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라오스 화장품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1. 29. 20:18반응형
[유망] 라오스 화장품 시장동향
2017-11-29 이다함 라오스 비엔티안무역관- 2018년부터 한국산 화장품 수입 시 무관세 적용 -
- 한국산 제품 선호도 높아 'Made in Korea'를 전면에 내세울 필요 -
□ 상품명 및 선정 사유
ㅇ 상품명: 화장품류(HS Code 3303, 3304, 3305, 3307)
- 3303: 화장품 및 향수
- 3304: 미용 또는 메이크업 제품, 기초 화장품 제품(10. 입, 20. 눈, 30. 매니큐어, 91. 파우더, 99. 메이크업 기초)
- 3305: 두발용품
- 3307: 면도용 제품, 인체용 탈취제, 목욕용 조제품, 탈모제, 기타 조제향료, 따로 분류되지 않은 화장품 또는 화장품 및 실내용 조체 방취제
ㅇ 선정 사유
- 2018년 한국산 화장품 관세 폐지로 인해 라오스에서 한국 화장품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전망
- 라오스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 품질의 우수성을 점점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산 화장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시장 수입규모 및 수입동향
ㅇ 라오스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기업이 드물고, 대부분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ㅇ 두발용품과 면도 및 목욕용품의 수입은 증가하고 있으나, 향수 품목과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의 수입은 줄어들고 있음.
- 향수와 메이크업 제품의 경우 모닝 마켓과 같은 곳에서 고가 브랜드 제품의 모조품을 쉽게 구할 수가 있으며, 특히 향수는 사치품이라는 인식이 강해 일반 소비자들의 수요는 많지 않음.
라오스 화장품 수입규모
(단위: 천 달러, %)
HS Code
상세 내용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3303
향수 및 화장수
금액
603
318
456
406
291
증감률
44.2
-47.3
43.4
-10.9
-28.3
3304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
기초화장용 제품(의약품 제외)
금액
10,730
15,585
17,932
21,894
19,110
증감률
10.4
45.2
15.06
22.1
-12.7
3305
두발용품
금액
10,285
12,838
14,171
17,209
17,254
증감률
14.2
24.8
10.4
21.4
0.3
3307
면도용 제품, 인체용 탈취제, 목욕용 조제품,
탈모제, 기타 조제향료, 따로 분류되지 않은
화장품 또는 화장품류 및 실내용 조제방취제
금액
3,540
4,048
5,863
6,504
10,719
증감률
17.9
14.3
44.8
10.9
64.8
총계
금액
25,158
32,789
38,422
46,013
47,374
자료원: Trade Map
ㅇ 압도적인 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
- 라오스는 태국과 인접해 오래전부터 태국산 화장 제품들을 수입했고, 결과적으로 태국산 브랜드들이 대중적으로 인식됨.
- 태국산 화장품은 2016년 향수 제품을 제외한 화장 제품(HS Code 3304, 3305, 3307) 부문에서 97%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보임.
- 결정적으로 대부분 라오스인이 태국산 드라마 및 영화를 시청하고, 다수의 미디어에 노출돼 두 국가 간 서로 비슷한 정서를 공유함. 이로 인해 미의 기준이 비슷하고, 피부관리부터 화장법까지 유사한 양상을 보임.
- 라오스 여성들은 긴 직모의 윤기 나는 머릿결을 선호해 태국산 기능성 헤어 제품에 대한 수요도 상당함. 태국산 제품의 경우 저렴한 가격이 라오스 소비자들을 사로잡는 가장 큰 경쟁력임.
태국산 화장품 수입동향(HS Code 3304, 3305, 3307)
(단위: 천 달러, %)
HS Code
수입액
시장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3304
17,491
21,450
18,660
97.5
97.9
97.6
-13.1
3305
14,002
16,533
16,960
98.8
97.07
98.3
2.6
3307
5,337
6,152
10,549
91.03
94.6
98.4
71.5
자료원: Trade Map
ㅇ 한국 화장품의 수요 증가 추세
- HS Code 3304(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 기초화장품 제품, 자외선 차단제 및 매니큐어 제품과 패디큐어 제품)를 기준으로, 라오스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의 전체 수입이 12.7% 감소했지만, 한국 제품의 수입은 100% 이상 증가함.
-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0.6%에서 0.84%로 0.24% 증가했고, 라오스인들이 한국 제품의 우수성을 점차적으로 인지하고 있어 한국 화장품의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고 있음.
- 태국산 화장품처럼 주변에서 쉽게 구입해 사용할 수 있기보다는 고가의 고급 화장품이라는 인식이 강함.
라오스 전체 및 한국산 화장품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국가
수입
시장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전체 수입
17,932
21,894
19,110
100
100
100
-12.7
한국
107
61
161
0.6
0.3
0.84
163.9
□ 주요 경쟁 브랜드
브랜드명 및 제품류
상세 설명
가격
POND’S(세안제)
- 오랜 기간 세안제로 라오스 시장을 점유
- 저렴한 가격과 신뢰감 있는 브랜드 이미지로 남녀불문하고 온 연령층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임
- 세안제 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다른 제품들도 인기가 있음
0.6~3달러
(크기별 상이)
Mistine(파우더 팩트)
- 대부분의 라오스 여성들이 얼굴을 하얗게 보이게 하는 효과때문에 파우더를 자주 사용함
- 이 브랜드는 다양한 종류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 라오스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파우더 브랜드임
- 또한 해당 브랜드의 중개상이 라오스에 많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기도 함
3~20달러
(종류별 상이)
Sunsilk(샴푸)
- 남녀노소 모두 사용하는 제품으로, 라오스에서도 제품 광고를 자주 볼 수 있음
- 특히 라오스 여성들이 길고 차분한 머리를 선호하는데, 이 제품의 컨디셔너가 좋은 효과를 보여 준다고 함
1~3달러
(크기별 상이)
Vaselline(로션)
- 전 연령층이 이 브랜드의 로션을 사용할 정도로 대중적임 브랜드임
- 어느 상점을 가더라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유통이 많이 됨
1.5~5달러
(크기별 상이)
Lux(비누 및 샤워 젤)
- 라오스에서 가장 유명한 태국 브랜드 중 하나로, 모든 연령층이 사용할 정도로 대중적임
1.5~4달러
(크기별 상이)
SRICHAND(파우더 마스크 팩)
- 태국 브랜드의 제품으로, 여드름 치료 및 미백 효과를 가지고 있음
- 대부분 여성이 취침 전에 이 제품을 사용한다고 함
2~3달러(종류는
2가지만 있음)
Maybelline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로, 라오스에서도 제품 광고를 많이 접할 수 있음
- 저렴한 가격 때문에 해당 브랜드의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는 젊은 층부터 중년 여성까지 호응이 좋음
3~7달러
(종류별 상이)
Maybelline(립스틱)
- 해당 브랜드의 입술 제품은 자연스럽고 지속적인 발색으로 진한 화장을 할 수 없는 청소년들에게 인기있음
2~10달러
(종류별 상이)
Merrez’ca(BB크림)
- 태국 제품으로, 달팽이 크림 제품이 많이 알려짐
- 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홍보를 하고 있으며, 젊은 층의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음
14달러(50ml)
Cathy Doll(CC크림)
- 태국 제품으로, 한국에서 제조됨. 라오스에선 하얗고 뽀얀 피부가 미의 기준임
- 이 제품은 얼굴 도포 시 피부를 하얗게 만들어 주고,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 라오스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음
- 동시에 저렴한 가격대 때문에 수요가 높음
0.5~9달러
(크기별 상이)
자료원: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체촬영
□ 한·아세안 화장품 관세율
ㅇ 2018년부터 한·아세안 화장품 관세가 철폐될 예정
한·아세안 FTA, 아세안 물품 무역협정(ATIGA), 아세안·중국 FTA 관세율표HS Code
설명
한·아세안 FTA
아세안 물품 무역협정(ATIGA)
아세안·중국 FTA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3303
향수 및 화장수
3
2
0
0
0
0
0
0
0
3304
10. 입술화장용 제품
3
2
0
0
0
0
0
0
0
20. 눈 화장용 제품
3
2
0
0
0
0
0
0
0
30. 매니큐어, 패디큐어 제품
3
2
0
0
0
0
0
0
0
91. 압축 불문 파우더제품
3
2
0
0
0
0
0
0
0
99. 얼굴용 크림, 로션 제품
3
2
0
0
0
0
0
0
0
3305
10. 샴푸
3
2
0
0
0
0
0
0
0
20. 퍼머넌트 웨이브용 및 스트레이트닝용 제품
3
2
0
0
0
0
0
0
0
30. 헤어 스프레이
3
2
0
0
0
0
0
0
0
90. 기타
3
2
0
0
0
0
0
0
0
3307
30. 가향 목욕염 및 기타 목욕용 제품
2
1
0
0
0
0
0
0
□ 인증절차 및 제도
ㅇ 화장품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라오스 보건부 산하 식약청(The Food and Drug Department, Ministry of Health)의 허가가 필요함.
ㅇ 화장품 품질 관련 조항 No. 2580/MOH에 따르면, 라오스에 화장품을 수입하기 전 개인, 사업자, 기관은 사업 등록이 필수임. 또한, 모든 수입 화장품은 공공 보건 센터의 테스트를 받아 통과해야 함.
ㅇ 제품 등록 방법
- www.fdd.gov.la 에 접속해 신청서 양식을 받아 작성하고, 다음과 같은 11개의 서류를 준비해야 함.
No.
세부사항
수
1
조제법 관련 서류
1장
2
제품 승인서
1장
3
자유판매증명서
1장
4
신고증명서
1장
5
분석증명서
1장
6
아세안(ASEAN) GMP 인증서
1장
7
라벨 및 일괄 코딩 시스템 관련 서류
1장
8
클레임 서포트 요약본
1장
9
부작용 사례 요약본
1장
10
안전성 평가 요약본
1장
11
제품 샘플
원 포장 제품 샘플 1개
- 신청 서류 작성 후, 관련 문서와 샘플을 지참해 라오스 보건부 산하 식약청에 제출해야 함.- 보건부는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검토하고, 샘플 테스트를 해 2주 후 결과 발표
- 서류가 통과되면 보건부는 증명서를 발급하며, 사업자는 이를 바탕으로 수입 절차를 진행할 수 있음.
- 등록하고자 하는 제품이 다른 색상과 향을 가지고 있어도 제조법이 같다면 동일 제품으로 인정함(다를 시 따로 등록해야 함).
ㅇ 증명서 발급 후, 식약청에 제품당 30만 키프(약 36달러)의 등록비를 지급해야 하며, 상품 등록 유효기간은 2년임.
화장품 상품 증명서 예시자료원: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체 촬영
ㅇ 상품 라벨링은 제품이 식약청에 등록된 후, 다음과 같은 내용을 영어와 라오스어 혹은 영어로 분명하게 표기해야 함.
- 화장품명
- 제품 성분의 이름과 용량
- 제조국가 등록번호
- 제조자명, 주소, 제조 날짜 및 유효기간
- 사용 설명 및 안전 경고 표기
- 제품 용량
□ 시사점
ㅇ 2018년부터 관세율 폐지로 한국산 화장품 수입 활성이 전망됨.
ㅇ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 향상이 필요함.
- 라오스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품질을 높게 평가함. 그렇지만 라오스 화장품시장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태국 제품과 비교해 가격 매력도가 떨어짐. 라오스 시장에 맞는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 라인 형성은 한국산 화장품이 큰 경쟁력을 가지게 할 것임.
ㅇ 한국 제품의 브랜드 인증 필요
- 제품 포장에 한국 브랜드의 마크가 들어가거나 한글이 쓰여 있어도 라오스 소비자들에게 좋은 인식을 심어줄 수 있음. 제품 패킹에 있어 최대한 한국적인 요소를 활용해 라오스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필요가 있음.
ㅇ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제품 홍보 전략
- 라오스에서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제품 홍보와 판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소셜미디어 홍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온라인 화장품 판매상을 찾아 제품 샘플을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서서히 한국 제품의 인지도를 높여가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것으로 보임.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화장품 판매상 예시
자료원: 'beauty_laos' 인스타그램, 'Ashiko Beauty Shop' 페이스북 페이지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12월 1일부로 187종 소비품 수입관세율 대폭 인하 (0) 2017.11.29 [유망] 일본 플라스틱·고무 성형기 시장동향 (0) 2017.11.29 스마트 도어락으로 중국 도어락시장을 열어라 (0) 2017.11.29 [전문가 기고] 미국의 대러 경제제재, 러시아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 (0) 2017.11.29 수단, 환율방어 위한 안간힘 속에 수입시장 변화 주목해야 (0) 2017.11.28 인도 진단키트 시장동향 (0) 2017.11.28 [유망] 파나마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0) 2017.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