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콰징(跨境)보세정품 M2M 수출모델, 중국 진출 쉬워지나World Wide 2017. 1. 13. 18:09반응형
콰징(跨境)보세정품 M2M 수출모델, 중국 진출 쉬워지나
2017-01-13 리순화중국항저우무역관- KOTRA 항저우 무역관, B2CB M2M 수출모델 본격 론칭 -
□ 중국 수입유통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ㅇ 유통경로
- 백화점, 양판점, 홈쇼핑 등 오프라인과 인터넷 온라인 중심의 유통경로에서 최근에는 온오프라인의 융복합화 및 O2O, T2O등 혁신적 유통방식 확대
- 오프라인 유통 또한 복합쇼핑몰 및 O2O 체험판매장 확대 등으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음.
ㅇ 결제수단
- 신용카드와 현금 위주에서 제3자 결제인 알리페이, 위챗페이의 확산
ㅇ 수입 및 유통방식
- 제조업자 직수출이 확대되면서 총판 수입에서 직판 수입으로 변화
- 스마트물류 및 택배의 물량 증가 등으로 인적유통에서 IT, 인터넷+로 사전 연결된 시스템기반 유통으로 급속히 변화
ㅇ 물류 및 택배
- 전국 배급물류 거점이 권역별 중심도시에서 항만, 그 중 보세시범도시로 집중
- 단순물류, 해외직구물류 등에서 콰징보세구를 활용해 1∼2일 내 소비자에게 배송 가능한 스마트 보세물류 등으로 진화 중
중국 수입 유통의 변화 방향자료원: KOTRA 항저우 무역관
□ 해외직구와 콰징보세모델 비교
ㅇ 콰징보세모델이 해외직구보다 여러 방면의 장점을 많이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 보세물류창고 입고를 위한 사전절차 및 재고 보관의 부담, 100% 담보되지 않은 스톡세일즈의 부담 등 단점도 존재
해외직구와 콰징보세모델 비교
분야
해외직구(온라인면세)
콰징보세모델
상품 발송지
한국 생산자 공장 혹은 창고
중국 보세창고
주요 판매원
한국로컬 역직구 사이트
- 중국 콰징플랫폼(주로 모바일)
- O2O체험장(QR코드)
- 보세창고 내 B2B판매
결제조건
- 입점방식: 전자결제
(오더미싱 및 결제취소 빈번)
- 벤더: 2~3개월 후불(외상)
- 1개월 주기로 위안화 결제
* B2B는 즉시 결제
판매가격
플랫폼 혹은 벤더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결정
- 공급자가 공급가격(수출가격) 결정
- 판매가는 납품대행업자가 결정
계약조건
독점납품 혹은 기타 온라인 사이트에 저가판매 불가 조건
초기시장으로 Free(협상조건 유리)
선호제품
한국이나 중국에서 판매가 검증된 브랜드 제품
기검증 브랜드제품 및 가성비 좋은 브랜드 및 비브랜드
보관 및
재고부담
- 해외셀러→소비자 직배송
* 현지 보관의 어려움 없음.
- 마케팅비(세일 판촉, 홍보비용 등) 및 높은 플랫폼 이용료
- 중국 보세물류창고 입고 사전비안의 어려움
- 재고 비용의 발생
- 사전 확정되지 않은 스톡세일즈 부담(일반적)
배송기간 및
유통경로
- 배송기간 실제 2주일 이상
- 메이저플랫폼 입점의 어려움(입점료, 회비 등 고비용 구조)
- 배송기간 2~3일
- 해관의 한국 정품 자동 인증
- O2O로 체험 가능
기타
B2C에 한정
- 콰징플랫폼 대상 콰징B2B도 가능
- 일반통관을 통한 일반B2B가능
정책적 함의 및
향후 전망
- 국경 간 전자상거래 B2C에 과세하려는 정책적 경향
- 알리바바, 경동, 수닝의 독과점 감소 경향
- 다이공 통제, B2C직구 과세 강화 경향으로 상대적 수혜 예상
- O2O기업(플랫폼, 체험장, 복합쇼핑몰 등) 창업 및 신규채널 확산 움직임
- 메이저 브랜드 아닌 한국 중소기업의 새로운 유통경로(조기진입 중요)
자료원: KOTRA 항저우 무역관
□ KOTRA 항저우 무역관, 콰징(跨境)보세정품 B2CB M2M 수출모델 본격 런칭
ㅇ 콰징전자상거래 B2CB방식과 항저우 M2M 모델이란?
- 콰징전자상거래는 중국 오프라인 플랫폼에서 수입제품을 체험, 모바일결제와 택배로 내국보세창고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중국 유일 전자상거래방식
- KOTRA 항저우 무역관이 중국의 이 정책을 활용해 KOTRA 보세물류창고(복수공급자M) 및 복수콰징플랫폼(M)을 주도적으로 연결
① 일반통관되지 않는 제품을 포함, 한국 정품의 사전수입통관을 지원하고
② 적정마진을 제시한 콰징플랫폼을 통해 생산·수출업체 → 소비자 간 직유통을 가능케 하고,
③ 물류비 지원, 면세정책 등을 활용해 최선의 공급가격(중국 메이저플랫폼 대비 30% 이상 인하 가능)을 구성하고,
④ 공동물류창고에 해관비안(수입통관 사전승인)을 거쳐 입고된 복수의 공급 제품(M)을 복수콰징플랫폼(M)에 대한 경쟁입찰 방식으로 무료 입점시키고,
⑤ 판매현황의 전산관리 및 판매대금이 셀러 계좌로 직송금되는 Stock & Escrow 모델을 방식을 완성시키고,
⑥ 이를 통해 대중 진출이 쉽지 않은 중소·중견기업 제품의 전주기적 수출 유통을 지원하고,
⑦ 아울러 한중관계 악화 시 우려되는 수입통관에 대한 우려를 불식(사전 수입통관 승인으로 보세창고 출고 시 0.2%만 샘플조사)하는 혁신적 B2CB 수출유통모델을 론칭함.
왜 항저우라야만 하는가?
-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인프라가 갖춰진 항저우, 닝보에 비안 완료제품을 집적해 한국정품 소싱파워를 확대하고, 전국 산재한 콰징플랫폼 및 체험장과 거래방식이 절대 유리
* 콰징플랫폼(항저우 200여 개, 닝보 400여 개) 및 O2O체험장 개설 희망업체 급속 증가 중
* ‘16년 중 콰징창고 입고(20개사 350개 SKU)후 협력플랫폼 지속 확대 중(2016년 12월 기준)
- 6개 유관 인프라(결제, 통관, 물류, 검역, 택배, 인증)의 이해와 사전준비기간(시스템 연결, 기업 모집, 콰징플랫폼 발굴 등)으로 중국의 다른 지역으로 대체 불가
- 기타 지역(콰징종합시범도시는 13개)은 시스템 연결의 불안정성과 물류 효율성 등 현실적 문제로 항저우, 닝보의 배송거점화 희망(업계 및 바이어 의견)
□ 한국 제조기업에게는 최선의 중국시장 진출경로
ㅇ KOTRA 항저우 무역관 공동물류센터 입고를 통해 중국 콰징전자상거래 시장 진출 필요
- 국경 간 전자상거래 소매수입상품목록 1293개 품목(HS Code 8단위)을 취급하는 한국 기업에 한해 콰징공동물류창고 입고 가능
* 수입 가능품목은 ① 서적·간행물·교육용 동영상 자료, 컴퓨터·캠코더·디지털카메라 등 디지털제품, 금은제품, 가구·완구·게임기·오락용 제품 등, ②스포츠용품·낚시용품/방직 관련 완제품, TV카메라, 전기용품, 가정용 전자·자전거 등 ③ 패션, 장신구 및 보석류, 골프용품, 고급시계, 화장품, 식품·음료 ④ 일반의약품, 의료용기자재 ⑤ 유아용품 등 완세가격 2000위안 이하로 해관의 사전서류심사 승인 품목
□ 한·중 양국에 던지는 시사점
ㅇ 중국 소비자: 중국 콰징 정책과 KOTRA 보세물류창고를 통해 중복 보증하는 한국 정품을 최선의 가격으로 편리하게 구매
ㅇ 중국콰징플랫폼(O2O): 보다 많은 한국 정품의 테스팅과 재고부담 없는 판매를 통해 면세점이나 메이저플랫폼 대비 확실한 경쟁우위 확보
ㅇ 중소기업(특히, 제조업체): 일반무역 수출절차를 간소화해 제품을 보세창고로 발송한 뒤, 사전 연결 시스템 판매와 결제를 통해 중국 진출 달성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관 르포] 자동차의 IoT 진화론과 우리 기업의 준비 (0) 2017.01.13 美 대통령과 의회의 무역에 관한 권한 배분 (0) 2017.01.13 중국 양자통신산업 본격화, 글로벌 경쟁 선두에 서나 (0) 2017.01.13 미국에서 소프트웨어 특허 등록하려면 (0) 2017.01.13 바이어에게 듣는 日 플라스틱 밀폐용기 트렌드 (0) 2017.01.13 싱가포르 취업 유망분야 3편: 건설산업 (0) 2017.01.13 전문가에게 듣는 일본 현지 법인 운영 가이드 (0) 2017.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