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카자흐스탄의 지역별 산업 특징 및 트렌드
    World Wide 2019. 7. 18. 16:39
    반응형

    카자흐스탄의 지역별 산업 특징 및 트렌드

    2019-07-16 이선호 카자흐스탄 알마티무역관

    - 지역별 산업특징이 뚜렷. 서부는 석유·가스, 동부는 광산업, 남동부는 종합 제조업 -

    - 카자흐 정부, 비자원 분야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 수립 -

     

     

     

    □ 지역별 주요 산업

     

      ㅇ 카자흐스탄은 크게 6개의 지역으로 나뉘는데, 지역별로 산업특성이 다양함.

        - 최대 도시 알마티를 중심으로 한 동남부지역, 러시아와 가까운 북부지역, 중국 및 몽골과 인접해 있는 동카자흐스탄지역, 스텝이 펼쳐진 중부지역, 우즈베키스탄과 인접한 남부지역, 카스피해 쪽의 서부지역 등

     

    카자흐스탄의 지역별 산업 구조

    자료: info.kz

     

      ㅇ 우스트카멘노고르스크가 위치한 동부지역은 석탄 채굴업, 전략산업, 비철 야금공업, 중공업 등이 발전돼 있음. 전문가들은 동부지역이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덜하고 광업 개발 프로젝트들이 예정돼 있어 투자 잠재력이 높다고 보고 있음.

     

      ㅇ 카자흐스탄 최대도시 알마티가 위치한 동남부지역은 식품산업, 의약품산업, 일반기계, 물류업 등 다양한 산업이 비교적 골고루 발달돼 있음.

        - 아울러 중국과 인접해 있어 물류수송에 용이하고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향 철도가 지나가는 길목에 위치해 유리한 조건임.

     

      ㅇ 파블로다르, 페트로파블 등이 위치한 북부지역은 러시아와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물류에 유리하고 보크사이트, 철광석 채굴업 등이 발달돼 있음. 아울러 카자흐스탄 밀의 최대 생산지로서 농업산업이 활발함.

     

      ㅇ 대표적인 석유도시 악토베, 아트라우가 위치한 서부지역은 카자흐스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큼. 자원의 보고라 불리는 카스피해 인근지역에 위치해 가스, 오일산업이 크게 발달돼 있음. 

     

      ㅇ 쉼켄트, 크즐오르다 등의 도시가 위치하며 인구 밀집지역인 남부는 정유산업, 식품산업, 화학산업, 금채굴업, 농업 등이 대표 산업임.

     

    □ 카자흐스탄 산업의 수입의존도

     

      ㅇ 카자흐스탄 통계청에 따르면 상반기 카자흐스탄의 경제성장률은 전년대비 4% 성장을 달성했는데, 특히 자동차산업, 경공업 등이 전년대비 크게 성장함.

        - 전년대비 자동차산업은 45.8%, 경공업은 27.4%, 기계공학산업 19.8%, 광업 14.1%, 정제산업 9.1%, 건설산업 8.4% 성장

        - 동부지역의 여러 프로젝트들이 긍정적인 성과를 도출하며 경제지표에 영향을 끼침.

     

      ㅇ 이러한 긍정적인 지표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카자흐스탄 산업의 수입의존도는 높은 편임. Kursiv.kz의 조사 결과, 작년 카자흐스탄이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1위가 휴대폰 및 통신장비, 2위는 의약품, 3위는 파이프 및 밸브, 자동차 건설기기 등이었음.

     

      ㅇ 수입의존도는 일반기계 및 수송장비가 40%, 화학제품 16.3%, 금속제품 12.2%, 축산물 11% 등이었음. 일부 소비재들은 품목에 따라 수입 의존도가 90%를 상회하기도 함.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정책적인 지원을 펼치고 있음. 특히 비자원 분야의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으나 아직까지 성과는 미진한 편임.

        - 카자흐스탄 내 공장설비투자도 단순 조립공장 투자에 그치고 있음.

     

    □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정책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자국산업 육성을 위해 여러 정책을 수립했는데 국내기업들에 세금면제, 대출지원, 관세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 중임.

     

      ㅇ 장기간 지원정책으로는 기술 구매를 위한 보조금 지원,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저리대출 등이 있음. 국산 제품의 수출확대를 위해 무역보험 등의 제도도 도입하기 시작함.

     

      ㅇ 국내 제조기업들을 위한 세금면제 제도에 가장 큰 예산이 할당돼 있으며, 카자흐스탄 재무부 산하 국가예산위원회가 이를 담당함.

     

      ㅇ 정부는 2024년까지 매년 3600억 텡게의(약 9억3740만 달러)예산을 국내기업 지원에 투입 예정임. 이는 보조금 지급, 저리의 대출제공, 투자 등에 사용될 것임. 

     

      ㅇ 정부의 목표는 자국기업의 생산력을 증가시키고 Made in Kazakhstan의 제품 품질을 개선시켜 수출을 확대하는 것임. 기존 자원 의존형 경제에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음.

     

      ㅇ Kazakh Invest, Development bank of Kazakhstan, DBK Leasing, Science Foundation, NATR, Nadlok 등의 공공기관에서 카자흐스탄 산업육성을 위해 자금을 지원할 예정

     

    □ 산업인력 육성을 위한 ‘Bolashak’ 국가 장학프로그램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Bolashak 국가 장학프로그램을 통해 인력양성에 힘쓰고 있음. 카자흐스탄어로 미래를 의미하는 Bolashak 프로그램은 매년 뛰어난 수재들을 뽑아 해외에서 교육을 시키고 있음.

     

     

      ㅇ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유수의 대학교들을 졸업한 졸업자 수는 9000명이었는데, 그중 40%인 3500명이 기계공학 및 전기공학 분야에 취직함. 

     

      ㅇ 나머지 5500명은 개인사업, 정부기관, 학계에서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Bolashak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전문가들을 양성하는 것으로써 해외에서 석사, 박사과정 취득 시 등록금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세계의 명문대학교에서 인턴십이나 연구직으로 근무할 시 필요한 자금을 저리로 대출을 받을 수도 있음.

        - 다만 학사는 지원이 되지 않으며, 자격조건은 카자흐스탄 국민으로서 최근 12개월 내 2년 이상 근무경험이 있어야 함. IELTS 시험결과는 5.5 이상에 학점도 4.33 만점 중 3.3을 충족해야 신청 가능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미래 먹거리산업인 제조업 육성에 힘쓰는 한편, 해당 분야 인재양성에도 노력을 가할 것임.

     

    □ 정부의 대표 육성산업: 농기계 제조업

     

      ㅇ 외국인 투자유치 공기업인 Kazakh Invest는 투자유망 분야를 선정해 외국자본과 기술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 중임.

        - Kazakh Invest는 상당한 수요가 있으면서 수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품목들을 지정함. 농업과 농기계는 그 중 하나임.

     

    Kazakh Invest가 선정한 투자유망 분야

    자료: Kazakh Invest

     

      ㅇ (선정 배경) 카자흐스탄은 농지가 넓고 농업에 유리한 환경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어 발전잠재력은 크지만 농기계 보급률이 낮고 자동화율이 떨어져 생산력은 낮은 편임.

     

      ㅇ 농기계는 벨라루스, 러시아, 중국산 제품들이 많이 수입됨. 카자흐스탄에서 농기계를 생산하는 기업은 거의 없고 존재하는 국내기업조차 조립식 공정이 대부분이어서 핵심 부품들은 수입에 의존

     

    카자흐스탄 농기계 시장

    (단위: 백만 달러)

    자료: Kazakh Invest

     

      ㅇ 농기계 중 수요가 많은 제품은 프론트로더, 크롤러 굴착기, 백호 로더, 불도저, 트랙터 등임. 

     

      ㅇ 카자흐스탄 국영TV인 Habar사는 한국의 종합상사인 H사가 투르키스탄주에 트랙터 생산공장에 투자할 예정이라 보도함. 카자흐스탄 정부는 생산설비공장 건설을 위한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지원하겠다고 답변

     

    □ 정부의 대표 육성산업: 전력 케이블산업

     

      ㅇ 정부는 전력 케이블의 국산화를 위해 여러 지원을 제공 중에 있음.

     

      ㅇ 카자흐스탄은 전력망 현대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노후화된 전력발전소를 교체하고 전력 송전망 현대화 계획을 가지고 있음.

     

      ㅇ 케이블, 배선제품, 고선압 장비들의 수입 의존율은 약 70%로 대부분을 러시아 및 중국에서 조달

     

    전력 케이블 수입의존도

    자료: kazakh invest

     

    카자흐스탄에 진출한 주요 전력 케이블 생산업체 & 유통업체

     

    업체명/생산 & 수출

    1

    Alageum Electric JSC

    2

    KEMONT JSC

    3

    Agromashholding JSC

    4

    Kazcenterelektroprovod LLP

    5

    KAINAR ABK LLP

     

     

    업체명/유통 & 수입

    1

    NKB Group LLP

    2

    SpetsAgroTech Trade LLP

    3

    Baikonur Machinery LLP

    4

    KOMEK Machinery LLP

    5

    Allur Auto LLP

    자료: yandex.kz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전력 그리드망 구축 및 전력망 현대화 차원에서 2030년까지 11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임. 아울러 2만 5000㎞에 달하는 송전망을 현대화시키고 국산제품으로 대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 정부의 대표 육성산업: 광산·석유 생산설비, 부품 등

     

      ㅇ 석유, 가스 등의 천연자원은 카자흐스탄 경제에서 분리할 수 없는 부분으로 국가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ㅇ 2014년 이후 카자흐 정부에서 비자원 정책 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지만 자원 분야 또한 외국인 투자 확대와 생산설비 확충을 위해 노력 중임.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카스피해에 위치한 텡기즈 유전과  Karachakanakskoye 유전을 확대할 계획을 지니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예정

     

      ㅇ 현재 대부분의 생산설비는 수입되지만 일부는 국내에서 생산됨. 대표적인 기업은 페트로파블로브스크에 위치한 Petropavlovsk Plant이며, 알마티에 위치한 Almaty Plant는 야금설비, 광산장비, 석유추출설비 등을 생산함.

     

    □ 시사점

      

      ㅇ 석유 및 가스 수출로 2000년대 평균 9~10%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던 카자흐스탄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 2014년 환율 폭락, 저유가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경제가 침체됨.

     

      ㅇ 이후 카자흐 정부는 자원중심 경제성장의 한계를 실감하고 제조업을 포함한 비자원 분야 육성을 위해 여러 정책들을 내놓고 있음. 

     

    카자흐스탄 산업의 SWOT 분석

    S

    W

    ㅇ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강한 의지

    ㅇ 기업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ㅇ 시장 규모의 증가

    ㅇ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

    ㅇ 부족한 산업전문가와 기술

    ㅇ 불리한 물류

    O

    T

    ㅇ 물류 인프라 개선에 따른 중앙아시아 시장 확대 가능성 존재

    ㅇ 꾸준한 경제성장과 높은 인구 성장률

    ㅇ 불안한 내부 정치

    ㅇ 중국, 러시아 제품의 저가공세

    ㅇ 달러 환율 문제

     

      ㅇ 하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불가하고 현지 생산 수준이 글로벌 수준을 따라가기엔 아직까지 어려워 보임.

        - 카자흐스탄 정부는 전력망 현대화, 농업 생산력 증대, 기타 종합제조업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지만 자본과 기술이 부족해 아직까지 큰 성과는 없음. 아울러 러시아에서 무관세로 들어오는 저렴한 제품들로 인해 자국산업이 발전하기 어려운 형국임.

     

      ㅇ 카자흐스탄에 투자 진출한 한국의 A사는"현지 제조업 수준이 낮아 부품의 현지조달이 불가하고 대부분은 한국에서 반입해서 현지에서는 조립만 하는 식"이라 밝힘.

     

      ㅇ 카자흐스탄에 투자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은 진출 전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해 현지 사정을 면밀히 검토해야 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