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 주요 산업 대콜롬비아 수출 증감 요인 분석World Wide 2017. 1. 11. 19:55반응형
2016 주요 산업 대콜롬비아 수출 증감 요인 분석
2017-01-11 임지혁콜롬비아보고타무역관- 2014년 이후 계속된 콜롬비아 페소화 평가절하에 따른 수입여건 악화 -
- 자동차 및 부품, 석유화학, 철강 등 주요 산업 수출 부진 -
□ 주요 품목 호부진 요인 분석
ㅇ 2014년 이후 달러당 콜롬비아 페소의 평가절하율이 40%(2000페소 → 2900페소)에 달하면서 수입 여건이 악화됨.
ㅇ 이 뿐만 아니라, 작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직후 콜롬비아 페소는 전일 대비 1달러 기준 70페소 급등하는 등 국외 정세가 콜롬비아 환율 약화 초래
ㅇ 콜롬비아 통계청 및 관세청에 의하면, 2016년 10월 수입액은 전년동월대비 20.0% 감소, 제조업 분야는 23.4%, 석유화학분야는 32.4% 감소 기록
□ 자동차
ㅇ 2016년 1월부터 10월까지 한국산 자동차 수입액은 약 1억4000만 달러를 기록, 작년 약 2억4000만 달러에 비해 40.6% 감소해 한국산 제품 대콜롬비아 수출 중 자동차 점유율은 21.8%를 차지함.
ㅇ 대콜롬비아 2016년 한국산 자동차 수출은 현대자동차의 현지 유통업자와의 분쟁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받았고, 이로 인해 현대자동차의 수입 감소가 전체 한국산 자동차 수입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보임.
ㅇ 현대자동차 본사와 콜롬비아 현지 에이전트 간 법적 갈등(현지 독점판매권 관련 2015년 10월 현대자동차 본사를 고소)으로 2016년부터 현대차 및 현대모비스 제품의 현지 수출이 전면 중단됨.
ㅇ 이로 인해 현대자동차는 작년 9월 240만 달러를 콜롬비아로 수출했으나, 2016년 동월 수출액 0원을 기록ㅇ 2016년 11월 15일, 현대자동차는 콜롬비아 독점판매권을 요구했던 MATTOS사에 현대자동차 판매 불가로 인한 배상 및 2017년부터 현대자동차의 콜롬비아 판매권은 NEOCORP사에 넘기기로 하는 합의서 체결
ㅇ 기아자동차 역시 2016년 9월 전년대비 31%의 수입 감소를 보임. 기타 한국산 자동차 수입 감소 요인으로는 페소화 평가 절하 때문인 것으로 분석
□ 자동차 부품
ㅇ 기타 산업 분야와는 달리 올해 8월부터 증가 추세. 2016년 10월, 전년동월대비 수입액 7.9% 증가함.
ㅇ 하지만 한국산의 경우, 작년 3/4분기 2900만 달러 수입액을 기록한 반면, 2016년 동기간 약 2800만 달러를 기록, 약 4% 감소
ㅇ 이는 FTA 기체결국가(칠레,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및 중국산 제품의 구매 증가가 우리 제품 수입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보임.
ㅇ 페소화의 평가절하로 인한 달러 강세 또한 해당 제품 수출에 영향을 미쳤으며, 달러 이외의 통화 거래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음.
□ 철강
ㅇ 2016년 1월부터 10월까지 철강제품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1% 감소했으며, 해당 제품 수입 감소 요인으로는 미국산 및 멕시코산 철강 구매 감소가 주된 요인
ㅇ 한국산 철강제품 수입의 경우 2016년 3/4분기 8.5%를 기록, 전년동기 6.5%에 비해 약 2% 상승. 이는 2016년 포스코대우(구 대우인터네셔널)의 대콜롬비아 철강 수출 증가(약 3400만 달러) 때문인 것으로 보임.
2015~2016년 자동차, 자동차 부품, 철강산업 대콜롬비아 수출량 현황
주: 2015년, 2016년 3분기 기준
자료원: 콜롬비아 상공부
□ 석유화학
ㅇ 자국 화폐 평가절하로 인해 석유화학제품 수입의 경우 '16년 10월 전년동월대비 25.8% 하락
ㅇ 2016년 1월부터 10월까지 관련 제품 총수입액은 약 25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 약 3800만 달러에 비해 32.4% 감소
ㅇ 큰 감소폭을 기록한 주된 이유는 광물, 윤활유이며 해당 품목은 27.2% 하락세를 보임.
ㅇ 콜롬비아는 전 세계 주요 석유 수출국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정제시설은 낙후돼, 석유화학 제품은 재수입을 통해 조달하고 있음.□ 콜롬비아 조세 개혁에 따른 수출 증감 예측
ㅇ 후안 마누엘 산토스 대통령은 국가 발전의 일환으로 세제개편을 추진 중. 이번 세제개편은 13번째 개편이자 지난 30년간의 조세 개혁에 비해 비교적 단기간 내에 이루어지는 개혁임.
ㅇ 주 내용으로는 간접세 증가와 직접세 감소라고 할 수 있으며, 16%였던 부가가치세가 19%로 약 3% 증가할 예정임.
ㅇ 2016년 12월 12일, 세제개편 관련 두 번째 의회가 개최됐으며, 개편 결과 담뱃값 인상, 천연가스 원재료인 석탄에 세금 부과 등의 변화가 예상됨.
ㅇ 외국계 회사의 경우, 세금 부과율이 40~50%에서 30~35%로 감소되는 등 세제개편 관련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전망 및 시사점
ㅇ 2016년 7월 15일 발효된 한-콜 FTA로 주요 수혜 품목인 자동차, 자동차 부품류의 관세율 인하와 함께 대콜롬비아 수출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ㅇ 또한, 현대자동차 한국 본사와 현지 콜롬비아 에이전트 간 법적 분쟁으로 인해 2016년 내내 대콜롬비아 수출이 금지됐던 반면, 올해 해당 문제가 해결돼 현대자동차 대콜롬비아 수출이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됨.
ㅇ 이로 인해 콜롬비아 내 자동차 점유율 3위 기아차와 6위 현대차는 올해 더욱 많이 수입돼 판매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FTA 발효와 더불어 한국산 자동차의 대콜롬비아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ㅇ 한국산 자동차 수입 확대는 한국산 자동차 부품 수입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두 산업 모두 2017년 대콜롬비아 수출 증가가 예상됨.
ㅇ 하지만 콜롬비아 페소화 평가절하 현상이 장기간 계속된다면 콜롬비아 입장에서는 수입품에 부담을 느끼고 수입을 최소화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국제유가 및 국제정세에 따른 콜롬비아 페소화 평가가 우리 기업의 대콜롬비아 수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과 중국의 비교 (0) 2017.01.11 DR콩고, 중국산 짝퉁 및 불량제품의 실상 (0) 2017.01.11 콩고민주공화국, 잠재 농업대국의 불편한 진실 (0) 2017.01.11 아르헨티나의 국영석유회사 YFP 재국영화의 숨겨진 이야기 (0) 2017.01.11 브라질에서 최근 유행하는 건강·웰빙 키워드는? (0) 2017.01.11 1월 이란 동향 1호 (0) 2017.01.11 이란 제재대상자 명단 확인 안내 (0) 2017.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