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 투자 대폭 늘린다
    World Wide 2017. 1. 10. 12:55
    반응형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 투자 대폭 늘린다
    2017-01-09 장예랑코트디부아르아비장무역관

    - 태양광, 바이오매스, 수력발전 등 에너지사업 확대 전망 -
    - 2030년까지 에너지분야에 40억 달러 이상 투자 계획 -

     

     

     

    □ 코트디부아르 에너지 중장기 발전 전략

     

      ㅇ 코트디부아르는 2020년 신흥국 부상을 위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최대 에너지 시장 구축과 풍부한 에너지 자원 활용을 통한 저가 에너지 공급을 목표로 설정함.

     

      ㅇ 특히 4가지 발전 전략으로 에너지 자원 확보, 에너지 접근성 강화, 환경 보존, 서아프리카 에너지 중심국으로의 부상 등을 추진하고 있음.

        - 코트디부아르 발전원별 설비 비중이 현재 가스화력 80%(열병합 25%), 수력 20%로 구성돼 있지만, 2020년까지 가스화력 57%, 석탄화력 9%, 신재생에너지 34%로 전환 목표

        - 발전 설비용량은 지난 5년간 1391㎿에서 1924㎿로 38% 증가했고, 내년 1/4분기 Soubre 수력발전소 완공으로 270㎿가 추가로 늘어날 전망임.

     

      ㅇ 에너지 발전을 위한 2015~2030년 이행 계획

        - 에너지 자원의 다변화(동일 에너지원 비중 60% 초과 불가)

        - 수력, 가스(LNG, 천연가스) 생산 증대

        - 농촌 전력망 구축(2030년 전기보급률 100% 목표)

        - 신재생에너지 확대(전력생산 비중 42% 목표

        - 에너지 관리 능력 개선

        - 사회·환경 문제 연구

     

     2015~2030년 에너지 분야 투자 계획

     

      ㅇ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2015~2030년 기간 총 9조 프랑세파(약 180억 달러 상당)를 투자해 발전소 건설(66억 달러), 송배전망 구축(11억 달러), 광산 개발용 전력망 구축(14억 달러) 등을 추진 중임.

     

      ㅇ 기간별 투자 계획

        - 2016~2018년 연간 8억 달러

        - 2019~2020년 연간 15억 달러

        - 2021~2025년 연간 12억 달러

        - 2026~2030년 연간 12억 달러

     

      ㅇ 또한, 코트디부아르는 농촌 전력사업(PDER)의 일환으로 현재 48%에 머물고 있는 농촌 전기 보급률을 2020년까지 85% 수준으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웠으며, 15억 달러를 투자해 총 5000여 개 마을(550만 명)에 1만2000㎞ 송배전망을 구축할 계획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 유망사업

     

      ㅇ 수력 에너지

        - 소형 수력발전소 건설(10㎿ 이하 급)을 통한 연간 2020GWh 생산 목표

     

      ㅇ 바이오매스 에너지

        - 농산물 가공산업(연간 1500만 톤) 전력 자체생산 목표

     

      ㅇ 태양광 에너지

        - 연간 일조량 2000~2500시간

     

      ㅇ 풍력 에너지

        - 연평균 풍속 4.8m/s

     

      ㅇ 특히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현재 20%인 신재생에너지(수력 포함) 비중을 2020년 34%, 2030년 42%로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함.

     

     

     정부 신재생에너지 사업 계획



    분야

    기간

    역량(㎿)

    지역

    진행상황

    태양광

    2018년까지

    25

    Zanzan

    건설 중

    바이오매스

    미정

    23

    Gagnoa

    계획 중

    23

    Boundiali

    수력발전

    2020년까지

    75

    Gao

    미정

    2021년까지

    44

    Singrobo

    2021년까지

    100

    Tayaboui

    2021년까지

    112

    Grigbo-Popoli

    2022년까지

    156

    Boutoubre

    2023년까지

    280

    Lougah

    2024년까지

    91

    Daboitie

    자료원: 코트디부아르 석유에너지부


    □ 시사점

     

      ㅇ 코트디부아르의 사회경제 주요 변수를 바탕으로 한 정부정책, 기술 변화 등 향후 경제·에너지·토지 사용·기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의 최종 에너지 소비는 장기적으로 재래식 바이오매스 비중이 감소하고 태양광·천연가스 등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무역관에서 코트디부아르 발전소 건설, 송배전 설비 구축, 전력 확충 등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정보 입수 즉시 공지할 예정이오니, 에너지분야의 최첨단 기술과 경험을 지닌 한국 기업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요망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