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정부 고리대금과의 전쟁, 소액대출기업에 불똥World Wide 2017. 6. 14. 11:53반응형
캄보디아 정부 고리대금과의 전쟁, 소액대출기업에 불똥
2017-06-14 이수진 캄보디아 프놈펜무역관- 금융 선진화 위한 노력 분주 -
- P2P 블랙마켓 차단장치 미흡 -
□ 중앙은행 금리 상한 제한정책 발표, 소액대출법인(MFI) 큰 타격 예상
ㅇ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지난 2017년 3월 감독 하에 있는 모든 MFI·MDI의 대출 금리상항을 18%로 제한하는 정책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공표함.
- 금리 상한 제한으로 농민의 농업활동 촉진, 투자 유치 및 중소기업 국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최근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는 대출업 시장에 대한 억제책으로 정책을 도입함.
ㅇ 정책 도입 전까지 캄보디아 내 MFI(Micro Finance Institution) 평균 대출 금리는 리엘과 달러 각각 35.9%, 28.2% 수준으로 경쟁에 따라 조금씩 낮아지고 있던 금리를 대폭 축소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져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 MFI 업체들의 시장 철수 및 개인 대출업자나 비인가 MFI가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음.
은행 대출이자율 추세 MFI 대출이자율 추세
자료원: 캄보디아 중앙은행 Annual Report 2016
□ 고리대금업으로 내몰리는 저소득 농민층
ㅇ 캄보디아 MFI 대출액 증가세 감소의 원인이 소액대출 경쟁 과열 및 주요 대출 목적인 농산업의 수출 악화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 업체 간의 경쟁으로 비인가 MFI의 대출 기준이 완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가정에서 대출이 편리한 비승인 MFI 및 개인대출업자 의존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대출 목적별 대출액 분포
자료원: 캄보디아 중앙은행 Annual Report 2016
ㅇ 저소득 농민층은 대출금으로 생업을 이어가고, 상업은행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담보를 만족하지 못해 고리대금업으로 내몰릴 가능성 높음.
- 저소득층 대상으로 이뤄지는 500달러 이하 대출의 경우 MFI에 많은 의존을 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MFI는 자본금 및 운영비 문제로 이자율을 쉽게 낮추지 못하고 있었음.
-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갑작스런 금리상한 규제로 많은 수의 MFI가 시장을 떠나게 될 것으로 예상됨.
□ 캄보디아 MFI의 구조 및 현황
ㅇ 캄보디아 금융업의 구조는 크게 상업은행, 특수은행, 소액금융기관(MFI)의 3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이 중 MFI는 조건을 만족할 경우 수신 라이선스(Deposit Taking License)를 받을 수 있어 다시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됨.
- 상업은행의 경우에는 최소 자본금이 3750만 달러 이상, 특수은행은 750만 달러 이상, MFI의 경우는 6만2500달러 이상이 돼야 함.
- MFI의 경우 대출 잔액이 2만5000달러까지는 캄보디아 중앙은행(NBC, National Bank of Cambodia)에 등록이나 인가가 없이도 합법적으로 소액대출 업무를 할 수 있음. 대출 잔액이 2만5000달러 이상 20만 달러 미만인 경우에는 중앙은행에 등록만 하면 대출업무를 할 수 있으나, 25만 달러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중앙은행으로부터 MFI로 인가를 받아야 함.
ㅇ 캄보디아 내 소액대출업은 최근까지 급격히 증가해 2017년 현재 MDI 7곳, MFI 64곳 및 소액대출업 170곳이 사업 운영 중
- 2012년 대비 MFI 업체 수는 약 두 배가 증가했으며, 대출액의 증가도 매우 커서 2011년부터 40%가 넘는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음. 2016년 3월에는 최고치인 33억 달러에 달하는 대출액을 기록함.
캄보디아 MFI 업체 현황
자료원: 캄보디아 중앙은행 Annual Report 2016
ㅇ 그러나 2016년 하반기부터 성장률이 급격히 추락해 불과 4.7%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캄보디아 전체 MFI 대출 자산 합계는 31억6000만 달러로 감소했음.
- MFI 업계 2위 규모인 Sathapana MFI가 마루한 은행과 합병으로 인해 상업은행으로 재분류되며, Sathapana가 보유하고 있던 대출액이 MFI 통계에서 제외된 영향이 있음.
□ 전망 및 시사점
ㅇ 정책의 원래 목적과는 반대로 오히려 소액대출 업체의 감소로 지방 저소득 농민들은 비인가 업체, 고리대금업자에 대한 의존도 높아질 것
- 대출금이 제한의 영향으로 MFI가 대출 업무를 유지할 수 없는 것이라는 예상이 많으며, 이로 인해 지방 저소득 농민은 은행 대출 및 MFI 대출 모두 이용하지 못하는 상태로 고리대금업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음.
- 중앙은행에서도 충분한 검토 없이 정책을 도입한 것 아니냐는 여론이 있으며, 앞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캄보디아 전반의 금융시스템이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음.
- 반면, 캄보디아 전체 대출은 은행 대출의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어 2015년에는 전체의 57.2%에 달했음. 이러한 변화로 저소득층 농민층의 금융 위험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장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 예상.
기관별 대출액 분포
자료원: Cambodia Economic Update, World Bank
ㅇ MFI에서 상업은행으로 변화가 촉구되며, 이는 시장 기회로 이어질 수 있을 것
- 우리은행은 2014년 현지 MFI 인 MALIS를 인수, 전북은행의 PPCB 인수 등 한국 금융업계의 캄보디아 진출이 활발함.
- MFI 금리 제한과 무관하게 상업은행 이용률은 201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캄보디아에서의 순이자 마진은 여전히 타국가보다 높을 것으로 기대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로아티아 ITS로드쇼, 유럽 ITS 진출 기반 마련 (0) 2017.06.14 홍콩 스타트업 시장 III : 홍콩기반으로 세계 시장 진출하기 (0) 2017.06.14 브라질 석유·가스산업의 공룡 'Petrobras' 부활의 신호탄! (0) 2017.06.14 루마니아, 깨끗한 물을 마시고 싶다 (0) 2017.06.14 2017 라마단 기간의 UAE 경제 특징 (0) 2017.06.14 홍콩 소비자위원회, 수입 화장품 품질 모니터링 강화 (0) 2017.06.14 우리나라 5대 유망 소비재의 아세안 내 시장동향 : (1) 의약품 (0) 2017.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