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르헨티나의 국영석유회사 YFP 재국영화의 숨겨진 이야기World Wide 2017. 1. 11. 19:55반응형
아르헨티나의 국영석유회사 YFP 재국영화의 숨겨진 이야기
2017-01-11 윤예찬아르헨티나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1907년 창설, 아르헨티나 경제 성장의 중심축이자 국가적인 자존심 -
- 전 정권시절 반강제적인 재국유화정책으로 스페인과 외교마찰까지 불사 -
□ YPF(Yacimientos Petrolíferos Fiscales)는 20세기 초반 아르헨티나 경제의 자존심
ㅇ 1907년 창설된 YPF는 20세기 전반기 내내 크게 성장해 아르헨티나 석유시장을 선도
- 면적 면에서도 코모도로 유전에서 시작된 채굴이 네우켄(Neuquén)주와 살타(Salta)주, 멘도사(Mendoza)주까지 이어질 정도로 크게 확장됐으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채굴에서 정제까지 수직적인 통합을 달성
- 석유산업의 수직적 통합을 이루게 되자 수익성 측면에서도 YPF는 스탠더드 오일과 셸( Shell) 등 다국적기업들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상승
ㅇ YPF는 20세기 전반기 석유국영기업을 건설하려는 중남미국가들의 롤모델- 1930년대 YPF는 스탠더드 오일과 셸을 완전히 대체했고, 새로운 정유소를 건설하고 전국적인 서비스망을 구축
- 또한, 부에노스아이레스 플로렌시오 바렐라(Florencio Varela) 지역에 현대적인 연구소를 설립해 커다란 기술진보도 이룬 것으로 평가
□ 20세기 후반기 침체 과정 겪음
ㅇ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출범한 페론 정부는 심각한 경제적 불안정을 초래했고, 이런 상황에서 YPF는 기업에 불리한 가격정책과 투자 부족을 직면하게 됨.- 아르헨티나 특유의 관료제로 인해 회사조직은 비대해졌고, 노조의 영향력과 부패가 증가
ㅇ 1976년부터 시작된 군부독재는 YPF의 상황을 더욱 악화
- 이 기간 동안 YPF는 정부의 불균형 환전정책을 유지하기 위해 외채를 빌려오도록 강요당했고, 이런 상황에서 1980년대 불어 닥친 대규모의 평가절하 사태로 YPF의 부채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폭증하게 됨.
ㅇ 결국 80년대 말 YPF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만큼 생산성이 하락하게 되는데, 이는 석유와 가스 및 파생상품을 안정적이고 유효하게 공급할 역량을 상실한 것으로 판단됨.
□ 90년대, 2단계 과정 거쳐 스페인 렙솔그룹에 매각 민영화
ㅇ 1992년 아르헨티나 의회는 YPF의 부문적 민영화를 통과시켰고, 몇 년 뒤인 1999년에는 스페인 자본의 렙솔(Repsol)그룹에 전체 주식을 매각함으로써 경영권을 완전히 상실
- 기업명도 기존의 YPF에서 Repsol-YPF로 변경
ㅇ 그러나 아르헨티나 연방정부와 Repsol-YPF와의 관계는 2011년 아르헨티나가 석유와 가스를 수입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악화일로를 걷기 시작
- 석유와 가스 생산량이 점차 감소했고, 에너지공급의 안정성 문제가 야기됨. 이는 석유 수입의 의존율을 증가시켰고, 아르헨티나의 에너지자급자족 능력을 상실하게 만듦.
- 2011년 에너지 부문에서 3억 달러에 달하는 적자가 발생하면서 거시경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 아르헨티나 정부는 YPF 지분을 전격적으로 몰수해 재국영화 통한 상황반전 모색
ㅇ 아르헨티나 정부는 법률 제 26,741 일명 'YPF 몰수 법'을 제정해 재국유화를 추진
- 아르헨티나정부는 렙솔의 인색한 투자로 자국의 에너지자급력을 상실했고, 렙솔이 계약서에 명시된 조항과는 달리 증산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면서 에너지 수입비용이 크게 늘어난 점이 국유화 결정의 이유로 설명
- 국유화 직전인 2011년 아르헨티나가 석유와 천연가스를 수입하는데 쓴 돈은 약 98억 달러로, 이는 전년대비 110%나 증가한 액수이자 아르헨티나 국내총생산의 약 2.7%에 달하는 규모
ㅇ 구체적인 몰수대상은 스폐인 국적의 렙솔사가 가지고 있는 Repsol-YPF와 Repsol-YPF Gas 지분의 51%
- 전체 51%의 지분 중에서 연방정부가 51%를, 그리고 탄화수소생산지 관할 주정부가 49%를 공유하기로 했으며, 중간에 지분 변경이 이루어져 현재 YPF의 지분은 연방정부가 26.03%, 주정부가 24.99%, 일반이 37.09% 그리고 렙솔이 11.90%를 보유
ㅇ 그러나 아르헨티나 정부의 일방적인 YPF 국유화는 이후 렙솔사에 대한 구체적인 보상 계획을 밝히지 않아 렙솔과 스페인 정부의 강력한 반발을 초래
- 렙솔은 2012년 말 아르헨티나 정부를 상대로 105억 달러의 보상금 청구 소송을 냈으나, 2014년 2월 아르헨티나 정부와 렙솔이 50억 달러 보상안에 합의했고, 같은 해 3월과 4월 각각 상원과 하원을 통과
- 50억 달러는 2017년부터 2033년이 만기인 연 7~8.75% 이율이 적용되는 국채로 지불될 예정
□ 아르헨티나 정부와 Repsol의 보상소송에서 중요 쟁점은 개발투자에 대한 의무조항 이행 여부
ㅇ 아르헨티나는 충분히 에너지자립능력을 갖춘 국가인데, 석유 매장량은 25억500만 배럴로 세계 30위권에 해당되며, 천연가스의 경우 3788억 세제곱피트의 매장량을 보유
ㅇ 따라서 렙솔사가 석유와 천연가스 채굴량을 늘렸다면 막대한 에너지수입비용 증가에 따른 손실은 막았을 것이라는 것이 정부의 주장. 또한, Repsol-YPF가 생산에 착수했던 광구는 렙솔이 YPF를 인수하기 이전에 이미 발견됐던 곳이었기 때문에 법에 명시된 계약된 지역 전체에 대한 개발투자와 매장량 보존에 대한 의무조항 불이행에 따른 YPF몰수는 적법하다는 논리를 전개
ㅇ 이에 대해 렙솔은 수출과 국내 석유와 가스 가격 통제에 따른 과도한 정부규제가 개발과 생산량 감소의 원인이라고 반박했으며, 실제로 2003년 이후 키르츠네츠 정권 기간 동안 에너지 가격에 대한 상당한 정부규제가 이루어짐.
□ 국유화 이후 YFP 사업성과 개선, 신정권 출범 이후 민간투자가 참여 개발 박차
ㅇ 2012년 대비 2013년 2.6%의 생산성 증가를 달성했으며, 2014년 2월에는 아파체(Apache)사의 아르헨티나 탄화수소개발블럭을 8억 달러에 매입함으로써 YPF는 아르헨티나 최대 가스 생산업자로도 입지를 굳힘.- 또한, 국내 비전통자원의 탐사와 개발에 참여하는 최대 석유회사로, 해외 석유회사들과 많은 합자투자계약을 체결
ㅇ YPF의 재국영화는 비록 주식 51%를 인수함으로써 YPF의 경영권을 정부가 소유하게 됐지만 나머지 49%의 주식은 여전히 민간자본의 손에 남겨놓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과거의 국영화와는 차이가 있음.- YPF의 나머지 주식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식시장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여전히 거래 중
ㅇ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하자원 개발에 민간투자자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 또한 정부가 석유산업을 완전히 독점했던 과거의 경영형태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고 있음.
□ 시사점
ㅇ YPF사의 재국유화 사례는 아르헨티나에 투자한 해외기업에 대한 보호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시금석
- 사실상 전기가격을 14년 동안 동결시키는 등 정상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핑계로 국내 최대기업을 강제로 국유화시키는 과정에서 아르헨티나에 대한 국제적인 신인도에 큰 타격
ㅇ 신정부 출범 이후, 기술과 자본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기업들의 자원개발투자를 유치하고자 하나 그 실적은 미미
- 향후 투자가들은 보다 강도 높은 투자자 보호장치를 마련할 것을 요청하게 되고, 이는 결국 개발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비용을 상승시키는 악순환으로 연결
- 아르헨티나가 국제경제체제에 완전히 복귀하기 전까지는 이러한 전정권의 청구서를 계속 갚아나가야 할 것으로 전망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콩고, 중국산 짝퉁 및 불량제품의 실상 (0) 2017.01.11 콩고민주공화국, 잠재 농업대국의 불편한 진실 (0) 2017.01.11 2016 주요 산업 대콜롬비아 수출 증감 요인 분석 (0) 2017.01.11 브라질에서 최근 유행하는 건강·웰빙 키워드는? (0) 2017.01.11 1월 이란 동향 1호 (0) 2017.01.11 이란 제재대상자 명단 확인 안내 (0) 2017.01.11 중국인을 사로잡은 마스크팩은? (0) 2017.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