
5,373
45~49
9,280
4,439
4,841
50~54
9,835
4,545
5,290
55~59
11,155
4,947
6,208
60~64
9,610
3,964
5,646
65~69
7,637
2,942
4,695
70세 이상
13,230
3,874
9,356
주: 1) 2017년 1월 1일 조사, 2) 자료원: http://www.statdata.ru/nasel_pol_vozr
□ 정부의 출산 지원으로 유아용품 호조
ㅇ 'Discovery Research Group'에 따르면, 러시아의 유아용 기저귀 시장의 규모는 약 350억 루블로 추정됨. 2016년 러시아의 기저귀 시장은 판매액면에서 37%, 판매량면에서는 20% 증가했음.
2016년 유아용품 품목별 증감률
(단위: %)
주: 1) 판매액 기준, 2) 자료원: https://www.openbusiness.ru
2016년 유아용품 품목별 증감률
(단위: %)
주: 1) 판매량 기준, 2) 자료원: https://www.openbusiness.ru
ㅇ 전문가들은 시장의 성장에 대해 세 가지 요인을 언급함.
- 첫 번째 요인은 정부의 출산 지원 정책에 따른 출산율 증가로, 두 명 이상의 다자녀 가정이 증가했다는 점임.
- 러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의 출산율은 2000년에 비해 50% 증가했고 이는 유아용품 시장의 수요 확대로 이어졌음.
ㅇ 두 번째 요인으로는 수입대체 정책에 따른 러시아 산업부와 통상부의 '유아용품' 지원정책을 꼽을 수 있음.
- 해당 정책의 내용으로는 대출 이자에 대한 지원, 대출금 납입에 대한 변제, 제품 홍보에 대한 정보 지원 등이 있음.
ㅇ 세 번째 요인으로는 유아용품 구매에 돈을 아끼지 않는 러시아인의 소비 성향을 꼽을 수 있음.
□ 러시아 기저귀 시장동향
ㅇ 2016년 기저귀 시장의 가격 성장률은 6~14%가량으로 추정됨. 이는 전년 대비 20%가량 가격이 상승한 2015년에 비해 낮은 수치임.
- 2015년의 가격변화는 환율 변동의 영향으로, 대다수의 생산기업이 러시아 내에 위치했지만 원재료가 수입산이었기 때문에 큰 변화가 있었음.
ㅇ 러시아 시장 내 기저귀는 가격대별로 프리미엄, 중가형, 저가형으로 나눌 수 있고 시장 내 선두 생산기업들은 다양한 가격대의 상품을 모두 생산함.
- 가장 인기가 높은 제품은 품질과 가격을 모두 적당히 만족시킬 수 있는 중간 가격대의 상품임.
- 러시아의 Megareserch사에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0~3세의 유아를 키우는 부모들은 자신들의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좋은 기저귀를 사고자 함. 러시아 내 유아용 기저귀 보급률은 약 80%로 매우 높은 편임.
제품별 소매가격
제품사진
제품명
무게(유아 체중 기준, kg)
개수
가격 (루블)
4~9
78
837
7~18
68
894
Huggies Classic
11~25
58
837
3~6
88
800
5~9
80
1,300
8~14
66
1,400
Premium Care
5~9
120
1,720
Premium Care
2~5
88
950
Care pants
12~18
60
2,200
Pampers Sleep&Play
4~9
100
1,100
PAMPERS Active Baby
5~9
150
2,200
PAMPERS Active Baby
9~16
74
1,400
Merries
4~8
82
1,450
Merries pants
6~10
58
1,400
Merries pants
12~20
44
1,300
Helen Harper
7~18
84
1,200
Helen Harper
3~6
78
900
Mepsi
3~6
60
620
Mepsi
6~11
42
600
주: 1달러=58.4622루블(2017년 11월 24일 러시아 중앙은행 기준)
자료원: www.market.yandex.ru
ㅇ 러시아 기저귀 시장 내 유력 해외생산기업은 Kimberly-Clark(Huggies), P&G(Pampers) and SCA(Libero)로, 해당 상위 3개 기업기 시장 내 85%를 점유함. 또한 이 기업들은 러시아 내 생산공장을 소유하고 있음.
- P&G(Pampers): 툴라 지역
- Kimberly-Clark(Huggies): 모스크바 지역
- SCA(Libero): 툴라 지역
□ 아시아 기업의 러시아 시장진출 모색 및 시장 전망 ㅇ 지난 5~7년 동안 일본의 Kao Corporation(Merries)사가 경쟁에 참여했음. 2017년 11월 현재 해당 회사의 점유율은 크지 않지만, 성장세를 고려했을 때 성장 전망이 높고 실제로 인기가 높은 편임.
- 많은 아시아 브랜드가 시장에 진입했으며, Kao Corporation사 등의 아시아 기업 상품 대부분은 인터넷을 통해 판매되고 있고 대형마트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ㅇ Nielsen research company의 조사에 따르면, 총 기저귀 판매량의 약 38%가 전문 인터넷 상점을 통해 판매됨.
- 2~3년 전까지만 해도 인터넷 판매는 약 7%에 불과했음. 2010년의 조사결과와 비교해보면 기저귀 판매량의 53%가 슈퍼마켓을 통해 이루어졌고 25%가 시장, 15%가 약국 및 전문 상점, 그리고 7%가 노점에서 판매됐음.
ㅇ Nielsen사의 디렉터 Ms. Marina Lapenkova는 러시아 시장 내 대부분의 구매자가 외국제품과 세계적인 브랜드를 선호한다고밝힘.
- 국산품을 선호하는 구매층은 응답자 중 17%에 불과했고, 조사 응답자들은 기저귀를 고를 때 가격과 품질의 적합성을 가장 주요한 결정 기준이라고 밝힘.
ㅇ 다음은 온라인 상점에서 실시한 유아용 기저귀 브랜드의 선호 순위임.
유아용 상점에서의 브랜드별 수요
자료원: http://www.malysh-krepysh.ru
ㅇ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기저귀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지 않았고 시장의 성장은 인구 증가와 소비문화의 발전에 달려있다고 전망함.
□ 시사점
ㅇ 일본산 기저귀가 인기를 끌었지만 후쿠시마 대지진 이후 소비자들이 다른 아시아 기업을 찾고 있음.
- 이전에도 외국제품은 저렴하지 않았지만 루블화가 두 배 가까이 하락한 이후에는 특히 가격대가 높아졌음. 결과적으로 러시아구매자들은 비슷한 품질의 제품 중 가장 저렴한 아시아 제품을 찾고 있음.
ㅇ 2017년 11월 현재 러시아 시장 내에는 한국 및 중국 제품이 이미 진입해 있지만, 작은 전문상점이나 온라인 상점을 통해서만 판매되고 있음. 전체 시장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매우 낮고 연간 공급량 또한 매우 적음.
ㅇ 러시아 내에는 일본 제품과 비슷한 품질을 보유하면서 더욱 저렴한 한국산 기저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있음.
- 하지만 러시아 기저귀시장에서 우리 기업은 세계적인 거대 브랜드와의 경쟁, 러시아 시장 내 판매를 위한 인증절차(기저귀 제품은 GOST 52557-2011을 충족해야 함), 그리고 홍보 등의 해결과제에 직면하게 됨.
- 더불어 러시아 기업들은 최소주문물량(MOQ)을 작게 제안하는 업체를 선호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는 사항임.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키 이즈밀 메트로 II 건설프로젝트 입찰 (0) 2017.11.30 中 전기차 배터리 산업동향, 삼원계 부상 (0) 2017.11.30 서아프리카 내 금융 및 무역사기, 예방법을 알아보자 (0) 2017.11.30 [유망] 방글라데시 의약품 시장동향 (0) 2017.11.30 [전문가 기고] 몽골 통관의 종류, 절차 및 주의점 (0) 2017.11.30 [유망] 사우디 의약품 시장동향 (0) 2017.11.30 [전문가 기고] 베트남 사회보험법 짚어보기 (0) 2017.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