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필리핀,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World Wide 2017. 6. 8. 15:53
    반응형
    [유망] 필리핀,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2017-06-08 현성룡 필리핀 마닐라무역관

    - BB·CC 크림 판매 증가율 주목할 필요 -




    □ 필리핀 색조화장품 시장 동향


      ㅇ 2016년 기준 2억5300만 달러 매출 기록
        - 2016년 기준 색조화장품 시장 판매는 전년대비 11.5% 증가한 2억5300만 달러를 기록했음.
        - Facial(1억900만 달러), Lips(8300만 달러), Eye(4700만 달러)용 화장품 순으로 필리핀에서 판매가 많이 됐음.


      ㅇ 2015년부터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
        - 특히 BB·CC 크림 판매 성장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Facial 관련 화장품 판매가 타 품목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최근 3년간 필리핀 색조화장품 판매액 및 전년대비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판매액

    증감률

    판매액

    증감률

    판매액

    증감률

    Eye

    38.9

    7.0

    42.5

    9.4

    46.8

    10.1

        - 아이라이너·Pencil

    7.9

    1.8

    8.2

    5.0

    8.7

    6.0

        - 아이섀도

    27.6

    9.3

    30.3

    10.0

    33.7

    11.0

        - 마스카라

    2.8

    2.3

    3.2

    13.0

    3.5

    9.0

        - 기타

    0.6

    -0.6

    0.8

    23.8

    1.0

    26.1

    Facial

    88.3

    6.5

    97.3

    10.1

    109.1

    12.1

        - BB·CC 크림

    0.9

    54.7

    1.6

    87.8

    3.1

    92.0

         - 블러셔·브론저·하이라이터

    17.2

    5.1

    21.0

    22.0

    26.9

    28.0

        - 파운데이션·컨실러

    29.0

    6.7

    31.9

    10.0

    35.4

    11.0

        - 파우더

    37.1

    6.3

    38.2

    3.0

    38.6

    1.0

        - 기타

    4.2

    7.3

    4.6

    9.6

    5.1

    11.4

    Lips

    68.0

    8.5

    74.5

    9.6

    83.2

    11.7

        - 립글로스

    14.7

    2.8

    15.5

    5.8

    16.1

    3.8

        - 립라이너·Pencil

    5.4

    3.1

    5.7

    5.9

    6.0

    6.3

        - 립스틱

    46.5

    11.5

    51.7

    11.2

    59.3

    14.8

        - 기타

    1.4

    -0.8

    1.6

    12.2

    1.8

    9.5

    Nail

    8.7

    8.4

    9.6

    9.8

    10.6

    10.1

        - 매니큐어

    6.1

    9.5

    6.8

    11.5

    7.5

    11.4

        - 트리트먼트·강화제

    0.2

    5.0

    0.2

    4.7

    0.2

    4.5

        제광액

    2.4

    6.0

    2.6

    6.2

    2.7

    7.1

        - 기타

    0.1

    5.7

    0.1

    8.1

    0.1

    10.0

    색조화장품 세트·키트

    2.5

    -34.3

    2.6

    6.3

    2.9

    12.1

    합계

    206.3

    6.5

    226.5

    9.8

    252.6

    11.5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 유로모니터


    □ 색조화장품 최신 경향


      ㅇ 온라인 매장을 통한 판매 증가
        - 필리핀 제1의 화장품 판매 기업인 Avon Cosmetic은 자사 온라인 매장을 갖추어 온·오프라인 판매 촉진 활동을 꾸준히하며 매년 점유율을 더 높이고 있음.
        - 그 외 온라인 중개기업인 라자다(Lazada Philippines)와 자롤라(Zalora)를 통한 화장품 판매가 증가하면서 화장품 시장의 파이를 크게 키웠음.


      ㅇ SNS에 의한 높은 영향력
        - 이전에는 필리핀에서 방영되는 한류드라마, 미국드라마가 필리핀 색조 화장품 제품 유행을 선도했음.
        - 최근에는 필리핀 여성 소비자는 YouTube 튜토리얼, 페이스북 게시물 같은 SNS에 유행인 제품이나 제품군을 구입하는 빈도가 높다고 함.


    □ 색조화장품 대표 브랜드


      ㅇ 필리핀 색조화장품 시장은 현재 3개의 회사가 전체 시장의 45.7% 장악 
        - 2016년 기준 Avon Cosmetics Inc, Ever Bilena Cosmetics Inc, L'Oréal Philippines Inc.가 각각 22.5%, 16.2%, 16.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그 외 다른 기업들은 모두 7% 미만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 그러나 점차 3개의 회사 점유율은 매년 줄어들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이 점유율을 얻는 추세로, 신규 기업이라 하더라도 점유율을 올릴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있음.


    색조화장품 대표브랜드의 제품


         자료원: 각 기업 홈페이지(http://www.avon.com.ph/http://www.everbilena.com.ph/http://www.loreal.com.ph/)


    □ 시장 전망


      ㅇ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2016년 판매액이 2억5000만 달러에서 2018년에 3억 달러를 돌파하고 증가율도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됨.
        - 특히 BB·CC 크림 성장률은 꾸준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파우더를 제외한 모든 제품군의 판매 증가 또한 유지될 전망


    향후 3년간 필리핀 색조화장품 판매 예상액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판매액

    증감률

    판매액

    증감률

    판매액

    증감률

    Eye

    50.5

    7.8

    54.4

    7.7

    58.6

    7.7

        - 아이라이너·Pencil

    9.3

    6.8

    10.0

    7.1

    10.7

    7.3

        - 아이섀도

    36.3

    7.9

    39.2

    7.8

    42.2

    7.7

        - 마스카라

    3.7

    6.9

    4.0

    7.4

    4.3

    7.7

        - 기타

    1.1

    18.8

    1.3

    12.0

    1.4

    9.1

    Facial

    118.0

    8.2

    127.0

    7.7

    136.5

    7.4

        - BB·CC 크림

    5.0

    61.6

    7.0

    41.1

    9.2

    30.9

         - 블러셔·브론저·하이라이터

    31.7

    17.9

    35.6

    12.3

    39.5

    11.0

        - 파운데이션·컨실러

    37.9

    7.0

    40.4

    6.8

    42.8

    5.8

        - 파우더

    37.8

    -1.9

    37.9

    0.1

    38.4

    1.3

        - 기타

    5.6

    10.1

    6.1

    8.2

    6.6

    8.0

    Lips

    99.5

    19.6

    113.7

    14.2

    127.9

    12.5

        - 립글로스

    17.4

    8.3

    18.4

    5.8

    19.5

    5.5

        - 립라이너·Pencil

    6.5

    8.5

    6.8

    4.0

    7.0

    2.3

        - 립스틱

    73.7

    24.1

    86.4

    17.3

    99.3

    15.0

        - 기타

    1.9

    7.1

    2.0

    6.6

    2.1

    6.4

    Nail

    11.1

    4.9

    11.5

    3.8

    11.9

    3.4

        - 매니큐어

    8.0

    6.2

    8.4

    4.6

    8.7

    4.1

        - 트리트먼트·강화제

    0.2

    2.6

    0.2

    2.5

    0.2

    3.3

        제광액

    2.8

    1.2

    2.8

    1.4

    2.9

    1.6

        - 기타

    0.1

    4.5

    0.1

    4.3

    0.1

    4.2

    색조화장품 세트·키트

    3.2

    10.5

    3.5

    8.8

    3.8

    8.2

    합계

    282.4

    11.8

    310.2

    9.8

    338.7

    9.2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 유로모니터


    □ 색조화장품 유통경로


      ㅇ 오프라인 유통채널별 점유율
        - 필리핀의 화장품 유통채널은 백화점(53%), 방문판매(31%), 브랜드매장(10%), 약국(4%), 슈퍼마켓(1%)의 총 5가지로 분류됨.


      ㅇ 각 오프라인 유통채널 활용 방안
        - 백화점·약국·슈퍼마켓: 다양한 화장품제품을 미용코너에 진열·판매하고 있음. SM, Robinson과 같은 유명 쇼핑센터에 입점 가능한 현지 수입상을 발굴해 에이전트계약을 통해 판로 개척이 가능함. 
        - 쇼핑센터 제품 입점을 위해서는 복잡하고 까다로운 승인절차가 필요하며 국내 수출업체가 현지 에이전트 없이 직접 진출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음.
        - 방문판매: 다국적 기업은 본사 구매지침이 있어 거래를 트기가 상당히 어려움. 현지 방문판매업체를 발굴해 국내 업체 제품을 오퍼하는 것이 거래 가능성이 높음.
        - 브랜드 매장: 필리핀 첫 한국 화장품 브랜드 매장인 The Face Shop은 현지 에이전트와 프랜차이즈 총판계약을 통해 진출한 성공사례 중 하나로 꼽힘. 소매자유화법에 의거, 현실적으로 외국인 및 기업은 필리핀에서 소매가 금지돼 있어 프랜차이즈 총판 형태의 진출이 가장 유망한 진출방법임.
     
    □ 시사점 및 전망


      ㅇ 수출기업은 현지 바이어를 구하고 제품등록 과정만 필요
        - 색조화장품은 별도 인증이 필요치 않으나, 수입업자가 식약청(FDA) 수입허가(LTO, License to Operate)를 보유하고 있고 제품등록을 마쳐야 수입이 가능한 제품으로 현지에 수입허가가 이미 있는 바이어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 또한 기능별, 색깔별로 따로 수입허가 및 제품등록을 받아야 함.


      ㅇ 국산 화장품의 수출은 증가, 점유율은 낮은 편
        -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필리핀은 화장품 1억1000만 달러를 수입해 전년대비 20.7% 증가했음.
        - 그 중 국산 화장품 수입은 700만 달러로 전년대비 87.5% 증가했으나, 점유율에서는 6.4%만 달성함. 그러나 최근 3년간 수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점유율도 같이 높아지고 있는 등 국산 화장품이 필리핀 시장에 많이 유통되고 있는 상황임.


      ㅇ 국산 화장품의 수출 전략
        - 필리핀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색조화장품은 대부분 고가의 수입 제품으로 일반 소비자들이 구입하기 쉽지 않음.
        - 따라서 우리기업은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보다는 중저가의 기능성 화장품, 현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해 현지 수출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임.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