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베트남, '스마트시티'를 통한 도약을 꿈꾸다
    World Wide 2017. 11. 30. 21:41
    반응형
    베트남, '스마트시티'를 통한 도약을 꿈꾸다
    2017-11-30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스마트시티베트남 지속가능발전 및 도시화 문제 해결책으로 대두 -

    - 베트남 현지 사정 고려해 IT 서비스, 인프라 개발 강점있는 우리 기업들 참여 기대 -

     

     


    □ 베트남 정부의 스마트시티(Smart city) 조성 계획


      ㅇ 베트남 중장기 경제 성장 동력으로 꼽힌 스마트시티 개발  

        - 베트남 정부의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은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응웬쑤언푹(Nguyen Xuan Phuc) 베트남 총리가 스마트시티 개발을 베트남 중장기 경제 발전을 위한 주요 계획으로 삼음

        - 그 이후 베트남 주요 도시·성들이 각기 스마트도시 조성 계획을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시범 프로젝트를 위해 비에텔(Viettel), VNPT, IBM등 로컬·외국 IT 기업들과 MOU 체결에 열을 올리는 중

     

    베트남 스마트시티 모델 이미지

    external_image

    자료원: 현지 언론(the gioi Vietnam)

     

    □ 베트남왜 스마트시티에 주목하는가?


      ㅇ 스마트시티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 2017 10 25국제 스마트시티 콘퍼런스에서 응우엔티엔년(Nguyn Thin Nhân) 베트남 공산당 호찌민시 당서기(12기 정치국원)는 스마트시티의 중요성을 강조함. 그는 스마트시티 조성의 주요 목적으로 ① 지속가능한 정치·경제 발전, ② 효율적 도시관리, ③ 삶의 질 개선, ④ 피드백을 통한 도시 행정 효율화를 꼽음.

        - 또한 해당 콘퍼런스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계획 및 발전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


      ㅇ 베트남이 직면한 다양한 도시문제의 해결책

        - 베트남은 현재 급속한 도시화로 촉발된 도로교통도시안전환경오염의료·보건·하수도 등의 도시문제에 대한 해결법으로 스마트시티를 선택했음그 결과관련 프로젝트의 상당수는 대규모 도시 인프라 설계 및 서비스 구축사업임.

     

    베트남 스마트시티 주요 개발분야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 베트남 주요 도시·성별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 및 프로젝트 사례


      1) 호찌민(Hochiminh)


      ㅇ 트릴리언트(trillianttk)사이공하이테크파크(SHTP)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프로젝트 개발

        - 2017 8 15, SHTP(Saigon Hi-Tech Park) Trillianttk(IoT  스마트 에너지 관련 업체) 동남아 최초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대해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 해당 계약은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Smart lighting system) 프로젝트로 LED 가로등을 설치한  현재 EVNHCMC 보유한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활용해 제어할  있도록 구성할 계획임

        - 프로젝트가 완료된  SHTP 에너지를 절약하고 신규 입주업체 유치안정성 등의 추가적인 이점을 얻을 것으로 보임


      ㅇ 롯데그룹호찌민시 투티엠 지역 에코-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개발 

        - 2017년 7 25일 롯데그룹은 응우엔 타인 (Nguyen Thanh Phong) 호찌민시 인민위원회 주석과  2조 원 규모의 '투티엠(Thu Thiem) 에코-스마트시티(Eco-smart city) 프로젝트' 대한 계약을 체결했음.

        - 투티엠 지구에서 에코-스마트시티가 들어오는 부분은 투티엠 2A지구로 면적은  7.45헥타르 달함롯데는 해당 지구를 동남아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임.


      2) 다낭(Da Nang)


      ㅇ  2016 7다낭시와 베트남 국영통신사 비엣텔(Viettel)은 교통헬스케어환경수질 관리에너지 등 스마트도시 발전을 위해 주요 부문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함

        - 베트남 다낭시는 일찍부터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IT 인프라 개발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옴. 2012년 다낭시는 IBM의 스마터시티챌린지(SCC: Smarter Cities Challenge) 프로그램에 전 세계 33개 도시 중 하나로 선정돼 교통식품 안전수자원 관리 부문의 IT기술 적용을 도움받음.

        -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전자 정부(e-Government) 플랫폼을 구축하기도 함.


      3) 껀터(Can Tho)


       2016~2020 껀터 스마트시티 건설계획(Decision No.13-NQ/TW) 통해 거주지역과 문화공간이 공존하는 단지를 조성하고자.

        - 한국은 한국-베트남 인큐베이터파크(KVIP, Korea-Vietnam Incubator Park)를 통해 220 달러500헥타르 규모의 스마트시티건설을 지원하고 있음.

        - An Tin Group 껀터시 Vo Van Kiet 주변 300ha 6,637 달러를 들여 스마트 시티를 조성할 계획임


      4) 하노이(Hanoi)


      ㅇ 북부 녓떤(Nhat Tan)-노이바이(Noi Bai) 지역에 40억 달러 규모 스마트시티 조성

        - 2017 6 하노이 인민위원회와 BRG 그룹스미토모(Sumitomo) 그룹은 하노이 북부 녓떤(Nhat Tan)-노이바이(Noi Bai) 지역에 40억 달러 규모의 스마트시티를 개발하기로 합의함.

        - 해당 프로젝트에는 하노이 도시계획연구소와 베트남 도시계획발전협회가 함께 하며도시 디자인설계에는 P&T 그룹이 참여함.


      5) 끼엔장(Kien Giang)과 빈증(Binh Duong)


      ㅇ 2017 4 끼엔장성 인민위원회는 670 달러 규모의 '2020 푸꿕섬(Phu Quoc) 스마트시티 계획안' 승인했음본 프로젝트는 정보통신 인프라(광인터넷, 4G)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이를 위해 VNPT 협력하기로 함.


      ㅇ 2016 11월 빈증성 인민위원회는 스마트시티 개발 프로젝트인 'Binh Duong Navigator 2021' 프로그램을 승인함.


    □ 베트남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한 전문가들의 조언


      ㅇ 이와 같이 베트남 주요 도시·성들이 앞다투어 스마트시티 개발 계획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이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존재함.

        - 베트남은 도로교통 등 기본적인 인프라 발전 수준이 아직 높은 수준에 이르지 못함월드뱅크 2016 LPI 보고서에 따르면베트남의 인프라발전 순위는 160개국 중 70위로 인근의 태국(48), 말레이시아(33보다 순위가 낮음이 때문에 스마트도시 조성에 앞서서 기본 인프라부터 구축해야 한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주장함.

        - 또한 베트남은 총 63개 도시·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일부 대도시(호찌민하노이다낭 등)를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발전수준이 매우 낮고 낙후된 지역이 많이 존재함. 도시별 인구 수, GDP 규모주요 산업 등의 차이 역시 심함이처럼 각 도시·성별로 발전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스마트도시 개발 시 요구하는 수준도 다름따라서 베트남 정부는 도시별로 우선 개발 순위를 잘 선정해서 스마트시티를 개발해야 한다고 도시개발 전문가들은 조언함.

     

    베트남 호찌민시 스마트도시 부문별 점수


    external_image

    자료원: IESE Business School

     

    □ 시사점

     

      ㅇ 일반적으로 스마트시티는 'IoT(사물인터넷등 첨단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모든 기반시설을 인터넷으로 연결한 미래형 도시'로 정의하지만베트남의 스마트시티 개발은 이와는 다른 의미로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음.


      ㅇ 즉, 베트남식 스마트시티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고도화에 따른 인구 증가교통 체증환경 오염교육·의료시설 부족 등의 부작용을 해결하고 베트남 중장기 경제 발전의 모멘텀으로 활용하기 위해 등장했다고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할 것임.

        - 이에 따라 베트남이 추구하는 스마트시티는 결국 IT, 교통 등의 도시 인프라 개발 및 건축·부동산 부문을 중심으로 개발될 것임.


      ㅇ 베트남의 경제 성장과 소득 상승으로 베트남은 월드뱅크 분류 기준 저소득국가에서 중저소득국가로 격상됨이후 월드뱅크아시아개발은행 등 베트남 주요 ODA 공여기관들의 대베트남 ODA 기금이 줄고 우대조건이 중단됨. 이러한 자금 부족 문제로 베트남은 자체적으로 스마트시티를 개발할 여력이 없어 외국 기업들의 참여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 중. 


      ㅇ 베트남은 대형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수요가 높은 곳으로 주요 도시 내 스마트타운(town) 개발 프로젝트도 많이 생겨나고 있음. 베트남은 아직 스마트시티 개발 경험이 많이 없기 때문에 우리 정부 및 민간 기업들은 베트남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한 경험을 공유하고 서비스를 개발 노력이 요구됨.

        - 특히 대규모 도시 개발 및 IT 서비스 구축에 경험이 많은 우리 기업의 참여가 기대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