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장터 ‘저잣거리’로 보는 경제 이야기Card News 2019. 6. 19. 14:09반응형
지난 주말에 전통시장에 들렀답니다. 복작복작한 시장의 분위기가 무척 즐거웠죠. 그러다 문득 조선시대 시장의 모습은 어땠을까 궁금해졌습니다. ‘저잣거리’라 불린 조선시대 장터에 대해 어떤 이야기들이 있는지 카드뉴스로 확인하세요!
조선, 농업을 장려하고 상업을 억제하다
근대 이전 정부는 상업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상업이 발달해 너도나도 장사에 뛰어들면 세금을 바칠 농민들이 줄어들게 되므로 국가가 어려워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조선은 유교 국가였기 때문에 ‘사농공상’을 직업적으로 차별했습니다.
정부는 지금의 종로를 중심으로 상설 시장을 설치하고 통제하였는데요, ‘시전'이라 불리는 시장 안 가게를 허가받은 상인들에게만 임대하고 이들에게 허가받지 않은 장사치, 즉 난전을 단속할 수 있는 ‘금난전권’을 주었습니다. 시전 상인들은 그 대가로 나라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제공하고 여러 세금을 납부했습니다.
시전 상인 중에서도 특히 비단, 명주, 무명, 모시, 종이, 어물과 같은 중요한 물건 여섯 품목을 파는 상인을 ‘육의전’이라 했습니다. 문제는 육의전을 비롯한 시전 상인들이 상품 거래를 독점하다 보니
물건값을 올려 도성 전체의 물가가 오르게 되고 백성들이 받는 피해가 커지게 되었다는 것이었습니다.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정부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는 경제가 발달하면서 상업 활동이 활발해졌습니다.
모내기법의 보급 등으로 농업 생산력이 증가하였고, 임진왜란 이후 대동법(공물을 쌀로 통일해 바치도록 하는 납세제도)을 실시한 뒤로부터 백성들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되면서 수공업 생산량이 증가하게 된 것도 그 이유입니다.
농촌 농민의 상당수가 도시로 모여들었으며, 세금과 소작료를 화폐로 납부하는 등 상평통보가 널리 사용되면서 사람들은 더 많은 시장을 원하게 되었습니다.1791년 ‘신해통공’이라는 개혁 정책으로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을 없애고 누구나 자유로운 상업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계기로 조선의 상업은 더욱 활발해졌죠.
육의전의 특권은 1895년 갑오개혁과 더불어 소멸돼 시전체제도 완전히 해체되었는데요, 이는 조선 사회를 지배한 봉건적 상업질서가 붕괴되고 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상품화폐경제 발달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Card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식중독 ‘주의’…이렇게 예방해요! (0) 2019.06.19 바뀌는 도로교통법 확인해 볼까? (0) 2019.06.19 자동차 번호판, 그것이 궁금하다! (0) 2019.06.19 ‘세균 쪽쪽’ 손가락 빠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0) 2019.06.19 상황별로 알아보는 쌍방과실 vs 일방과실 (0) 2019.06.18 모르면 손해,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0) 2019.06.18 일자리 안정자금, 하반기부터 달라집니다 (0) 20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