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글라데시 섬유 염색제 시장규모 확대World Wide 2017. 12. 6. 13:45반응형
방글라데시 섬유 염색제 시장규모 확대
2017-12-05 장재호 방글라데시 다카무역관- 최근 데님(denm) 생산 확대에 따른 효과 -
- 연간 10억 달러 시장규모 임박 -
□ 방글라데시 의류산업 현황
ㅇ 방글라데시 의류산업은 전체 GDP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로 세계 2위의 의류 수출국가임.
ㅇ 한국 기업에 의해 시작된 현지 의류산업은 최근 20년 동안 2000% 이상 규모가 늘어났으며 한국은 최대의 투자국임.
ㅇ 기존의 전통적인 섬유·봉제산업을 유지해 오다가 2012년, 2013년 봉제공장에서의 대규모 참사로 방글라데시의 열악한 의류봉제 산업은 각종 시설 기준 마련과 함께 구조조정을 통해 한 단계 발전하게 됨.
- 이의 일환으로 기존의 단순 CMT(Cut, Make, Trim) 위주의 노동집약산업에서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전환되고 있음.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데님(denim)으로, 정부에서도 집중투자하고 있음.
방글라데시 의류 수출규모
연도
수출액(백만 달러)
증감률(%)
2012
19,788.14
2.99
2013
23,500.98
18.76
2014
24,583.96
4.61
2015
26,602.7
8.21
2016
28,668.29
7.76
자료원: BGMEA(Bangladesh Garment Manufacturers and Exporters Association)
□ 섬유 염색제시장 확대
ㅇ 이러한 산업구조 조정 등으로 고부가가치 섬유제품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섬유 염색제의 수요도 크게 증가함.
- 대표적으로 데님 제품의 수출은 유럽시장에서 이미 중국을 능가하고 있음.
- 미국 시장에서는 중국, 인도에 이어 제3위의 수출국가인데 연간 수출액은 1억8600만 달러로 12.3% 시장점유율을 보임.
- 국가 전체적으로 25개의 데님 생산공장이 있으며 전 세계 시장점유율은 21.18%임.
최근 3년 데님 원단 수출증가 추이
연도
수출액(천 달러)
증감률(%)
2014
22,559
-
2015
24,271
7.5
2016
26,670
9.8
주: 해당 자료는 데님 의류가 아닌 원단에 한정된 통계임
자료원: Export promotion bureau of bangladesh
ㅇ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섬유 염색제 시장도 크게 확대되고 있는데, 연간 시장규모가 10억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음. 이러한 상황을 해외 기업들이 예의 주시하면서 자신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전력하고 있음.
- 미국에 본사를 둔 H사는 방글라데시에서 200개의 섬유 및 염색제 공장과 거래를 하고 있는데 매년 16% 이상 성장하고 있음.
섬유 염색제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Synthetic Organic Coloring Matter(합성유기색소)
328,012
338,348
361,093
Organic surface-avtive agents(유기표면 활성제)
79,729
95,843
95,106
Finishing agents, dye, carriers, etc(마감제 등)
109,383
113,966
132,923
자료원: Bangladesh bank
□ 시사점
ㅇ 방글라데시 데님산업에 대한 투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 세계적으로도 2020년까지 640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임. 이와 관련된 섬유 염색제 시장의 확대는 지속될 것임.
ㅇ 특히 한국은 방글라데시의 섬유산업을 태동시킨 국가이자 아직도 100개 이상의 한국 봉제기업의 생산기지인 만큼, 이러한 현지의 섬유산업 구조 개편에 맞추어 섬유 염색제 등 관련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확대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헝가리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0) 2017.12.06 유라시아경제연합 통합 세관법 2018년 1월부터 발효 (0) 2017.12.06 러시아 광물산업개발 설비기계 시장동향 (0) 2017.12.06 모잠비크 의료용품 시장진출,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 (0) 2017.12.06 동아프리카 프로젝트 플라자 2017 참관기 (0) 2017.12.06 방글라데시, 핵심인프라 구축을 위한 PPP 제도 도입 현황 (0) 2017.12.06 [전문가 기고] 우크라이나 겨울 유채 영농환경 분석 (0)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