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원자력 폐쇄에 따른 태양발전시스템 수요 증가
    World Wide 2017. 12. 6. 17:03
    반응형
    [유망] 원자력 폐쇄에 따른 태양발전시스템 수요 증가
    2017-12-06 김민혁 스위스 취리히무역관

    국민투표에 따라 2050년까지 스위스 내 원자력발전소 폐쇄 확정 -

    대체 에너지 수요가 급부상으로 광전지용 반도체 수요 증가 전망 -

     

     

     

    □ 스위스 원자력 발전소 폐쇄 추진에 따른 광전지용 반도체 수요 확대 전망(선정 사유)

     

       2017 5월 실시된 스위스 국민투표에서 Energy Strategy 2050(이하 ES 2050) 법안이 58.2%의 찬성률로 통과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원전 폐쇄가 확정돼 대체 에너지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태양열(태양광태양열 시스템 등 포함에너지는 현재 재생에너지 중 스위스 내 활용도가 낮으나 이용 증가가 가장 용이한 분야임.

        - 솔라 파크주택 지붕용 에너지 설비 확충으로 이용도를 크게 제고할 수 있음.

       

      ㅇ 감광성 반도체(HS Code 8541.40)는 광전지 시스템의 핵심 부품으로써태양열(광전지 시스템)의 수요 증가는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음.

     

    □ 스위스 태양광 발전 시스템 동향

     

      스위스 태양광산업협회인 Swissolar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스위스에는 5만9000개의 광전지가 설치돼 있음. 2016년에만 264MW의 용량이 추가돼 현재 총 1664MW의 용량을 가지고 있음. Swissolar에서는 위 통계는 소규모의 광전지를 제외한 통계라고 명시함.

        - 스위스에서 가능한 시간당 생산량은 1580GWh.

     

      ㅇ SFOE(Swiss Federal Office of Energy)는 홈페이지에 현재 스위스의 전체 에너지 소비에 대한 태양열의 비율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지만그 잠재력은 높게 평가한다고 언급함.

        - 2015년 태양열 에너지가 스위스 신재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이고, 2016년은 2.3%. 2017년은 2.8~3%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함. 

        - SFOE(Swiss Federal Office of Energy)에 따르면, 2050년까지 스위스 전기 수요의 20%를 태양열 광전지(PV)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언급함.

      

    □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 수입 동향

     

      ㅇ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로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임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전지(태양전지)는 컴퓨터 칩 제조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반도체로 구성됨.

        - Credit Suisse 에서 발간한 2016년 산업 리포트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자제품 카테고리에서 전자부품이 고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반도체는 이 전자 부품 카테고리에 속하며특히 재생가능 에너지 부분에서 수요가 높음.

        - 광전지에 사용되는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가 전체 반도체의 수입에서 약 60~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스위스의 전자부품반도체 카테고리 수입 규모 및 점유율 비교

    (단위: 백만달러, %)

    HS Code

    구분

    2015

    2016

    2017 3Q

    점유율

    증감률

    ('17/'16)

    2015

    2016

    2017 3Q

    8541

    반도체

    461.45

    378.20

    266.66

    100

    100

    100

    -12.24

    854140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

    312.59

    257.69

    177.06

    67.74

    68.1

    66.4

    -14.89

    854190

    부분품

    34.12

    36.46

    23.03

    7.4

    9.64

    8.64

    -22.47

    854110

    다이오드

    38.20

    26.97

    18.67

    8.28

    7.13

    7

    5.73

    854129

    기타

    22.48

    24.54

    18.29

    4.87

    6.49

    6.86

    -20.44

    854160

    장착된 압전기 결정소자

    27.44

    12.60

    11.15

    5.95

    3.33

    4.18

    10.72

    854150

      반도체 디바이스

    15.67

    9.83

    10.20

    3.4

    2.6

    3.83

    44.59

    854130

    사이리스터다이액트라이액(감광성 외)

    5.76

    5.65

    4.52

    1.25

    1.5

    1.69

    -7.58

    854121

    전력 낭비율이 1W 미만

    5.20

    4.45

    3.74

    1.13

    1.18

    1.4

    8.55

    : 1) 증감률은  연도 3분기 기준 변화율임, 2) 자료원: WTA

     

    □ 최근 3개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스위스 감광성 반도체 수입규모 추이(HS code 8541.40 기준)

    (단위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

    세계

    295.17

    312.59

    257.69

    100

    100

    100

    -17.56

    1

    중국

    117.72

    125.74

    80.78

    40.23

    31.35

    31.35

    -35.76

    2

    독일

    72.50

    76.76

    58.15

    24.56

    22.57

    22.57

    -24.24

    3

    미국

    8.56

    12.45

    18.16

    3.98

    7.05

    7.05

    45.82

    4

    네덜란드

    23.47

    17.84

    15.39

    5.71

    5.97

    5.97

    -13.7

    5

    말레이시아

    10.80

    11.20

    12.57

    3.58

    4.88

    4.88

    12.17

    6

    대만

    12.16

    17.82

    12.01

    5.7

    4.66

    4.66

    -32.61

    7

    오스트리아

    4.74

    8.05

    11.64

    2.57

    4.52

    4.52

    44.69

    8

    프랑스

    5.36

    8.87

    9.20

    2.84

    3.57

    3.57

    3.74

    9

    일본

    9.06

    7.83

    8.93

    2.5

    3.47

    3.47

    14.16

    10

    이탈리아

    6.98

    5.46

    6.30

    1.75

    2.44

    2.44

    15.36

    11

    슬로베니아

    1.83

    4.21

    5.14

    1.35

    1.99

    1.99

    21.93

    12

    한국

    2.08

    2.47

    3.34

    0.7

    0.79

    1.3

    35.48

    자료원: WTA


      ㅇ 2015 스위스 프랑 강화 이후 제조업들의 전체적인 부진으로 산업 전반에 위축이 나타났으며반도체 수입 또한 2016 -18% 달하는 감소세를 기록했음.

        - 중국과 독일의 비중이 전체의 50% 상회하고 있으며이외 국가들의 비중은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음.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최근 3개년(2014~2016기준 규모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수입에서의 비중 역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감광성 반도체 수입규모 추이(HS Code 8541.4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7/'16)

    2016

    2017

    2016

    2017

    -

    세계

    208.03

    177.06

    100

    100

    -14.89

    1

    독일

    44.23

    41.41

    21.26

    23.39

    -6.38

    2

    중국

    70.10

    38.15

    33.7

    21.55

    -45.59

    3

    미국

    13.96

    19.40

    6.71

    10.96

    38.97

    4

    네덜란드

    13.40

    10.70

    6.44

    6.05

    -20.15

    5

    대만

    9.84

    9.80

    4.73

    5.53

    -0.42

    6

    말레이시아

    9.79

    9.76

    4.71

    5.52

    -0.3

    7

    일본

    6.88

    9.29

    3.31

    5.24

    35.01

    8

    오스트리아

    8.96

    9.01

    4.31

    5.09

    0.47

    9

    프랑스

    6.46

    7.54

    3.11

    4.26

    16.66

    10

    이탈리아

    5.17

    3.59

    2.49

    2.03

    -30.63

    11

    한국

    2.70

    3.58

    1.3

    2.02

    32.8

    자료원: WTA

     

        - 2017 3분기 기준, WTA 최신 자료에 따르면 전체 수입은  15% 감소했으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0%증가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기업명

    특징

    Meyer Burger

    - 홈페이지: www.meyerburger.com

    - 고품질의 광전지 제조라인

    - SWCT(SmartWire Connection Technology)기술로 높은 에너지 생산 능력 제공

    Flisom

    - 홈페이지: flisom.com

    - 2005년에 취리히 공과대학(ETH Zurich)의 스핀오프로 시작한 기업

    Solaronix SA

    - 홈페이지: www.solaronix.com

    - 15년의 경험을 가진 광전지 부품 선도 공급업체

    - 특수 화학제품의 선도적 공급업체

    Solterra SA

    - 홈페이지: www.solterra.ch

    - 주로 가정집에 태양광 패널을 제공하는 기업

    Sat Solar AG

    - 홈페이지: www.sat-solar.ch

    - 주로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기업으로, 독일 및 남유럽 시장에 진출해 있음.

    - 제조업체가 아닌 도매 공급업체로 경쟁기업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시장 진출의 기회가 될 수도 있는 기업

    자료원:  기업 홈페이지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관세율

        - 무관세 적용

        부가가치세 8%

        추가 중량 시 20%

     

      ㅇ 비관세 조항 

        - 스위스 수입업자가 반도체를 수입할 경우환경(FOEN,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에서 요구하는 폐기물 수입 사전 절차를 위해 요구사항을 있을 것이니 참조 요망

        · 관련 정보: http://xtares.admin.ch/tares/details/tarifDetailFormFiller.do;jsessionid=2G7yhfgHlschcy0p11KbTnx7W2QzFFwNQnt2QLJLbmNrJz1dl7Cr!-68788752?tn=8541.4000&zc=00&schluessel=000&isApplying=true&kopfdaten.countryIso2Code=DE&kopfdaten.userCountryIso2Code=DE&kopfdaten.direction=import&kopfdaten.date=30.11.2017

     

      ㅇ 수입규제 및 인증

        - CE 인증은 우선적으로 필요로 함. CE인증 외에도 ISO 인증, SEMI 인증 및 TÜV SÜD 인증을 요구하기도 함.

     

    □ 현지진출 방안 및 유의사항

     

      ㅇ 마케팅 방안

        - 반도체 유통사를 통한 판매나광전지를 제조하는 기업에 공급업체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음.

        - 가격경쟁력뿐만 아니라 품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스위스 기업은 품질테스트 기간이 적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해를 넘기기도 하니인내를 갖고 스위스 기업과 신뢰를 쌓아가며 롱텀 비즈니스(long-term business)를 노리는 것이 중요함.

     

      ㅇ 기술 협력 방안 

        - 신재생에너지는 스위스에서도 에너지 정책 2050 이후 떠오른 이슈임. 저탄소배출을 지향하는 국제적인 추세임에 따라신재생 에너지로의 투자 증가가 예상됨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스위스를 단순 판매시장이 아닌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협력 및 공동개발 파트너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스위스 잠재 신재생에너지 파트너 기업 목록

    기업명

    특징

    Swisscom Energy

    Solutions AG

    - 홈페이지: tiko.ch

    - 스위스 국영 통신사업자인 Swisscom와 전력공급사 Repower AG사의 합자회사로 설립돼 현재 Swisscom의 자회사로서 운영됨.

    H.Glass SA

    - 홈페이지: h.glass

    - DSSC(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으며, 2014년 스위스 정부로부터 클린테크놀로지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음

    * 식물의 광합성 작용원리에서 착안해 염료를 이용해 빛을 흡수해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 해당 기술은 기존의 태양전지에 비해 1KW당 제조원가가 1/2에서 1/3까지 저렴함

    Sat Solar AG**

    - 홈페이지: www.sat-solar.ch

    - 주로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기업으로, 독일 및 남유럽 시장에 진출해 있음

    - 제조업체가 아닌 도매 공급업체로 경쟁기업이 될 수도 있고, 시장진출 기회가 될 수도 있는 기업

    Solterra SA**

    - 홈페이지: www.solterra.ch

    - 주로 가정집에 태양광 패널을 제공하는 기업

    ILB Helios Group

    - 홈페이지: www.ilb-helios-group.ch

    -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활동하는 10 개의 국제 기업으로 구성된 그룹

    - 주로 이탈리아와 스페인에 대규모 태양열 패널 설치 프로젝트를 진행함.

    Meyer Burger**

    - 홈페이지: www.meyerburger.com

    - 고품질의 광전지 제조 라인

    - SWCT(SmartWire Connection Technology)기술로 높은 에너지 생산 능력 제공

    SUSI Partners

    - 홈페이지: susi-partners.ch

    - 신 재생에너지 펀드를 가지고 있는 펀드 운영사.

    주**: 일부 기업은 경쟁사 목록과 중복

    자료원: 각 해당 업체 홈페이지

      

    □ 시사점

     

      ㅇ 원전 폐쇄 결정에 따라 수력발전소를 필두로 한 신재생에너지 비중 증가 기대

        스위스 국민투표에서 원전 폐쇄가 확정되며 대체에너지 수요 증가로 인한 태양발전시스템 수요 증가 예상

        소형발전소 및 일반 가정 포함태양발전 설립에 의한 반도체 수요가 광전지 수요 증가로 인해 함께 증가할 전망.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또한 낙관적으로 전망됨.

       

      ㅇ 신재생에너지 수요 확대로 인해 반도체 수요 확대가 기대되며 이 분야에서 한국 제품 진출 확대 유망

        한국의 반도체 제품관련 대스위스 수출은 지난 3년간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고연방 정부의 태양발전 시스템 확장 등의 수요 기대 증가에 힘입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ㅇ 신 재생에너지는 한국뿐만 아닌 국제적인 이슈로써 수요 증대가 기대되는 산업임국내기업이 스위스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스위스 유통사나 제조업체에 공급업체로써 진출하는 방법이 있고기술협력 등을 통해 진출할 방안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음.

          

    □ 참고 자료

     

      ㅇ 관련 전시 및 행사 

        스위스에서 오로지 반도체에 관한 포럼은 2015 SEMI 이후 발생하지 않는 상태임하지만 정밀기기 관련된 전시회에 참여하면 스위스 반도체 기술을 볼 수 있음.

     

    콘퍼런스 및 전시회(회의정보

    전시회명

      오토메이션&일렉트로닉스 취리히 (Automation & Electronics Zurich)

    전시 품목

      정밀 기기전자 제품

    개최 장소

      스위스취리히

    개최 규모

      학생구매 담당자기술전문가 다수 참여 (제조사구매자 등)

    개최 기간

      2019년 6월 5~6일, 2일간(격년 개최)

    웹사이트

      http://www.easyfairs.com/automation-stage7-zurich-2017/automation-zuerich-2017/

    자료원: www.easyfairs.com

     

    전시회명

     제네바 EPHJ-EPMT-SMT 트레이드 쇼(EPHJ-EPMT-SMT trade show)

    전시 품목

     시계·시계부품정밀기계·부품마이크로테크놀로지레이저소프트웨어

    개최 장소

     스위스제네바

    개최 규모

     850여 개의 스위스프랑스독일오스트리아 기업

    개최 기간

     2018년 6월 12~15일, 4일간(매년 개최)

    웹사이트

     www.ephj.ch

    자료원: www.ephj.ch

     

    전시회명

      신덱스 (Sindex)

    전시 품목

      자동화, 전기전자, 로보틱, 반도체 전시회

    개최 장소

      스위스, 베른

    개최 규모

      400개 부스, 13000여 명 방문객

    개최 기간

      2018년 8월 28~30일, 3일간(격년 개최)

    웹사이트

      www.sindex.ch

     자료원: www.sindex.ch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