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Global 2017 투자 포럼
    World Wide 2017. 11. 29. 20:20
    반응형
    K-Global 2017 투자 포럼
    2017-11-29 윤동훈 미국 실리콘밸리무역관

    4 혁명 주제, IT 산업에서 - 동반성장 통해 이어갈 미래시대 전망 -

    실리콘밸리 기술 트렌드 조명을 통해 한국 기업의 투자유치와 진출 가능성도 모색 -



     

    EMB00055da86f31

     

    □ 행사 개요


      ㅇ 일시: 2017년 11월 15()~16일()  


      ㅇ 행사 구성

     

    행사명

    일시

    상세내용

    테크 콘퍼런스

    (Tech Conference)

    11 15 수요일

     9:00~16:30

    4가지 혁신기술분야(Mobility, Intelligence, Connectivity, Visualization) 패널토의를 통해 기술 트렌드  R&D 방향 제시협력기회 모색

    수출상담회

    (Partnership Expo)

    11 15 수요일 13:00~17:00

    11 16 목요일 9:30~17:00

    참가기업별( 38 기업샘플전시  상담 지원

    투자포럼

    (Investment Forum)

    11 16 목요일13: 30~16:00

    투자를 중심으로 Next Manufacturing 분야 패널 토의(150규모)

    강소기업투자유치 피칭

    (K-Pitch)

    11 16 목요일 10:00~12:00

    중소벤처기업( 21 기업투자유치 피칭

    커리어 데이

    (Job Fair)

    11 15 수요일 11:30~16:00

    취업 세미나  채용 상담회 50 규모 세미나, 8개사 채용상담기회 제공

      

     K-Global행사 전경 사진

    EMB00055da86f32

    EMB00055da86f33

    자료원: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 투자유치포럼

     

      1) The Next Manufacturing, How to beat Silicon Valley(실리콘밸리 따라잡기): 기조연설 

    HP Ventures Vitaly Golomb

    vitaly.jpg

    자료원: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ㅇ How to beat Silicon Valley(실리콘밸리 따라잡기): HP Ventures Partner, Vitaly Golomb

       - HP Heritage 1939 설립된 실리콘밸리의 원조 스타트업 기업이며 스타트업 기업은 199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돼 오늘날에서는 어디서든 스타트업 회사를 시작할  있음.

       - 특히 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 함.

       또한 S 곡선을 그리는 테크놀리지 라이프 사이클에서 상승 곡선을 그리며 성장해야함을 

       -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의 에코시스템 순위에 따르면 현재 실리콘밸리가 1등임. 베이징상하이싱가포르가 각각 4, 8 12위를차지함이는 아시안 국가들이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이 성장할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

        - 아프리카의 경제성장력 또한 인상적임미국에서 새로운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기존 시스템의 조정이 필수적이나 현실적으로 어려움하지만 아프리카에서는 비교적 쉽고 유연한 조정을 통해 높은 경제 성장 속도를 이뤄낼  있음

      2) Investment Climat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한국 제조업 투자의 현 주소): 투자유치 IR

     

    기간 산업 유치팀 박용수 팀장

    박용수팀장.jpg

    자료원: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ㅇ Investment Climat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한국 제조업 투자의 현 주소): 기간산업 유치팀박용수

        - 한국 경제는  차례의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 2.8%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17년에도 3.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 또한 2016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 지수는 세계 5위를 기록했으며 World bank 따르면 한국은 파트너십 체결  높은 성과를 가져다  160  5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잠재력을 지닌 국가임을 명시

        - 이런 맥락에서 한국과의 파트너십  투자를 체결하기에 좋은 제조업 분야로는 자율주행자동차스마트시티, precision medicine등이 있음. 

        - 또한 투자  파트너십에 관심있는 벤처기업 혹은 개인 투자기업은 KOTRA에서 제공하는 GAPS(Global Alliance Projects) IKMP(Invest Korea Market Place) 서비스를 이용해 한국 기업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있음.

     

      3) 한국의 제조업 투자 혁신 동향  전망패널토의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ㅇ Investment 분야의 패널들이 참여한 토의

        - 한국은 교육열이 높은 국가로서 한국 제조업체들이 점점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그러나 한국 대부분 기업들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며, 글로벌 마인드가 부족해 제조업 분야의 궁극적 지향점을 놓치지 쉬움.

        - 또한 한국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는데 걸림돌은 시장의 크기  부수적으로 문화 차이와 언어장벽 등이 있음.

        - LG 삼성  한국의 세계적인 대기업 대부분은 제조업계 혁신을 위해 국내 제조업체의 중소중견기업이 성장할  있도록 격려해주기보다는 자사의 물질적인 요소에  치중하는 경향이 한국 제조업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

        - 제조업계의 성공적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장조사와 적절한 타이밍 모색 그리고 생존 가능성과 접근방법 등에 대한 충분한 조사가 필수적  

     

    □ 시사점


      ㅇ K-Global 내 행사로 올해 2회째를 맞는 투자포럼은 155명의 투자자가 참석해 한미투자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좋은 기회가 됨.

        - 2016년 1회때는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을 주제로 했음.

        - 해로 6회째를 맞는 K-Global 행사 또한  한국과 미국의 미래기술 기업 바이어와 투자자일반 참관객  1300명의 관심을 사로잡으며 성황리에 종료


      ㅇ 제조업에서의 4 산업혁명을 선두하는 기업들이 대거 참석

        - Smart Manufacturing의 선두주자 GE, 3D 프린팅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업 HP, 전자제품 위탁제조 업계의 거대기업 Flex와 Jabil, 반도체 제조장비 세계 1위 업체 Applied Materials 그리고 한국의 대표 제조업체 Samsung에서 전문가들 참석 

        - 특히 각 회사에서 투자전문가들이 참석해 위 선두기업들이 어떻게 제조업의 미래를 바라보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떠한 기술에 투자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귀한 자리였음.


      ㅇ 미국 투자 진출, 미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에 큰 관심이 있는 한국 기업인들과 미국 대표 제조기업 간의 네크워크 구축을 통해 투자유치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에 좋은 기회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