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홍콩 시위의 경제적 영향World Wide 2019. 8. 26. 15:01반응형
2019 홍콩 시위의 경제적 영향
2019-08-23 박희연 홍콩 홍콩무역관
- 3월에 시작된 홍콩 내 범죄인 인도조약(Extradition bill) 반대 시위 지속 -
- 과격 양상서 평화적 시위로 전환, 불안상황은 지속 가능성 -
- 미중 무역분쟁과 함께 홍콩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 미칠 것으로 예상 -
□ 홍콩 시위의 현황
ㅇ 시위가 당초 주말 집회에서 주중 집회로 일상화되면서 과격 양상을 보였으나 8월 중순 이후 비폭력 집회 진행
- 현재로서는 '위험'(파국)하기보다는 '불편'한 수준이라는 반응이 많음.
ㅇ 일각에서 소강국면 진입 관측과 함께 중국의 공권력 투입은 명분 측면에서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는 분석도 있음.
- 세계를 중국과 연결하는 홍콩의 국제적 위상(Gateway to China) 고려 시, 무력진압은 중국에 큰 타격 가능성
- 캐리 램 홍콩 행정장관은 최근 평화적 시위상황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하며 시민들과 대화를 계속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임.
· 홍콩 정부의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는 중국의 공권력 투입이 어려움.
ㅇ 하지만 정세 불안이 단기간 내 해소되기보다는 실물경제 전반이 계속 영향권에 들 수 있음.
- 홍콩 경제에 피해를 준 미중 무역분쟁 요인 외에 향후 돌발변수 발생 가능성,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미 부진한 소매·관광·부동산 등 부문에 광범위한 부정적 영향 가능성 상존
□ 대홍콩 경제 영향
ㅇ (경제성장률) "올해 0%" 전망, 미중 무역분쟁+시위 동반 악재
- 2019년 1, 2분기 연속 0.6% 성장함. 6월부터 시작된 시위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돼 3, 4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2018년 GDP 3.3% 성장)
- 많은 경제예측기관들이 2019년 홍콩 경제성장률을 0% 내외로 예측(DBS 등)
· 홍콩 정부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0~1%로 하향 조정
ㅇ (증시) 7월 초(7.2.)~8월 중순까지 6000억 달러 이상 증발
- 같은 기간 홍콩 항셍지수(HSCEI) 10% 이상 급락
ㅇ (소매, 관광) 명품점, 주요 도매점 매출 하락세 지속 우려
- 소매점 외국인 관광객 고객 수 30%에서 최대 50% 감소(Bloomberg)
- GDP 5%를 차지하는 관광업 침체와 맞물려 소매업 매출 상반기 마이너스 성장(5% 감소)
· 관광객의 주요 구매 품목인 보석류와 전자제품 매출은 각각 17.1%, 16.1% 감소
· 스위스시계의 홍콩 수출은 시위 가열 이전 시점인 6월에 이미 27% 감소
ㅇ (교통) 시위 영향으로 항공, 열차, 도시교통 전반 타격
- 공항 시위 재발 시 수 백편 결항 등 셧다운 가능성 완전히 가시지 않음.
- 지하철(MTR), 항공사 케세이(Cathay) 주가 하락(7월 중순 이후 -20% 육박)
ㅇ (무역) 2019년 홍콩의 상반기 무역액은 5169억 달러로 전년대비 219억 달러(-4.2%) 감소
- 홍콩항 상반기 물동량 116만 TEU(전년대비 약 12.7% 감소)
· 주요 수출국(2018년 기준): 중국(55.0%), EU(9.2%), 미국(8.6%)
· 주요 수출품(2018년 기준): 전자제품(68.3%), 의류(2.6%), 장난감(1.8%)
ㅇ (부동산) 주택가격 6월 피크 이후 약 10% 하락(BoA)
- 부동산 종목 주가 7월 이후 17% 하락
ㅇ (재계) 부호, 대기업 재산 축소(Bloomberg)
- 리카싱(Li Ka Shing, 홍콩 최대 재벌), 리사우키(Lee Shau Kee, 부동산개발사 핸더슨 창립자) 재산 각각 10% 이상씩 감소
- 보석상 Chow Tai Fook 회장 헨리 청 재산 20% 감소
□ 업종별 현지 진출기업 반응
ㅇ A사(식품 분야)- 신선도가 중요한 신선과일 외 대부분 공산품은 해상운송 이용
- 현재까지 시위에 따른 단기적 영향은 없음.
- 사태 장기화 시, 물류 분야부터 피해 발생 불가피 우려
ㅇ B사(금융분야)
- 현재까지 금융시장 전반에 심각한 이상 상황은 발생하지 않음.
- 국제 금융허브로서의 위상 고려 시 단기간 내 은행·증권사·보험사의 싱가포르 등지로 이전 혹은 사업 축소 가능성은 크지 않음.
- 장기화될 경우, 금융 불안정 가속화로 일부 자금이탈 가능성 농후하나 홍콩의 안정적인 외환보유 상황 고려할 경우 영향 미미
ㅇ C사(금속·섬유 분야)
- 해상운송을 이용한 중계무역 비중이 크며 현재까지 물류량, 구매 오퍼 등에 주목할 만한 변화 상황은 없음.
- 장기화 시 대외 신인도 하락-통화가치 하락이 진행된다면 이익 감소 가능성 있음.
□ 대한국 경제 영향
ㅇ (수출) 홍콩 경유 반도체 수출 영향은 아직 미미
- 반도체는 중국 직수출이 가능하나 공급 정시성과 물류비용 측면에서 항공 화물로 홍콩을 경유한 대중국 수출 루트를 선호함.
· 홍콩은 인천공항 최대 취항지로 주간 206편의 항공편이 운행되며, 통관이 간편하고 본토 연결 물류 인프라가 최적화 돼있음.
· 칭다오 139편, 상하이 136편, 베이징 63편, 선전 41편 운항(주간 기준)
- 반도체 업계는 시위로 인한 홍콩 경유 대중국 수출에 아직 큰 영향이 없고 향후 단기간 내 물류 변경 계획은 없다는 반응임.
· 중국 본토 공항이 홍콩을 대신해 반도체 대체 운송 공항의 위치를 갖긴 어렵고 항공기 운항이 불허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홍콩으로 반도체 물량을 지속 공급할 계획임.
· 2019년 반도체(MTI831110)의 대중국·대홍콩 수출은 각각 30.4%, 37.2% 감소
자료: K-Stat
ㅇ (물류) 항공, 항만 물류 정상 가동 중이나 사태 악화에 대비 필요
- 홍콩은 중국 본토 재수출 인프라가 최적화* 돼있어 기업들이 최우선 선호하나 사태 장기화로 물류에 영향이 있을 경우 인근 광저우 또는 선전으로 수출해야할 가능성도 있음.
· 공항에서 화물터미널까지 이송, 재포장, 분류에 제약이 없으며 중국으로 재수출 시 통관절차가 간단함.(사전, 사후 신고)
- 참고자료 "홍콩의 한국 물류업체 P사 의견 인용"
반도체 운송: 반도체는 전량 항공 운송 중임. 홍콩 경유 수출 시 ① 통관이 간단, ② 세계적 공항 허브로 항공 운항편이 많아 물류비가 저렴하며 최적화된 물류 인프라 보유, ③ 한-홍콩 간 항공편은 주간 206편으로 제품 공급의 정시성(定時性) 확보 가능 ④ 홍콩-중국 본토, 중국 본토 간 육로 운송비용이 비슷해 같은 비용이면 통관이 안정적인 홍콩을 선호함.
· 중국의 경우 수입자 역량에 따라 배송 소요시간이 상이하며 운송 인프라가 홍콩에 비해 열악한 편임.
ㅇ (소매, 유통) 화장품, 미용용품 등 우리 주력 소비재 수출 감소 전망
- 우리나라의 '19년 7월 대홍콩 화장품 수출은 6억 달러로 2018년 7월 대비 33.1% 감소
· 홍콩 시위로 인한 관광객 감소,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영향이 큼.
· '19.1~6월 소매업 매출 2.6% 감소(자료: 홍콩 통계청)
ㅇ (금융) 금융시장 정상 운영 중
- 홍콩의 독립적 지위가 불안해질 경우 싱가포르 등 타 금융도시로 자본 이탈 가능성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터 시티(디트로이트)를 되살린 JP 모건 체이스 은행 (0) 2019.09.02 우즈베키스탄 중앙은행, 추가 외환자유화 조치 시행 (0) 2019.09.02 북미 아웃도어 시장을 말한다 (1) 2019.08.26 빠르게 성장하는 日아동 영어 교육 시장 (0) 2019.08.26 1인 미디어 전성시대, 중국 인기 여행 크리에이터의 비결은? (0) 2019.07.23 인문계 졸업생이 일본 IT기업에 어떻게 들어갔나? (0) 2019.07.23 한국어 교육의 요람, 벨라루스 민스크 세종학당을 소개합니다 (0) 2019.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