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프랑크푸르트 3D 프린팅 전시회 스케치World Wide 2017. 11. 27. 21:05반응형
독일, 프랑크푸르트 3D 프린팅 전시회 스케치
2017-11-27 한상은 독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 독일, 프랑크푸르트 3D 프린팅 전시회 스케치 -
- 무한한 적용 가능성과 해결 과제 병존 -
자료원: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프랑크푸르트 3D 프린팅 전문 전시회 빠른 속도로 성장
ㅇ 2015년 첫 개최 후 올해 2017년 3회째를 맞은 프랑크푸르트 3D 프린팅 전문 전시회 'formnext'는 참가 기업 수, 임차 면적, 관람객, 포럼 참가자 등 모든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여 관련 산업계 종사자들의 높은 관심도를 보여주고 있음.
formnext 전시회 연도별 통계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전시 면적(㎡)
14,028
18,702
28,129
참가 업체 수(개)
203
307
470(33개국)
관람객 수(명)
8,982
13,384
21,492
유료 포럼 참가자(명)
266
647
1,028
주: 2017년도 formnext 전시회 참가 기업리스트(클릭 시 이동)
□ 한국 기업 참가 현황
ㅇ KOTR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구성한 한국관 등에는 바일로(Vylo)사 등 총 15개 국내 기업이 출품했음.
ㅇ 산업용 전자동 3D 스캐너를 출품해 개최국 독일은 물론 여러 나라의 바이어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끈 바일로(Vylo)사 장성진 대표는 2018년도에도 참가하고 싶다고 밝힘.
- 한편, 큐비콘(Cubicon)사는 다양한 3D 프린터(예: 수지 3D프린터와 필라멘트 3D프린터)를 선보였는데, 해당 회사는 다자인 어워즈(Red dot과 Good Design) 수상 이력이 있음. 각 사용 목적에 맞게 제작된 프린터기는 많은 방문객의 관심을 끌었음.
□ 주요 외국 참가 기업 및 출품 품목
① Stratasys, 미국
FFM 3D 프린터 분야 세계 1위 기업 미국 Stratasys사 부스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② EOS(Electro Optical Systems)사, 독일독일 EOS사의 산업용 3D 프린터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독일 EOS사가 Metal 3D 프린터로 제작한 Liebherr Aerospace사 Airbus용 Flight Control Hydraulic Component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③ GE(General Electric), 미국
미국 GE(General Electric)사 부스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무역관 촬영
- GE(General Electric)사는 3D 프린팅을 미래 유망산업으로 보고 독일 Concept Laser, 스웨덴 Arcam사를 2016년도에 인수하는 등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임.
④ 휴렛팩커드(HP), 미국
미국 휴렛팩커드사의 폴리머 3D 프린터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레이저 적층과 기계적 연마가 모두 가능한 DMG-MORI사의 Lasertec 프린터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⑥ 프라운호퍼(Fraunhofer) 연구소, 독일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 Fraunhofer ILT 연구소는 Selective Laser Melting 솔루션(클릭) 등 출시
⑦ AUTODESK사, 독일
3D 프린터 디자인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Autodesk사 부스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 1일차(2017년 11월 14일) 포럼 주요 메시지
ㅇ 'formnext 2017' 전시 기간(2017년 11월 14~17일) 다양한 주제의 포럼이 프랑크푸르트 전시장 1층 3.0홀에서 열림. KOTRA프랑크푸르트 무역관에서 참석한 1일차 포럼 내용 일부를 아래에 공유함.ㅇ 독일 엔지니어협회(VDI), 본부는 뒤셀도르프(Duesseldorf) 소재
- 3D 프린팅 기초 이해
- 3D 프린팅 기술 활용분야
· 항공 우주 산업, 공구 및 금형 제작, 전기와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파운드리 기술,
· 자동화 기술, 기계 및 플랜트 엔지니어링, 조립기술, 의학분야, 보철, 치과기술, 교육 및 운영 준비- 파우더 기반 3D 프린팅 부품 품질 결정 3가지 요인?
· 기계·설비(Machine), 소재·분말(Powder), 소프트웨어·공정파라미터(Process Parameters)- 3D 프린팅이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 구현 가능한 부품 규격 한계
. 표면 품질, 기계적 톨러런스, 후처리(Post-Process) 공정
. 단일 부품 제작 시간, 자재 다양성 제한, 공정 이해 제한
. 자동화 조립 공정과의 연결 부재 문제 등- 3D 프린팅 부품 필요 사유는?
· 비용 절감 및 자원 활용 효율
· 재고 유지 감소 및 여유 부품 관리 개선
· 기간 및 수선 유지 관련 생산 최적화
· 기능 개선 및 조립 부품수 감소
· 제품 개발 시간 가속화 및 프로젝트 집행, 생산 시간ㅇ Premium Aerotec사(비행기 동체 제조기업), 본사는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 소재
Premium Aerotec의 ALM Design 발표 모습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료 종합
- Premium Aerotec사가 사용하는 ALM 디자인 소프트웨어
· Dassault Catia V5, Altair사 제품 (Solid Thinking, Evolve&Inspire), MSC 등
- 소프트웨어 사용 경험
· 모든 니즈를 100% 만족하는 단일 소프트웨어는 없음.
· 소프트웨어를 믹스해서 사용해도 놀라울 정도로 문제가 없음.
· 시장에는 성능 좋은 소프트웨어가 출시돼 있음.
· 소프트웨어 간 전환은 파일 기반 워크플로우 생성
· 소프트웨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교육이 필수- ALM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기술항공산업 활용
· 엔지니이렁 기술 파트는 신기술 도입에 호의적
· 특별 훈련 및 지식 전수 필수적
· ALM 기술은 전통기술보다 적용하기 수월한 많은 새로운 디자인 특성 제공, 하지만 개선 필요ㅇ Volkswagen Autoeuropa(리스본)
Ultimaker사 3D 프린터 활용 전후 차이점
전통적인 방식(외주)
Ultimaker사 3D 프린터 활용
· 외부 공급업체로부터 공구 소싱
· 서류 작업, 견적, 공구 제작과정에서의 수정 보완 작업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 비용 및 제작기간: 3000유로(part당), 60일 소요
· 비용: 187유로(part당), 총 2813유로 절감
· 제작기간: 총 6일(54일 단축)주: 기존 방식 대비 3D 프린팅 활용 시 시제품 제작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 가능
자료원: 포럼 PT 자료 사진 캡쳐
- 기존 제품 대비 3D 프린팅 생산 공구의 장점
· 보다 완벽한 커스터마이징, 무제한의 수정 작업, 향상된 인체공학ㅇ Honeywell(미국)
- AM 생산 시스템 도입에 따른 조직 내 갈등 관리 중요
- 신규 인재 스카우트, 기존 직원에 대한 AM 교육을 통한 사기 진작 중요
Honeywell사 연사 강연 모습
자료원: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촬영
□ 전망 및 시사점
ㅇ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은 3D 프린터 설비&부품, 소재, 디자인 소프트웨어 등 3D 프린팅 산업생태계가 빠른 속도로 구축되고 있어 상승효과를 일으키고 있음.
- 항공 우주, 자동차, 의료, 소비재(신발)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Prototype 생산에 그치지 않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양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과 활용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음.
- 글로벌 기업들은 3D 프린팅 분야 기술력 보유 기업과의 M&A를 통해 주요 핵심 특허 확보는 물론, 미래 유망시장 확보에 잰걸음을 하고 있음.
ㅇ 우리나라도 해외 기업 및 기술 동향에 깊은 관심을 두고 적극적인 인재 육성, 연구 개발 및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음.□ 기타 참고정보
ㅇ formnext 2018
- 장소: 프랑크푸르트 전시장
- 기간: 2018년 11월 13~16일
- 웹사이트: https://www.mesago.de/en/formnext/For_visitors/Welcome/index.htm
ㅇ 유관협회
- 협회명: 독일 3D 프린트산업협회(Verband 3D Druck)
- 본부: 베를린
- 웹사이트: www.verband3ddruck.berlin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기고] 중미 인프라·플랜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제언 (0) 2017.11.27 중국 전국 통관 일체화 실무 FAQ (0) 2017.11.27 [전문가 기고] 제2의 실리콘 밸리, 텍사스 오스틴 (0) 2017.11.27 세계 해양 박람회계의 선두주자, 네덜란드 EUROPORT 2017을 가다 (0) 2017.11.27 2018 CES에서 주목해야 할 5가지 트렌드 (0) 2017.11.27 [유망] 카타르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0) 2017.11.27 GCC의 수입규제 및 중동지역 현황 요약 (0) 201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