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필리핀 교역동향 및 한-필 교역동향
    World Wide 2017. 1. 6. 20:01
    반응형
    필리핀 교역동향 및 한-필 교역동향
    2017-01-06 현성룡필리핀마닐라무역관

    - 2016년 필리핀 교역 동향 및 특이사항 -




    □ 2016년 필리핀 전체 교역동향


      ㅇ 수출
        - 2016년 10월 기준, 필리핀의 국가별 수출 현황은 대일 수출이 가장 많은 102억3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4% 감소했으나, 전체 수출액의 1/5 이상을 차지함.
        - 미국(75억3000만 달러), 중국(52억1000만 달러)으로의 수출이 뒤를 이어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한국으로의 수출은 15억6000만 달러로 순위로는 10위를 차지, 전년동기대비 8.1% 감소를 기록


      ㅇ 수입
        - 2016년 10월 기준 필리핀의 국별 수입 현황은 중국이 가장 많은 12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총 수입량의 18.4%를 차지해 전년동기대비 31.3%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43억2000만 달러로 순위로는 6위, 전년동기대비 14.9% 증가를 기록


    최근 3년간 필리핀 전체 수출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연도

    2014

    2015

    2016(1~10)

    증감률(16/15)


    합계

    53,978

    61,798

    46,449

    -5.3

    1

    일본

    13,918

    12,381

    10,230

    -4.4

    2

    미국

    8,716

    8,796

    7,529

    -4.5

    3

    중국

    8,022

    6,393

    5,206

    -3.8

    4

    홍콩

    5,594

    6,199

    5,215

    2.5

    5

    싱가포르

    4,454

    3,650

    3,161

    -1.6

    6

    독일

    2,660

    2,646

    2,215

    -12.0

    7

    태국

    2,352

    2,263

    1,922

    -8.6

    8

    대만

    2,446

    2,177

    1,661

    -0.2

    9

    네덜란드

    1,892

    1,772

    2,009

    -19.7

    10

    한국

    2,532

    2,512

    1,561

    -8.1

    주: 순위는 2016년 수출액 기준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


    최근 3년간 필리핀 전체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연도

    2014

    2015

    2016(1~10)

    증감률(16/15)


    합계

    64,524

    66,686

    66,426

    13.1

    1

    중국

    9,692

    10,832

    12,243

    31.3

    2

    일본

    5,192

    6,384

    7,812

    54.9

    3

    미국

    5,629

    7,216

    5,826

    -6.4

    4

    태국

    3,438

    4,240

    5,332

    34.7

    5

    싱가포르

    4,520

    4,678

    4,371

    5.7

    6

    한국

    5,043

    4,337

    4,319

    14.9

    7

    대만

    4,398

    5,261

    4,299

    -12.2

    8

    인도네시아

    3,000

    2,929

    3,474

    35.4

    9

    말레이시아

    3,081

    3,164

    2,723

    -6.9

    10

    홍콩

    1,582

    1,818

    1,947

    31.6

    주: 순위는 2016년 수입액 기준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


    □ 주요 수출품목


      ㅇ 주요 수출품목
        - 반도체 완제품 및 부분품, 자동자료처리기계, 건축용 목제건구와 목공품, 부품, 부푼품 등이 주를 이룸.

        - 한국, 미국, 일본 등의 글로벌 제조기업이 현지에 공장을 설립, 수입부품으로 완제품 조립 후 제3국 등으로 재수출하는 품목(HS Code 84 또는 85로 시작하는 전자제품)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

     

      ㅇ 호조품목
        - 자동자료처리기계(7.6%)를 비롯,  건구와 목공품(11.4%), 동선(8.8%) 등 수출액 비중이 높은 품목들이 2016년에도 호조를 기록


    필리핀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2015

    품목명

    2016(1~9)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전체

    58,648

    -5.1

    전체

    41,691

    -5.9

    1

    전자집적회로

    14,298

    17.8

    전자집적회로

    10,417

    -0.2

    2

    자동자료처리기계

    3,863

    -18.8

    자동자료처리기계

    2,967

    7.6

    3

    반도체디바이스

    3,039

    2.9

    건구와 목공품

    2,205

    11.4

    4

    건구와 목공품

    2,750

    -6.0

    반도체디바이스

    1,820

    -22.6

    5

    동선

    2,263

    4.1

    동선

    1,692

    8.8

    6

    기계 부분품

    1,766

    -8.7

    기타 품목

    1,182

    33.0

    7

    변압기변환기

    1,544

    -0.9

    변압기변환기

    1,117

    -1.9

    8

    운송장비

    1,478

    21.5

    기계부분품

    1,114

    -16.0

    9

    자동차부품

    1,307

    -11.2

    자동차부품

    1,000

    2.4

    10

    야자유

    1,123

    -16.6

    운송장비

    813

    -34.3

      주: 순위는 2016년 누계 기준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PSA)


    □ 주요 수입품목


      ㅇ 주요 수입품목
        - 필리핀의 특징적인 산업구조(전체 수출의 70% 이상을 전자, 반도체가 차지, 다국적기업 중심)를 반영해 전자·반도체 제조를 위한 중간재 수입비중이 높고, 이 외에 광물연료 수입과 기계, 철강 등 자본재 수입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


      ㅇ 호조품목
        - 석유와 역청유(-33.2%), 그리고 기타 품목(-23.7%)에서 부진함을 보였을 뿐 나머지 10대 수입항목에서는 전부 상승세를 기록함.


    필리핀 주요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2015

    품목명

    2016(1~9)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전체

    66,686

    3.4

    전체

    59,505

    19.0

    1

    기타 품목

    10,695

    19.3

    기타 품목

    6,279

    -23.7

    2

    석유와 역청유

    3,861

    -38.4

    전자집적회로

    3,467

    46.5

    3

    전자집적회로

    3,558

    87.2

    자동차

    2,772

    77.8

    4

    석유,역청유(원유 제외)

    3,169

    -44.5

    석유,역청유(원유 제외)

    2,709

    16.6

    5

    자동차

    2,217

    34.1

    석유와 역청유

    2,158

    -33.2

    6

    기계 부분품

    1,243

    30.3

    기계 부분품

    1,420

    68.1

    7

    의약품

    926

    24.1

    기타 기계

    963

    75.2

    8

    밀과 메슬린

    889

    6.5

    통신기기

    852

    26.2

    9

    건설기계

    813

    53.3

    의약품

    790

    6.5

    10

    통신기기

    808

    64.2

    송신기기

    745

    64.0

      주: 순위는 2016년 누계 기준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NSO)


    □ 한국과의 교역 동향


      ㅇ 수출
        - 2016년 10월 기준, 한국의 대필리핀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6.6% 감소한 59억1000만 달러를 기록 
        - 2015년 이후 지속되는 국제유가 하락 및 필리핀 자체 정유시설 증설로 석유제품 수출 하락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이나 타 제품의 수출 선전으로 매달 수출 감소폭은 줄어들고 있음.


      ㅇ 수입
        - 국내 수요 부진으로 인해 전체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5.3% 감소한 25억5000만 달러를 기록함.
        - 수출과 마찬가지로 월별 수입 감소폭은 줄어드는 추세


      ㅇ 무역수지
        - 무역수지는 전년동기대비 23.5% 감소한 33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
        - 2016년 6월 이후 매월 수출액, 무역수지는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상황


    최근 3년 한국-필리핀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4

    2015

    2016(1~10)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13,363

    7.0

    11,570

    -13.4

    8,453

    -13.5

    수출

    10,032

    14.2

    8,318

    -17.1

    5,906

    -16.6

    수입

    3,331

    -10.1

    3,252

    -2.4

    2,547

    -5.3

    수지

    6,701

    32.0

    5,066

    -24.4

    3,359

    -23.5

    주: *2016년 증감률은 2015년 1~10월 금액과 비교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수출 호부진 품목


      ㅇ (수출호조 품목) 전산기록매체, 승용차
        - 전산기록매체는 2014년까지 대필리핀 수출액 기준 60위권 이내의 품목이었으나, 2015년부터 솔리드스테이트 하드드라이브(SSD)의 폭발적인 수요로 인해 10대 수출품목에 진입함.
        - 승용차(61.3%)도 필리핀 수요 증가 및 한-아세안 FTA에 따른 관세 인하로 인해 2016년부터 수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음.
       
      ㅇ (수출부진 품목) 전통적 최대 수출 품목인 집적회로반도체(-35.3%), 휘발유, 경유는 모두 부진
        - 반도체 수요 감소 및 국제유가 하락, 페트론(Petron)의 필리핀 정유공장 증설로 특히 휘발유(-29.5%), 경유(-55.2%)에서 부진
        - 저유가 및 페트론의 필리핀 정유공장 확장이 완료돼 2016년부터 필리핀 자체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원유를 직접 수입 후 정유할 수 있게 됐는데, 정유공장 증설로 인해 저유가 이외에 연간 7억 달러의 휘발유, 경유 수출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


    한국의 대필리핀 10대 주력제품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

    2015

    2016(1~10)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집적회로반도체

    2,685,638

    -11.2

    1,542,684

    -35.3

    2

    전산기록매체

    127,651

    20,969.1

    310,021

    226.9

    3

    휘발유

    485,238

    -52.0

    296,934

    -29.5

    4

    승용차

    195,681

    1.8

    232,531

    61.3

    5

    경유

    556,574

    -62.4

    211,014

    -55.2

    6

    동조가공품

    238,299

    -24.6

    191,492

    -7.5

    7

    축전기

    210,868

    26.0

    139,957

    -29.3

    8

    선박용 부품

    172,371

    13.7

    115,544

    -19.2

    9

    광학기기부품

    141,724

    20.3

    101,960

    -14.9

    10

    편직물

    140,704

    -3.9

    99,887

    -15.0

     

    총계

    8,317,925

    -17.1

    5,906,274

    -16.6

     주: MTI 4단위 기준, 2016년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기준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시사점 및 전망


      ㅇ 투자 철수로 인한 환율 하락
        - 신임 두테르테 정권 취임 이후 마약과의 전쟁 및 미국과 갈등을 일으키며 투자금이 일시적으로 3억 달러 가까이 빠져나가 환율은 9년 만에 최하 수준으로 떨어졌음. 
        - 미국이 금리인상 계획을 12월에 발표할 예정으로, 발표 전까지 꾸준히 페소 가치는 하락하다가 발표 후 소강 또는 상승할 것이라 전망됨.
         * 현재 달러당 페소는 1달러=50.0페소 수준임.


      ㅇ 중국산 휘발유 및 경유의 침투
        - 국제유가의 하락, 페트론의 필리핀 정유공장 증설 완료 및 운영으로 인해 대필리핀 2대 수출 품목인 정유(휘발유, 경유) 제품 수출 회복이 타격을 많이 받은 상황
        - 추가적으로 중국산 휘발유 및 경유가 2016년 하반기부터 동남아시아에 대량 수출을 계획한다는 보도가 있어 한국산 제품의 타격은 계속될 듯


      ㅇ 대필리핀 수출실적은 매월 개선 중
        - 2016년 2월까지 전년동기대비 30%에 육박했던 수출 감소는 10월 현재 전체 1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매월 수출실적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
        - 그러나 대필리핀 양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와 석유제품의 수출 침체가 전년동기대비 매월 감소하고 있으므로, 우리 제품의 수출 다변화가 절실한 실정임.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