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신차업계 울상World Wide 2017. 1. 17. 17:21반응형
캄보디아 신차업계 울상
2017-01-17 김민우캄보디아프놈펜무역관- 병행수입 허용과 차량 관세 인상으로 -
- 캄보디아 차량 등록수는 매년 증가 추세 -□ 캄보디아 자동차시장 개황
ㅇ 캄보디아의 연평균 7%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캄보디아 자동차 시장은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ㅇ 대캄보디아 차량 주요 수출국은 일본·태국·한국·미국으로 일본과 태국에서 수입되는 차량은 대부분 신차이며, 미국과 한국에서 수입되는 차량은 중고차임.
- 한국은 대부분 중고 상용차이고 미국은 대부분 중고 승용차인데, 이는 각 국가의 해당 중고차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
(단위: 천 달러, %)
국가
2011
2012
2013
2014
2015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일본
98,228
32.2
100,077
24.7
68,402
16.8
49,573
24.7
210,939
30.8
태국
31,196
10.2
47,534
11.7
77,591
19.1
24,689
12.3
141,885
20.7
한국
55,076
18.0
100,000
24.6
81,492
20.0
36,099
18.0
119,459
17.4
미국
71,175
23.3
74,151
18.3
112,355
27.6
55,686
27.7
110,381
16.1
중국
20,106
6.6
19,789
4.9
22,709
5.6
9,031
4.5
30,880
4.5
독일
8,958
2.9
16,334
4.0
12,855
3.2
7,285
3.6
24,837
3.6
기타
20,606
6.8
48,124
11.8
31,456
7.7
18,786
9.2
47,090
6.9
합계
305,345
100
406,009
100
406,860
100
201,149
100
685,471
100
자료원: 캄보디아 관세청
ㅇ 2014년도 차량 수입은 약 2억 달러로 크게 줄었지만, 2015년도에는 약 6억8000만 달러로 크게 늘어 2011년도 이후 4년 만에 2배로 수입량이 증가함.
자료원: 캄보디아 관세청
ㅇ 캄보디아 전체 차량 등록대수는 2015년 기준 약 48만 대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정치 상황 안정과 내수경제 활성화로 인해 등록대수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누적
자동차
24,474
26,533
31,579
24,355
33,512
37,723
37,160
40,870
57,649
487,137
자료원: 캄보디아 교통부
ㅇ 매년 등록되는 자동차 수는 2015년에는 2007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함.
자료원: 캄보디아 교통부
□ 캄보디아 신차 및 중고차 관세 비교
ㅇ 캄보디아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고급 승용차 수요가 늘면서 2014년 이후 Mazda, BMW, Porsche, Rolls-royce, Volks Wagen 등 고급 브랜드의 공식 에이전트가 잇따라 전시장을 오픈. 그 이전에도 상기 브랜드의 차량은 중고로 병행 수입자에 의해 판매되고 있었으나, 공식 에이전트가 속속 등장함에 따라 꾸준히 정부에 병행수입 금지 혹은 중고차에 대한 관세 인상 및 신차 수입에 대한 관세 인하를 요구함. 그러나 아직까지 수입금지나 관세 변동 계획은 없음.
ㅇ 신차 수입 시 브랜드와 배기량에 따라 기준가격이 정해져 있고, 이에 137.50%의 수입세금(관세, VAT, 특별세 포함)이 부과됨. 중고차의 경우는 브랜드와 모델에 상관없이 승용차, 화물용 및 승객용 트럭, 배기량 및 마력, 차량 무게 등을 따져 관세율이 77.10~145.025%까지 차등적으로 부과되는데, 일반적으로 경차는 93.05%, 승용차는 137.60~145.025%, 상용차는 77.10%의 수입세금이 부과되고 있음.
ㅇ 중고 승용차의 경우 브랜드 상관없이 연식과 배기량만 따져 기준가격이 정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중고 가격이 내려가는 것이 정상이지만, 2016년 4월 중고차와 신차에 대한 수입세금이 올라가면서 신차의 가격경쟁력은 중고차 대비 더 떨어지는 현상이 벌어짐.
중고차와 신차의 수입세금 비교 시뮬레이션(예시 차량: BMW 3,000㏄)
중고차
신차
2015년
2016년
2015년
2016년
기준가격 2014년식
25,000달러
2015년식
24,500달러
2015년식
32,000달러
2016년식
40,000달러
수입세율 122.75%
137.60%
137.5%
137.5%
세금 30,687.5달러
33,712달러
44,000달러
55,000달러
실질 수입세금 인상 3,034.5달러
인상 11,000달러
ㅇ 중고차와 신차에 대한 수입 세율이 동시에 올라갔지만, 세율이 적용되는 기준가격이 고급브랜드의 신차가 중고차 대비 증가 폭이 높은 관계로 신차에 대한 실질적인 수입세금이 큰 폭으로 올라, 고급브랜드의 신차 수입 에이전트는 차량 판매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힘.
- 실제로 캄보디아 자동차 산업연맹(Cambodia Automotive Industry Federation)은 높은 수입세금과 병행수입자 때문에 신차 판매는 전체 차량 수입의 10%인 수준이라고 밝힘.
□ 캄보디아 자동차 시장 전망 및 시사점
ㅇ 건설업을 중심으로 한 캄보디아 내수경제의 성장으로 캄보디아 자동차 수입은 2017년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신차의 경우, 판매가에서 차지하는 높은 세금 비율과 중고차 대비 높은 가격으로 큰 폭의 판매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우나, 아세안 경제 공동체에 따른 수입세금 혜택으로 몇몇 아세안 역내 공장에서 생산되는 신차 모델의 경우는 판매량 증가를 기대해볼 수 있음.
ㅇ 캄보디아 국민의 소득수준이 낮고 대부분의 중고차가 경제활동에 쓰이기 때문에 중고차에 대한 높은 수입세금 적용은 현실성이 낮고 세수 확보에 열성적인 캄보디아 정부가 사치품으로 분류될 수 있는 신차에 대해서 수입세금을 낮게 부과할 가능성은 매우 낮음.
ㅇ 향후 안전과 환경보호를 명분으로 중고차 수입에 대한 연식 제한이 생길 수 있으나, 국민들에 생계와 큰 관련이 없는 승용차 분야를 먼저 시행해 상용차로 확대할 가능성이 높음.
ㅇ 아세안 역내 생산기지를 갖춘 일본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아세안 국가별 유망 모델에 대한 생산라인을 추가할 것으로 예상돼, 역내 생산기지가 없는 우리 자동차 기업에는 큰 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쑥쑥’ 커가는 中 이유식 쌀가루 시장 (0) 2017.01.17 美 신행정부 규제 환경 변화 예측 (0) 2017.01.17 일본 공작기계분야 수주 전망 호조세 (0) 2017.01.17 이탈리아 자동차산업, 성장세 주춤하나 (0) 2017.01.17 비즈니스 환경 개선 위한 러시아 옴부즈만 제도 (0) 2017.01.17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고속철도 개발 준비 박차 (0) 2017.01.17 말레이시아, 우기에도 수도권 단수 등 상수도난 심각 (0) 2017.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