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티오피아 인프라 프로젝트 사업의 미래World Wide 2017. 1. 11. 19:54반응형
에티오피아 인프라 프로젝트 사업의 미래
2017-01-11 단성화에티오피아아디스아바바무역관- 에티오피아 정부 제2차 5개년 개발계획(GTP-II) 일환 대규모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발표 -
- 구체적 예산편성 및 계획 없이 ODA, FDI, Soft Loan에 의존 및 세부 사업계획 미비 -
□ 기본정보
ㅇ 에티오피아 정부의 제2차 5개년 개발계획(GTP-II)에 따른 부처별 세부 사업계획 수립
ㅇ 제조업, 부가가치 증진을 목표로 국가기반 인프라 및 대형 프로젝트 사업계획 발표
ㅇ 기존 르네상스 댐 건설 등 대규모 예산 소요사업이 진행 중이라 예산 확보 난항
□ 주요 인프라 구축 사업 계획
ㅇ 전력 발전 인프라 건설사업
- 에티오피아 GCC(Global Climate Change) 회원국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장려
- 단, 정부 예산 부족으로 IPP 사업자 유치 중점
EEP 주요 발전사업 목록
No
Type of Generation
Site Name
Generation Capacity (MW)
Generated Energy (GWh)
Modality
Period
1
Hydro
Power
Gebba 1 & 2
372
1709
IPP
2020
2
Genale 6
246
1532
IPP
2020
3
Hallellie Werabessa
436
1973
IPP
2020
4
Chemoda Yeda 1 & 2
280
1089
IPP
2020
5
Tamis
1700
5760
IPP
2020/2021
6
Birbir
467
2724
IPP
2020/2021
7
Karadobi
1600
7857
Government
2023
8
Bekko Abbo
935
6632
Government
2024
9
Upper Mendoya
1700
8582
Government
2025
10
Barro 1, 2 & Genjji
859
3524
Government
2025
11
Upper Dabus
326
1460
Government
2020/2021
12
Gibbe 4 & 5
2132
8051.3
Government
2020/2013
13
Genale 5
100
575
Government
2020/2021
14
Wabbi Shebelle
87
691
Government
2020/2021
TOTAL
11,240
52,159.3
1
Geothermal
Allotto 2
70
552
Government
2018
2
Korbetti 1
200
1577
IPP
2018
3
Korbetti 2
100
788
IPP
2019
4
Tullumoya/Abaya
200
1577
IPP
2020
5
Korbetti 3
200
1577
IPP
2022
6
Tullumoya/Abaya
200
1577
IPP
2022
7
Other Sites
300
2365
IPP
2022
TOTAL
1270
10,013
1
Wind
Aysha
420
918
Gov. & IPP
2016 & 2018
2
Ettaya 2
200
312
IPP
2016
3
Dilla
100
306
IPP
2017
4
Mega Majji
100
306
IPP
2019
5
Sululta
100
306
IPP
2019
6
Debre Birhan
100
306
Government
2017
7
Ettaya 1 1st Phase
100
306
Government
2017
8
Jigjiga
200
635
Government
2019
9
Zebider
100
306
Government
2020
10
Hagere Selam
100
306
Government
2020
TOTAL
1520
4285.8
1
Solar
Metehara
100
175
IPP
2016
2
Site not Decided
100
175
IPP
2017
3
Site not Decided
100
175
IPP
2017
TOTAL
300
525
1
Reserve
Various Sites
420
2940
Gov. & IPP
2017-2019
ㅇ 신규 고속도로 건설사업
- GTP-II에서 전국 고속도로 확충 노력
- 정부 예산 부족으로 World Bank, AfDB, China EXIM Bank 등의 Soft Loan 활용
- 한국 수출입은행 EDCF 자금으로 일부 구간 건설 지원
구간
Lane
길이
진행상황
참고사항
Addis~Adama
6차선
완료
GTP-I 중점사업
Modjo~Hawassa
4차선
건설 진행 중
GTP-II 중점사업
Adama~Awash~Miesso
202km
GTP-II 중점사업
Miesso~Dire Dawa
4차선
160km
F/S 진행 중
GTP-II 중점사업
Awash~Semera~Elidar~Djibouti Boder
533km
GTP-II 중점사업
Addis~Jimma
345km
GTP-II 중점사업
ㅇ 사업 기회
- 대규모 인프라 건설사업에서 중국/유럽 등의 건설사들과 국제입찰을 통한 경쟁이 쉽지 않음.
- 한국 수출입은행 EDCF 2018년까지 5억 달러 지원 약속 및 향후 추가 지원 예정
- EDCF 자금 활용한 인프라사업(고속도로 건설, 우물개발사업, 대학지원, R&D 사업 등) 관심
- IPP 사업 참여, EDCF 소액차관 통한 Pilot 프로젝트 개발 등 가능성 있음.
□ 시사점/진출방안
ㅇ 가능성 있는 분야에 선제적으로 F/S 등을 통한 사업 개발 필요(한국정부/기관 지원자금 있음)
ㅇ 프로젝트의 가장 큰 난관이 파이낸싱이므로, 이 계획까지 포함한 Proposal 만들어야 함.
ㅇ 담당기관, 유관기관, 진출기업, KOTRA 통해 사업계획 정보 선제적 입수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제재대상자 명단 확인 안내 (0) 2017.01.11 중국인을 사로잡은 마스크팩은? (0) 2017.01.11 중국, 모로코 유럽-중동-아프리카 진출 플랫폼화 계획 (0) 2017.01.11 방글라데시, 지고지난한 재선적(shipback)의 길 (0) 2017.01.11 홍콩, 조류독감 이유로 한국산 가금류 일부 수입 중단 (0) 2017.01.11 카자흐스탄 현지에서 바라본 2017년 수출 전망 (0) 2017.01.11 불황을 모르는 브라질 장난감·비디오게임사업 (0) 2017.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