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즉석식품의 신흥강자, 간편훠궈(方便火锅)를 주목하라World Wide 2017. 11. 30. 21:42반응형
중국 즉석식품의 신흥강자, 간편훠궈(方便火锅)를 주목하라
2017-11-30 박주동 중국 선양무역관- 간편훠궈(方便火锅), 컵라면 시장의 하락세를 대체할 만한 수단으로 평가받아 -
- 빠른 성장에 발맞춰 그에 따른 제품 보완도 필요해 보여 -
□ 성장 배경 및 시장동향
ㅇ 간편훠궈(方便火锅)란 컵라면처럼 훠궈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임. 야채, 고기, 양념 등 훠궈 제조를 위한 준비물이 갖추어져 있고 대부분의 제품이 자가발열 형식으로 제작돼 상온의 물만을 가지고 따뜻하게 먹을 수 있음.
ㅇ 훠궈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고 싶다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출시됨.
자료원: 바이두(百度)
ㅇ 간편훠궈는 2015년에 출시된 새로운 품종으로 출시 당시 큰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2017년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함.
- 이는 간편식품시장에서 가장 큰 인기를 누리는 컵라면 매출의 하락세와 관련이 있음. 중국인들 사이에서 배부르게 먹는 것보다 건강하게 먹는 것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기름에 튀긴 라면의 인기는 갈수록 하락하고 조금 비싸더라도 야채와 고기가 들어간 비교적 건강한 훠궈가 그 빈틈을 뚫고 성장세를 보임.
2012~2016년 7월 중국 컵라면 매출액 추이
자료원: 링허왕(灵核网)
ㅇ '란런(懒人) 경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중국 내 요식업계 내에서 전체의 22%로 가장 큰 영업액을 차지하는 훠궈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중국인들에게 매력을 어필하는데 충분했음.
*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생활이 편리해져 바쁜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이 밖에 나가지 않고도 식사, 쇼핑, 가사와 정보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제를 뜻함.
2016년 중국 요식업계 영업액 분포
자료원: 메이퇀 평가(美团点评)
ㅇ 간편훠궈시장을 대표하는 두 기업 중 하나인 다룽이(大龙燚)의 경우 2017년 1월 간편훠궈 출시 이후 판매액은 급격하게 상승 중이며 월별 증가율이 100%가 넘음.
ㅇ 현재 간편훠궈 시장 내에서 시장점유율이 크지 않은 신시왕메이하오(新希望美好) 역시 월별 판매액 증가율은 100%에 달함.
ㅇ 정찬과 간식의 경계를 뛰어넘은 간편훠궈는 '혼밥'족의 강세와 소비향상의 물결에 힘입어 유망한 신규시장으로 부상했음.
□ 시장 분석
ㅇ 더욱 편리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건강한 음식
- 일부 식품 전문가들에 따르면, 컵라면의 인기가 줄어드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음. 첫 번째는 면이 기름으로 튀긴 것이기에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의 중국인에게 매력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며, 두 번째는 와이마이(外卖), 즉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발달이라고 함.
- 이런 와중에도 훠궈가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뜨거운 물을 준비해야만 먹을 수 있었던 컵라면과는 달리 찬물만 있어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점과 즉석식품이 몸에 좋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을 깼기 때문이라고 함. 실제로 간편훠궈는 야채, 고기, 면 등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30위안 대의 비교적 비싼 가격에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상황임.
ㅇ 수많은 기업들의 급격한 시장 참여
- 베이징 조간신문(北京晨报)에 따르면 정가 35위안의 간편훠궈 원가는 10위안이 채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간편훠궈의 이익률은 전통훠궈 기업보다 훨씬 높음. 또한 사실상 올해부터 급격히 인기가 높아지다 보니 여러 기업들에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함.
- 올해 1월 간편훠궈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다룽이(大龙燚)의 시장 진출에 이어 급격히 브랜드 수가 늘어나고 있음.한국에서도 유명한 훠궈 브랜드인 하이디라오(海底捞) 역시 지난 7월 5000만 위안을 투입해 시장에 참여함. 현재 티엔마오(天猫)혹은 징둥(京东)같은 온라인 판매채널에 간편훠궈(方便火锅)를 검색하면 30여 개의 브랜드가 나옴.
- 온라인에서의 인기가 높자 이 기세를 이어 현재는 오프라인으로까지 판매채널이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 약 10개의 오프라인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브랜드들이 있음.
- 나날이 동질화되는 시장에서 돋보이기 위해서 각종 큰 브랜드는 차별화 우세전략을 시작했고,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업계 재조정까지 함.
타오바오 판매량 상위 10개 간편훠궈(2017년 11월 23일 기준)
번호
제품명
브랜드명
가격(위안)
내용물
1
모샤오셴훠궈(莫小仙自热火锅)
샤오전
(晓真)
35
(할인가 19.8)
마라훠궈양념, 넓은국수,
연근, 미역, 감자, 죽순, 목이버섯
2
쓰촨마라훠궈(四川麻辣火锅)
라오청난
(老城南)
64.8
(할인가 24.3)
마라훠궈양념, 연근, 감자, 죽순,
목이버섯, 새송이버섯, 쓰촨면(川粉)
3
마라넌뉴(麻辣嫩牛)
하이디라오
(海底捞)
45
(할인가 29.9)
마라훠궈양념, 소고기, 소 천엽,
죽순, 감자, 미역, 목이버섯,
젖은 당면(湿粉条), 소 혀
4
카카사모샤오셴훠궈
(咔咔莎莫小仙自发火锅)
카카사
(咔咔莎)
48.9
(할인가 21.8)
마라훠궈양념, 넓은 국수,
감자, 죽순, 연근 등
5
칭주훠궈(轻煮火锅)
웨이수우
(魏蜀吴)
68
(할인가 28.8)
마라훠궈양념, 소고기, 닭고기햄소시지,
훠궈쓰촨면(火锅川粉), 감자, 연근,
죽순, 미역, 목이버섯 등
6
추이솽소천엽(脆爽牛肚)
하이디라오
(海底捞)
45
(29.9)
순수하고 진한 소기름 양념(醇香牛油底料),
소고기, 천엽, 소 혀, 연근, 미역, 목이버섯,
죽순, 어두부(鱼豆腐) 등
7
충칭훠궈(重庆自发火锅)
마라둬나
(麻辣多拿)
45
(할인가 29.9)
마라양념, 소고기, 천엽, 소 혀,
소두피(牛头皮), 새송이버섯,
가늘게 썬 다시마, 젖은 당면,
연근, 감자, 목이버섯, 죽순
8
샤오룽칸훠궈3.5버전
(小龙坎火锅3.5版)
샤오룽칸
(小龙坎)
68.8
(할인가 29.8)
마라양념, 오리 모래주머니, 감자,
연근, 죽순, 소고기, 넓은 국수,
진한 식초(陈醋) 등
9
매콤한 소박한 음식(香辣素食)
하이디라오
(海底捞)
39
(할인가 24.9)
마라양념, 연근, 감자, 미역,
목이버섯, 죽순, 룽커우당면(龙口粉丝)
10
량핀푸쯔 간편훠궈
(良品铺子方便火锅)
량핀푸쯔
(良品铺子)
69
(할인가 29.9)
마라양념, 옥수수, 죽순, 목이버섯,
소고기, 돼지고기 등
자료원: 타오바오(淘宝网)
ㅇ 쓰촨성에 집중된 브랜드 분포
- 쓰촨지역 브랜드가 전체 중국시장에서 90% 이상을 차지함. 특히 청두, 충칭이 주류이며 해당 도시의 간편훠궈 브랜드는 40개가 넘음. 이로 인해, 인기있는 훠궈는 대부분 마라훠궈인 상황임.
- 쓰촨지방에 브랜드가 집중된 만큼 포장, 가격, 내용물들이 구분이 안 갈 정도로 비슷한 상황임.
- 쓰촨을 제외한 브랜드의 경우 북방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이 매우 미미하며, 그나마 산시성의 량청메이(良呈美)가 출시한 훠궈가 비교적 두각을 나타냄.
□ 시사점
ㅇ 시장을 세분화해 접근하는 것이 앞으로 발전하는 데 가장 큰 관건이 될 것
- 훠궈에는 마라를 제외하고도 많은 탕이 존재함. 현재 일부 기업이 생산 중에 있으나 영향력이 미미한 상황임. 칭탕(清汤), 쥔탕(菌汤), 쏸탕(酸汤) 등 다양한 탕을 고객층을 넓히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 현재 주 구매층은 직장인, 독신, 고소득자이며 연령대는 20~35세가 주된 고객층임. 그 중 특히 수익이 높거나 구매력이 높은 독신 여성에게 인기가 많음. 이들을 제외하고도 다른 세대를 공략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해 보임.
ㅇ 꾸준한 제품 보완이 필요
- 현재 간편훠궈시장에는 전문 브랜드도 존재하고, 개인이 운영·판매하는 곳도 존재함. 이들은 대부분 시장에 진입한지 오래되지 않았기에 제품을 생산하는 데 있어 전문화된 표준이 필요해 보임.
- 모 브랜드의 간편훠궈의 경우 자가발열하는 순간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유리가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음. 편리함도 좋지만 안전성을 더욱 강화하는 게 필요해 보임.
ㅇ 인지도 상승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함.
- 올해를 기점으로 급격히 인기가 상승하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 보급률이 굉장히 낮음. 이에 지속적으로 간편훠궈를 홍보해 다양한 고객들이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말레이시아 스킨케어 시장동향 (0) 2017.11.30 [전문가 기고] 아제르바이잔 철도 건설동향 및 시사점 (0) 2017.11.30 다이소·미니소 등 태국 내 종합 생활용품점 창업 유행 (0) 2017.11.30 베트남, '스마트시티'를 통한 도약을 꿈꾸다 (0) 2017.11.30 필리핀, 베이비푸드 수요 증가 (0) 2017.11.30 2018 중국경제전망 세미나(1) (0) 2017.11.29 브라질, 성탄 매출 4년 만에 플러스 성장 (0) 2017.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