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美 완성차 경량화 움직임에 구조용 접착제시장 들썩
    World Wide 2017. 12. 1. 17:21
    반응형
    美 완성차 경량화 움직임에 구조용 접착제시장 들썩
    2017-12-01 김지윤 미국 디트로이트무역관

    - 경량 소재 사용 증가로 2017년 구조용 접착제 시장규모 134억 달러 전망 -
    - 2017년 대미 구조용 접착제 2000만 달러 수출, 전년 대비 25% 증가 -




    □ 완성차 업계 경량화 현황

     

       ㅇ Plante Moran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OEM 평균 경량화 소재 사용 비중을 2030년까지 대폭 확대

        - 일반 강철보다 10% 가벼우면서도 2배로 강도가 높은 고장력강(HSS) 및 초고장력강(AHSS)을 포함한 탄소 섬유(Carbon Fiber),플라스틱(Plastics), 알루미늄(Aluminum)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반면, 현재 차 중량의 52%를 차지하는 강철(Steel)의 비중을 39% 감소시켜 2030년 13%를 목표로 경량화 진행 중

     

    핵심 경량 소재(단위: %)

    소재

    2017년

    2030년

    강철(Steel)

    52

    13

    고장력강(HSS)·초고장력강(AHSS)

    15

    38

    탄소 섬유(Carbon Fiber)

    >1

    5

    플라스틱(Plastics)

    9

    11.5

    알루미늄(Aluminum)

    5

    12

    기타

    19

    20.5

    자료원: Plante Moran

           

    □ 북미 OEM 완성차 경량화 동향

     

      ㅇ (Ford) 완성차 업계 최초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차제를 Ford사 대표 차종인 F-150에 도입함으로써 약 300kg(660Ibs)무게 감량 성공

     

      ㅇ (FCA) 마그네슘 소재 사용이 인스트루먼트패널(Instrument Panel), 시트 프레임(Seat Frame), 파워트레인 부품 및 엔진까지 확대되면서 차량 중량의 75% 무게 감량


      ㅇ (GM) Cadillac사 CT6 차종에 알루미늄 차체 사용으로 약 90kg(198Ibs) 감량

         

    □ 구조용 접착제 시장규모 및 현황

     

      ㅇ 경량소재 사용이 가속화되면서 고장력강(HSS), 초고장력강(AHSS), 탄소 섬유알루미늄 및 플라스틱과 함께 구조용 접착제가 주목받고 있음.

        - 월스트리트저널에 의하면 구조용 접착제를 활용하면 연결금속 사용이 최대 5만 개까지 줄어든다고 발표 

        · Ford사 F-150에 기존보다 3배 이상의 구조용 접착제 사용으로 약 25kg 감량 성공

        · 볼트스크루 등의 금속 타입의 결합품을 구조용 접착제로 대체하면서 GMC사의 아키디아는 기존 모델과 비교 약 317kg 감량

     

      ㅇ IBIS World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구조용 접착제 시장 규모는 총 134억 달러로 이 중 사무용품 및 포장(Office supplies and packaging) 산업이 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는 것으로 집계됨.

        - 그 외 자동차 제조업체(Automotive manufacturers) 20.1%, 건축(Construction) 16%, 비행기 제조업체(Aircraft Manufacturers) 13% 및 의료(Medical) 7.9%가 있음.

     

    구조용 접착제 수요 구성표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

     

      ㅇ 3M이 29.2%로 미국 구조용 접착제 제조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The Dow Chemical Company17.6%로 집계됨.

        - 3M사의 2017년 예상 영업 이익은 2016년 376430만 달러 대비 약 3.5% 증가한 39400만 달러로 전망


    미국 구조용 접착제 제조 시장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

       

      ㅇ 제조산업이 집중 위치해 있는 오대호(Great Lakes) 지역을 중심으로 일리노이주인디애나주 및 켄터키주가 전체 구매 수요의22.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

        - 자동차산업이 발달한 미시간 지역을 중심으로 구조용 접착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다수의 접착제 공급업체들이 위치 

     

    미국 구조용 접착제 수요 분포도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

     

    □ 미국 수입동향

     

      ㅇ HS Code 3506을 기준으로 2016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42645만 달러로전년 대비 5.4% 증가로 최근 3년간 수입액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임.

     

      ㅇ 2016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독일로 약 1억 달러 수출했으며 전체의 23.8% 차지

     

      ㅇ 2016년 해당 품목 2000만 달러를 수출한 한국은 5위를 차지했으며 2015년도 대비 25%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미국 시장 내 수입 현황(HS Code 3506)

    (단위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

    2015

    2016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  

    총수입액

    392

    100

    403

    100

    426

    100

    1

    독일

    99

    25.3

    98

    24.4

    101

    23.8

    2

    중국

    66

    17

    72

    18

    77

    18.1

    3

    캐나다

    62

    15.8

    63

    15.7

    67

    15.9

    4

    일본

    22

    5.6

    22

    5.5

    20

    4.8

    5

    한국

    15

    3.8

    19

    4.8

    20

    4.8

    6

    이탈리아

    21

    5.4

    17

    4.3

    17

    4.1

    7

    멕시코

    16

    4.1

    15

    3.7

    17

    4.0

    8

    네덜란드

    10

    2.6

    12

    2.9

    16

    3.9

    9

    대만

    15

    3.8

    13

    3.4

    15

    3.5

    10

    영국

    13

    3.4

    13

    3.2

    14

    3.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분류 하 자동차부품 관세는 세부품목에 따라 다양한 수입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수혜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혹은 감세 혜택을 부여하고 있음.

        - 한국은 세부품목에 따라 2012년 3월 발효된 한-미 FTA로 인한 다양한 무관세 및 감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미국 관세 현황

    품목명

    Prepared Glues and Adhesives

    HS Code

    3506

    적용 관세

    한국산 무관세 적용

    Unit

    Kg

    자료원: USITC


    □ 시사점

     

      ㅇ 완성차 업체를 위주로 경량화 및 고연비 실현을 위한 구조용 접착제를 포함한 경량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국내 부품사와 화학업체와의 적극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접착력이 뛰어나고 고온에 강한 제품으로 시장 선점 필요

        - 고온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거론되면서 엔진부품의 경우 볼트스크루 등 금속 타입의 결합품 사용

     

      ㅇ 금속 타입의 결합품 대비 구조용 접착제의 경우 부품 교체 시 분해과정이 복잡하다는 점이 사용 확산을 위해 해결돼야 하는 문제인 만큼 OEM과 협력해 '정비성'을 높인 부품 개발을 통한 진출전략 모색 필요

     

      ㅇ 차체 강도를 높이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등 강점이 있음에도 기술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만큼 기술 개발의 기회가 많은 블루오션으로 평가국내 화학업체 및 중소기업을 위주로 OEM 및 글로벌 부품사의 기술 요구 사항이 반영된 제품 개발이 활발할 전망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