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자니아, 인접 국가와의 도로 건설을 통해 동아프리카 물류 허브로 도약World Wide 2019. 5. 30. 09:29반응형
탄자니아, 인접 국가와의 도로 건설을 통해 동아프리카 물류 허브로 도약
2019-05-29 한지현 탄자니아 다레살람무역관
- 도로 인프라 구축 중점 정책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장 확대 전망 -
- 내륙국과의 연계를 통해 도로 운송 서비스 수요 증가 전망 -
□ 탄자니아 도로 운송 현황
ㅇ 탄자니아 도로 현황
- 2017년 기준 탄자니아 도로 길이는 총 8만 6,472km로, 1만 2,786km는 간선도로 (Arterial Road)이며, 2만 1,105km는 집산도로(Collector Road), 나머지 5만2,581km는 국지도로(Local Road)로 구성되어 있음.
- 탄자니아 국내 도로 운송을 총괄하는 기관은 노동교통통신부(Ministry of Works, Transport and Communication) 산하의 Tanzania National Roads Agency(TANROADS)임.
TANROADS 로고
자료: TANROADS
- TANROADS는 총 3만 3,891km의 간선도로 및 집산도로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도로의 약 40%에 해당
- 나머지 60%(5만 3,460km)는 Prime Minister’s Office Regional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PMO-RALG)가 관리
ㅇ 탄자니아 전체 운송수단 중 도로 운송이 가장 많음.
- 탄자니아 승객의 90%, 화물의 75%가 도로로 운송됨.
- 2018년 탄자니아 도로 화물 운송량은 약 2억 2,720만 톤으로 전년대비 5.6% 증가하였으며, 2019년 역시 전년대비 5% 이상의 성장을 기록, 화물 운송량은 약 2억 4천만 톤 이상으로 추정
탄자니아 도로 화물 운송 현황 및 전망
(단위: 천 톤, %)
2015
2016
2017
2018
2019f
2020f
총 운송량
211,042
213,363
215,987
227,195
240,699
253,781
성장률
3.8
4.1
4.2
5.6
5.8
6
자료: Tanzania Freight Transport & Shipping Report(BMI) 자료 종합 무역관 작성
ㅇ 탄자니아 국내 운송산업은 2014년 21억 달러에서 2018년 36억 달러 규모로 5년 사이 1.7 배 성장
- 최근 5년 동안 매년 2억톤이 넘는 도로 화물 운송량을 기록하였으며, 앞으로도 5% 이상의 성장률 유지 전망
- 도로를 이용한 육상물류 관련 인프라 발전이 탄자니아 전체 운송산업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ㅇ 탄자니아의 개발 비전 2025 및 5개년개발계획(Tanzania Five Year Development plan)에 따르면 인프라 분야, 특히 도로 및 철도 분야의 투자는 정부의 최고 관심 분야 중 하나임.
- 국가의 경제변화와 개발을 통한 중소득국 지위 획득을 목표로 채택
- 핵심 개발분야는 크게 인프라, 농업, 산업, 인적자원개발 및 사회서비스, 관광 무역 및 재정 서비스 등의 5개 분야로 구성
- 탄자니아 정부는 World Bank(WB)와 아프리카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등의 기관 및 외국인 투자 지원을 통해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 중
탄자니아 개발계획의 핵심 분야(2015/16~2019/20)
자료: United Republic of Tanzania President Office 자료 종합 무역관 작성
□ 인접국가와의 도로 인프라 구축 사업 활발히 진행 중
ㅇ 인접 내륙국과의 연결도로 확충으로 도시 간 이동 편의 제공
- 인도양 및 8개국과 접하고 있는 탄자니아는 인접 내륙국들의 교역기지로 전략적 위치를 점하고 있음.
* 내륙 인접국인 르완다, 브룬디, 우간다, DR 콩고, 잠비아, 말라위, 케냐, 모잠비크를 연결하는 관문이자 교역허브로 지리적 이점 보유
- 최근 국경지역에 원스톱 시스템(Smart Transit System) 도입으로 입국 및 통관절차 간소화
ㅇ 탄자니아 북쪽과 서쪽에 접하고 있는 국가 부룬디와의 도로 구축 사업
- 2018년 11월, 탄자니아 정부는 부룬디와의 도로 접근성 개선을 위해 아프리카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과 총 3억 2,235만 달러 규모의 차관 계약 체결
- 2023년 완공을 목표로 탄자니아 북서부의 카술루(Kasulu)와 마뇨부(Manyovu)를 지나 부룬디 내륙 중부의 카빙고(Kabingo)에 이르는 구간(총 길이 약 260km) 도로 개선 및 건설 프로젝트 진행 중
- 탄자니아와 부룬디 국경을 넘나드는 운송을 통해 무역 활성화 및 국경 지역의 통합 강화를 목표로 하며, 특히 다레살람 항구에서 부룬디까지 육로 운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새로운 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동 프로젝트에 대해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어 경제활동에서 소외되었던 여성과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주어지는 등 두 이웃 국가들에게 추가적인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밝힘.
탄자니아-부룬디 신설 도로 구간
자료: Tanzania Invest 자료 종합 무역관 작성
ㅇ 탄자니아와 케냐를 오가는 고속도로 구축 사업
- 2018년 12월 탄자니아와 케냐 해안을 잇는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아프리카개발은행 (AfDB)이 지원을 약속
- 고속도로의 총 길이는 460km로, 케냐 구간(250km)은 말린디(Malindi), 몸바사(Mombasa), 룽가룽가(Lunga-Lunga)를 통과하며, 나머지는 탄자니아의 탕가(Tanga)와 바가모요(Bagamoyo)를 잇는 210km 규모의 프로젝트 진행 예정
- 탄자니아 노동교통통신부(Ministry of Works, Transport, and communication)의 Leonard Chamuriho 차관보(Permanent Secretary)는 케냐와의 국경을 넘는 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무역, 관광, 사회, 경제 발전과 지역 통합 촉진이 기대된다고 밝힘.
- 고속도로 개통을 통해 해안지역의 이점을 활용하여 앞으로 양 국가뿐만 아니라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남수단 등의 내륙 국가로의 육로 운송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
- 프로젝트 비용은 7억5,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30%는 탄자니아와 케냐 정부 자금, 나머지 70%는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이 지원 예정
탄자니아-케냐 해안 고속도로 구간
자료: Tanzania Invest 자료 종합 무역관 작성
□ 시사점
ㅇ 탄자니아에서 육로를 통한 운송산업은 아직까지 90%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
- 정부의 도로 인프라 확충 최우선 정책으로 인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장 확대 전망
- 탄자니아의 항만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국내 및 인접 국가로의 육상물류 운송량 증가는 향후 국내 및 인접 국가를 잇는 도로 인프라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ㅇ 탄자니아 항만 산업 성장과 더불어 국내 도로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 확대
- 다레살람항은 탄자니아 해운 화물량의 80%를 취급하고 있으며, 통관화물의 32%는 인접국 화물임.
- 증가하는 탄자니아 화물처리량과 함께 인접국가로의 육상물류 운송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도로 인프라 수요 증가 전망
- 기존 항만 시설에 내륙 연계 수송 기지 신설 등을 통해 항만산업과 육상물류 산업 및 도로 인프라 구축 사업의 연계 방안 모색
ㅇ 탄자니아는 2025년까지 인접국가와의 도로 구축 사업을 마무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프로젝트를 계획 및 진행 중에 있음.
- 여러 외국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탄자니아 도로 사업에 참여하고 있어 기술력을 갖춘 국내 기업도 한국의 도로기술 홍보와 함께 탄자니아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기회 발굴할 필요 있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타르 건축기자재 전시회 Project Qatar 2019 참관기 (0) 2019.05.30 스리랑카 화장품 시장 동향 (0) 2019.05.30 2019 창사 국제 건설기계전시회(CICEE) 참관기 (0) 2019.05.30 국내 소비재 수출, 뷰티·중국을 잇는 NEXT 키워드는? (0) 2019.05.30 미국 음악 저작권과 저작료의 이해 (0) 2019.05.30 중국 동물백신 시장동향 (0) 2019.05.27 Intersolar Europe 2019 (독일 뮌헨 국제 태양광 전시회) 참관기 (0) 2019.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