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루미늄 압출제품, 캐나다 진출 확대World Wide 2017. 1. 19. 14:18반응형
알루미늄 압출제품, 캐나다 진출 확대
2017-01-19 조준형캐나다밴쿠버무역관- 중국산 반덤핑관세 규제 이후 한국 제품 관심 증가 -
- 압출제품 품질이 최대 관건 -
□ 캐나다 알루미늄 압출제품 시장 개요
ㅇ 알루미늄 압출제품 정의
- 알루미늄 압출제품이란, 순 알루미늄 원자재에서 건축 및 산업용 알루미늄 제품에 이르기까지 완성된 도면을 토대로 금형 제작, 절단 및 정밀 가공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을 말함.
- 알루미늄 압출 가공의 특징은 기술적으로 한 번의 가공으로 어떠한 형상의 제품이든 생산 가능한 것이며,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방식인 반면, 설비 투자가 적음.
-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알루미늄 압출 소재를 구축하는 것을 주로 말하며, 주요 합금은 A6063 모델을 사용함.
- A6063 모델 외, 캐나다 내 많이 사용되는 모델은 A6061이며 주로 커튼월(Curtain Wall), 실내 및 실외 장식과 건물 구조를 구축, 건물의 문과 창틀에 주로 사용됨.
커튼월(Curtain Wall) 활용 사례
자료원: UNICEL Architectural
ㅇ 캐나다 내 알루미늄 압출제품 모델에 따른 용도 및 분류
- A6009: 주로 자동차 플레이트에 사용함.
- A6010: 자동차 자체 구축 및 제조 시 사용
- A6061: 구조적 산업의 모든 종류에 사용되며, 가공 제조 트럭, 타워 건물, 선박, 트램, 가구, 기계 부품, 정밀튜브, 로드, 바 등의 특정 강도, 용접성 및 부식에 대한 높은 저항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됨.
- A6063: 산업용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 건출 프로파일, 관개 파이프와 차량 및 랙, 가구, 펜싱 등을 위한 압출 재료
- A6066: 단조 및 용접 구조 압출 재료
- A6070: 무거운 용접 구조 및 재료와 파이프 압출에 사용. 주로 자동차 산업, 고강도 바, 도전 및 냉각 장치 등으로 사용
ㅇ 캐나다 내 건축 프로젝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현지 알루미늄 압출제품 생산 및 수입 시장 트렌드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 철강,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경량화되며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압출제품이 건축자재 시장에 많이 출시 및 판매되고 있음.
- American Metal Market사에 의하면, 최근 알루미늄으로 만든 나무 재질 자재가 건축에서 나무를 대체하고 있다며, 알루미늄 압출제품이 건설자재로 다양하게 쓰이며 각광받고 있다고 언급
· 북미 KFC, Wendy’s 등의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에서 건축자재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음.
ㅇ Bloomberg사에 의하면, 주요 경쟁국인 중국의 2016년 알루미늄 및 관련 제품들의 수출량이 전년동기대비 7% 감소함. 시장 관계자들은 중국 내 알루미늄 가격 상승이 수출 감소의 주 요인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차후에도 감소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 중임.
- 또한, 2013년 10월경 캐나다 관세청 및 출입국사무소(CBSA: Canadian Border Services Agency)에서 최종 발표한 중국산 반덤핑 관세 규제에 따라, 현지 경금속 업체 및 관련 구매담당자들은 한국산 제품 쪽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추세임.
- 2013년 10월 이후 수입규제가 적용되는 알루미늄 압출제품의 HS Code는 아래와 같으며 알루미늄 봉, 파이프, 튜브, 틀, 벽 등이 포함됨.
자료원: 캐나다 국경관리청
□ 캐나다 바이어의 알루미늄 압출제품 구매 특성
ㅇ 캐나다 소비자의 건축자재 및 알루미늄 압출제품의 관한 설계도면, 디자인 등은 미국 소비자들과 흡사한 모습이지만, 내구성과 정밀가공을 더 중시함.
ㅇ 캐나다 현지 다수의 건축업체들은 자체 생산을 함과 동시에 A6061, A6063 등의 압출제품은 해외 수주처로부터 발주를 받고 있으며, 창고 유지비 절감을 위해 건설 프로젝트 위주로 계약을 맺음.
-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상이하나, 평균 80~100톤 이상의 압출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 건축 프로젝트 진행 시, 압출제품의 수직 길이는 최소 8m 이상 필요로 하며, 다이캐스팅(Dycasting)의 경우 평균 2000~2500파운드 제품을 요함(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상이).
ㅇ 북미서 통용 가능한 인증 취득 제품 선호
- ASTM, EMMA Standard 등의 품질 인증 취득 제품을 선호함.
- 우리 기업이 주로 보유한 ISO 인증도 인정되며, 영문 증빙 서류가 있을 시 효과적
ㅇ 7‘ 및 12’ Press 설비 시설 선호
- 캐나다 내 주로 취급 및 사용되는 제품은 A6061과 A6063이므로, 7’ 및 12‘ Press 설비 시설을 보유 시 효과적
ㅇ 북미 진출하는 제품의 경우, 가격 설정은 중국산 제품과 유사하거나 보다 저렴한 것이 좋을 것이라 조언
- 수출가 책정 전, 현지 시장 조사를 통해 동종업계 타 회사 가격대 및 품질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 다수 기업들이 정밀 공정 시 압출제품 표면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지적
ㅇ 알루미늄 압출제품 가격 산정 방식표
- 원자재 금액 및 LME 가격에 따라 금액 변동사항은 유동적(3개월마다 변동)
- 북미 내 가격 산정은 LME 가격을 기준으로 선정하며, 물류 배송 조건은 CIF 방식을 선호
- 국내 비철금속 가격 Index 형태
※ LME 금액 + MJP 금액 산출해 원자재 평균 금액 추산
ㅇ LME 가격이란?
- LME(런던금속거래소)는 1876년 설립된 세계 최대 비철금속 선물시장으로, 전 세계 비철금속 가격의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
- LME 가격 만기는 3개월물이 기준물, 최장 27개월물까지 거래 가능
· ~3개월: 매일
· 4~6개월: 매주 수요일
· 7~123개월: 매월 셋째 수요일(구리, 알루미늄)
· 7~63개월: 매월 셋째 수요일(납, 아연, 니켈)
· 7~15개월: 매월 셋째 수요일(주석, 형강)
ㅇ 포장의 경우, 비닐 포장보다는 종이 및 박스 포장을 선호함.
- 비닐 포장의 경우, 구매자 측에서 포장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비추천
알루미늄 압출제품 포장 예시
자료원: APEX Extrusions
□ 시사점
ㅇ 최근 우리 기업의 캐나다 건설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알루미늄 관련 제품 진출도 확대되고 있음.
- 우리나라 알루미늄 제품 중 가장 많은 수출을 보이는 품목은 알루미늄 창호재임.
- 지난 몇 년간 캐나다의 건설 시장은 호황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미국 부동산 시장 회복을 계기로 캐나다 건설회사들이 미국 주택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 향후 건축용뿐 아니라 자동차, 열차, 선박, 전자제품, 태양광 프레임 등 산업용 제품에 알루미늄 부품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임.
ㅇ 주요 경쟁제품인 중국산에 대한 캐나다 내 반덤핑 수입규제가 강화되고 있음에 따라, 한국산 알루미늄 압출제품 수출에 호조로 작용할 전망
-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알루미늄 압출제품의 대캐나다 수출액은 약 1300만 달러임(미국 4억8000만 달러, 중국 1억2000만 달러, 말레이시아 2100만 달러).
ㅇ 캐나다 수출 시, 북미서 통용 가능한 인증 취득 필요
- 현지 바이어는 ASTM, EMMA Standard 등의 품질 인증 취득 제품을 선호함.
- 우리 기업이 주로 보유한 ISO 인증도 인정되며, 영문 증빙 서류가 있을 시 효과적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공립어린이집 설치범위 확대! (0) 2017.01.19 1월 이란 동향 2호 (0) 2017.01.19 美 재무부, 대수단 경제제재 해제 발표 (0) 2017.01.19 제47회 다보스 세계경제포럼, 최대 규모 개최 (0) 2017.01.19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보조금 지급 축소가 시장에 가져올 변화 (0) 2017.01.19 이스라엘 2017년 경제 전망 (0) 2017.01.18 스리랑카 젊은 엄마들의 높아지는 브랜드 충성도 (0) 2017.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