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러시아 부동산시장 현황
    World Wide 2017. 12. 22. 18:52
    반응형
    러시아 부동산시장 현황
    2017-12-22 김덕훈 러시아 모스크바무역관

    - 포화된 모스크바에 비해 성장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장 유망 -



     

    □ 러시아 부동산시장 개요

     

      ㅇ 러시아 부동산시장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두 대도시에서 가장 활발함.

        - 정치, 경제적 중심도시인 수도 모스크바에 오피스, 쇼핑센터 등 상업 부동산은 물론, 71%의 투자 부동산 비중이 집중돼 있음.

        -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최근 2년간 투자 부동산 매매가 4배로 급증하거나 주택 부동산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등 모스크바 건설 경기에 비해 크게 활발해짐.

     

      ㅇ 러시아 부동산시장의 성장률은 최근 3년의 경기침체 동안 정체 상태

        - 2016년 러시아 전체 GDP대비 건설분야의 비중은 6.2%로, 전년대비 절반 수준

        - 2017년 상가, 창고, 사무실 등 상업부동산 새 건설 계획량은 56% 감소해 2016년 14% 감소세보다 더 가파른 상황

        - 2016년 주택 부동산 건설 규모도 6% 하락해 8000만를 기록했으며,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로 가장 큰 하락 폭을 나타냄.

       

      ㅇ 러시아 전체 주택 부동산 건설계획 규모와 가격도 하락

        - 2014년 전년대비 20% 상승한 주택 건설은 2015년부터 꾸준히 하락세

        - 2016년 주택가격은 전년대비 0.4~3.0% 하락함. 다만, 고급 아파트의 경우 오히려 4.6% 증가하는 등 주택가격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

        - 모스크바에 비해 싼 주택가격으로 수요 증가가 일어나고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주택 건설은 2017년에 전년대비 2배로 상승

     

    러시아 주택 건설 변화

    4

    자료원: 러시아 연방통계청


      ㅇ 부동산 건설산업에서 중요한 지표인 기업 자신감 지수는 2014년 이후 꾸준한 하락세를 그림.

        - 2014년 이후 불안정한 러시아 국내외 경제, 정치 상황에 영향을 받음.

        - 주택가격의 하락과 건설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낮은 수익률이 가장 큰 원인

     

    건설분야기업 자신감 지수 변화(Entrepreneurial Confidence Index)

    (단위: %)

    3

    자료원러시아 연방 고등경제학교

     

      ㅇ 건설 투자의 낮은 하락세와 대출규모의 증가는 긍정적

        - 2016년 부동산 건축 수주 시공사는 전년 31개에서 40개로 증가

        - 건설에 필요한 고정자본에 대한 관련 기업들의 투자 하락률은 2015 10.1%에서 2016 0.9%로 급격히 안정됨.

        - 건설분야 대출규모는 2016 6.5% 증가한 14650억 루블을 기록미래 부동산 건설투자의 확충 가능성이 나타남.

     

    □ 모스크바 부동산시장 현황

     

      ㅇ 모스크바 시내 새 부동산 건축량은 최근 몇 년간 크게 감소함.

        - 2017년 상반기 주택 41만오피스 57000쇼핑센터 37만5000창고 24만㎡ 규모의 신규개발 계획은 2016년 각각164만㎡, 453000, 425000, 85만㎡에서 감소함.

        - 이는 스타라야 모스크바*의 건설부지 포화로 인한 현상으로 분석됨.

        * 스타라야 모스크바(Старая Москва): 옛 모스크바라는 뜻으로전통적인 원형 경계 내 모스크바를 뜻함. 반대로 노바야 모스크바(Новая Москва)는 모스크바 서남쪽의 길게 늘어진 시 경계를 뜻하며, 2012년 도시 부지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모스크바 행정구역에 편입됨.

     

      ㅇ 모스크바 상업 부동산 분야특히 오피스와 쇼핑센터의 경우 최근 몇 년간 공급이 과잉된 상황

        - 전문가들은 향후 2~3년간 상가 부동산 분야에서 소규모 쇼핑센터를 제외하고는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부재할 것이라고 전망

        - 창고 부동산 분야에서는 수요-공급 균형이 유지되고 있으며, Build-to-suit(맞춤건설)의 방식의 건설 트렌드가 두드러짐.

     

      ㅇ 모스크바 건설시장에서는 산업단지와 주택의 재건축이 유망한 상황

        - 모스크바 강 연안의 산업단지 대규모 재구조화 프로그램으로 인한 관련 부동산 건설 경기성장은 활발할 것으로 보임.

        - 2017 5층 아파트(흐루쇼프카*)를 중심으로 한 재건축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며새 주택 건설 수주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주택 부동산 분야 성장동력임.

        * 흐루쇼프카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량으로 건설한 패널형 5층 아파트이며비슷한 개념으로 9층의 브레즈네프카(브레즈네프 주도 건설)도 있음.

     

    □ 상트페테르부르크 부동산시장 현황

     

      ㅇ 상트페테르부르크 주택 부동산 건설은 활발하게 이뤄짐.

        - 전체 주택 부동산 중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의 비중은 8% 상승그 중 절반이 임대를 내주기 위해 구입된 것으로 조사됨.

        - Colliers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1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새 아파트 건설량은 2016년 대비 2배 상승할 것

        - 컴포트 클래스의 아파트의 비중은 19%에서 34%로 증가하는 등 가장 활발하게 발전 중이며비즈니스 클래스의 고급 아파트는 대부분 투자 목적으로 구입됨.

     

      ㅇ 상트페테르부르크 오피스 부동산의 공급은 하락하고 있으나 수요는 꾸준한 상황

        - 2017년 상반기 총 오피스 부동산 건설 계획량은 전년 동기대비 5분의 1 수준

        - 같은 기간 7개의 비즈니스센터가 건설되고 있으며그 중 6개가 5000 이하의 소규모 오피스

        - 고급 사무실 부동산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와 더불어 건설 계획 감소로 임대료는 상승

        - 2018년 완공 예정인 가즈프롬의 본사 IFC 라흐타 센터의 건설은 고급 오피스 부동산 공급에 있어 주목할 만함.

     

      ㅇ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상가 부동산은 새 건축보다는 재건축이 활발한 상황

        - 2017년 상반기 새 쇼핑센터의 개장은 부재하며 당분간 새 시설의 건설 계획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 상가 부동산의 재건축은 진행 중

        - 증가하는 수요와 공급의 부재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쇼핑센터 공실률은 하락함.

     

    □ 러시아 투자 부동산시장 및 개발사 현황

     

      ㅇ 러시아 투자 부동산시장은 러시아 신용등급 상향과 함께 확대되고 있음.

        - Standard & Poors 국제 신용평가기관은 러시아 GDP 성장률을 1.7%로 예상하며 신용등급을 부정적에서 안정으로 상향

        - 미국 부동산 투자컨설팅 회사 JLL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 투자 부동산시장은 전년대비 82% 급격히 증가 42억 달러 규모(2015 23억 달러).


     자료원: JLL Company

      

      ㅇ 모스크바 및 수도권의 투자 부동산 매매 비중이 71%로 가장 높음.

        - 상트페테르부르크는 2016 5%에서 22%로 급등했음. 특히 2016년에 30%에 불과하던 아파트 투자 매매는 2017년 상반기57%로 증가한 것이 주요 요인

        - 전체 투자 부동산 매매 중 오피스 부동산이 60% 차지투자 매력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Raven Russia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3개 비즈니스센터(Kellerman, Premiun, Gorigo 물류센터) 49억 루블에 매입한 것이 대표적 사례

        - 두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의 부동산 투자 매매 비중은 매우 작음.

     

    지역별 부동산 투자매매 비중

    8

    자료원: JLL Company

     

      ㅇ 외국인의 러시아 부동산 투자매매는 총 투자매매 중 19%를 차지하며 상승하고 있음.

        - 2016 5%에서 2017 3분기 19%로 상승대부분 러시아 회사와 외국 회사의 공동투자 형태로 나타남.

        - RFPI Turkish Sovereign의 공동출자 펀드가 러시아 사회 인프라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

        - 중국 투자자들의 러시아 부동산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중국 Fosun Corporation  러시아 Avica가 공동으로Vozdvizhenka 비즈니스 센터를 매입한 것이 대표적 사례

     

    국가별 러시아 부동산 투자매매 비중

    9

    자료원: JLL Company

     

      ㅇ 러시아 주요 주택 개발사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집중돼 있음.

        - 주택개발 규모 기준 1, 2위 주택 개발사는 Holding Setl Group LSR Group으로 모두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본사가 있음.

     

    2016년 러시아 TOP 10 주택 개발사

    회사명

    지역명

    웹사이트

    주택개발 규모(㎡)

    1

    Holding Setl Group

    상트페테르부르크

    http://www.setlgroup.ru/

    979,983

    2

    LSR Group

    상트페테르부르크

    http://www.lsrgroup.ru/

    756,590

    3

    GC ABSOLUT

    모스크바

    http://www.absrealty.ru/

    562,737

    4

    PIK Group

    모스크바

    www.pik.ru

    557,818

    5

    GC Etalon

    상트페테르부르크

    http://lenspecsmu.ru/

    http://www.etalon-invest.com/

    519,317

    6

    GC Morton

    모스크바

    http://www.morton.ru/

    506,022

    7

    GC SU-155

    모스크바

    http://www.su155.ru/

    398,842

    8

    Group Aircraft - Development

    모스크바

    http://samoletgroup.ru/

    382,990

    9

    FSK Leader

    모스크바

    https://fsk-lider.ru/

    313,974

    10

    INTEKO Group of Companies

    모스크바

    http://inteco.ru/

    295,007

    자료원: 각 사 웹사이트,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 조사

     

      ㅇ 러시아 상업용 부동산 개발 투자는 물류창고 및 유통단지에 집중돼 있음.

        - 상업 부동산 개발 또한 두 대도시에서 비교적 활발한 상황

        - ENKA TC 등은 터키와 같은 외국계 부동산 개발사임.

     

    러시아 주요 상업 부동산 개발사

    회사명

    상세 내용

    웹사이트

    Raven Russia

    러시아 상업 부동산 투자 전문 회사이며현재 러시아 물류 및 창고 분야 부동산 선도기업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로스토프 온 돈 지역에 총 150㎡의 A클래스 창고 건설. 러시아 내 267헥타르의 개발 잠재력을 가진 토지를 보유

    http://www.rrpa.ru/

    http://www.ravenrussia.com/

     Multinational

    Logistics

    Partnership 

    고급 물류 센터와 창고 콤플렉스에 투자하는 4명의 러시아우크라이나 기업가 합작투자 프로젝트. MLP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여러 도시에 창고 및 물류 터미널 다수를 보유 중

    http://www.sklad-man.ru/

     ENKA TC 

    터키 ENKA사의 러시아 내 유통법인. 1997년 설립돼 모스크바 내 9,상트페테르부르크 내 1개의 Kapitoliy 쇼핑 센터를 보유하고 있음

    http://www.enka.com/

      Jensen Group  

    Jenson Group은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레닌그라드 주의 부동산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으며현재 5억 달러의 투자 자산 보유 중

    http://www.jensen.ru/

    자료원: BMI


    □ 시사점

     

      ㅇ 러시아 부동산시장 역시 여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국가 경제상황과 관련이 높음.

        - 국가산업의 천연자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경제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이는 산업 부동산 성장을 저해함.

        - 러시아 정부가 설정한 연간 3%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업 다각화가 필수로 요구되지만, BMI에서는 당분간은 현재 상황을 타파하기 힘들 것이라고 언급

        - 2017년 경제성장률은 1.2%, 2020년까지 최대 1.7%를 기록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으로 인해 늘어진 소비자와 기업의 경제심리지수는 상업적 부동산시장의 성장을 제한할 것

        -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상업용지에 대한 수요는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BMI전망은 긍정적임.

     

      ㅇ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전통적 부동산시장이 강했던 모스크바에 비해 더 안정적인 투자 환경이 조성될 전망

        - 수도에 비해 낮은 주택가격과 주택건설의 증가꾸준한 상가 부동산의 수요 덕분에 시장 확대의 기회는 충분한 상황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주택을 포함한 전체 부동산 투자매매 건수도 2016년 이후 급격히 증가전체 부동산시장의 활성화 기여할 전망

     

      ㅇ 현지 회사와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내 비즈니스 및 쇼핑센터 등 상업 부동산에 대한 공동투자가 유망

        - 러시아 투자 부동산 시장규모는 급격히 상승했으며, JLL에 따르면 당분간 상승기조는 계속될 것으로 나타남.

        - 하락세를 타는 러시아 전체 부동산시장에 비해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시장은 인구 유입과 주택 건설 증가 등으로 상승 중이며특히 안정적인 고용률로 오피스와 상가 부동산에 대한 수요는 꺾이지 않고 있음.

        - 규모 있는 비즈니스센터에 대한 투자를 진행한 중국과 터키그리고 Raven Russia의 사례를 참고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업 부동산에 대한 공동투자 가능성 검토가 필요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