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스라엘 2017년 경제 전망
    World Wide 2017. 1. 18. 18:50
    반응형
    이스라엘 2017년 경제 전망
    2017-01-18 윤주혜이스라엘텔아비브무역관

     


    □ 이스라엘 경제 전망


      ㅇ 2017/2018년 이스라엘은 다소 낮은 경제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환율 및 이자율은 현상을 유지할 전망

        수출은 세계교역 둔화에 따라 다소 낮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수입은 최근 민간소비 증가에 힘입어 확대될 전망

     

    □ 2017/2018년도 주요 경제지표 

     

      ㅇ 경제성장률

        - 이스라엘 경제성장률은 전년대비 0.2% 증가한 2.7%로 다소 낮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재무부 경제수석부의 보고에 따르면, 성장세가 크게 전망되지 않는 이유로 세계교역 둔화 및 주요 시장의 성장 둔화를 꼽음.

        - 2017/2018년 경제성장률 증가는 주로 투자시장 확대와 민간소비 증가에 의해 주도될 전망

        민간소비 증가는 2016년부터 이어졌으며임금 인상고용시장 확대낮은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에 따른 현상으로 최근 소비품목(특히 자동차수입이 증가세를 보임.

     

    경제성장률

                                                                                                                                                               (단위: %)

     

    2015

    2016

    2017*

    2018*

    경제성장률

    2.5

    2.5

    2.7

    2.8

    주: *전망치

    자료원이스라엘 경제부 발간 자료

     

      ㅇ 수출입

        - 세계무역 전망의 지속적인 하향세와 이스라엘 주요 수출품목의 경쟁력 상실(최저임금 급여 인상공무원 임금 인상 등의 노동시장 대책에 따른 경쟁력 상실)에 따른 여파로 이스라엘 수출은 하락세를 이어옴.

        - 2017/2018년 서비스(소프트웨어스타트업 인수 등 포함부문 수출 회복세를 보일 전망으로 수출 증가 기대. 최근 증가세를 보이는 하이테크산업 투자 확대 또한 향후 수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이스라엘의 수출 확대 전망

        수입은 국내 천연가스 생산에 따라 에너지 수입이 크게 감소해 하락세를 보이나최근 소비재 품목 수요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2017/2018년 수입 확대 전망

     

      ㅇ 인플레이션

        - 2017/2018년 인플레이션은 1.0~1.4%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15/2016년 정부의 고물가 현상 대책에 따른 수입물품 가격하락 등의 영향으로 인플레이션은 0.4%로 낮은 수준을 이어왔으나 2017/2018년에는 상승될 전망

     

      ㅇ 환율

        - 2017/2018년 1셰켈=3.7달러 전망

     

      ㅇ 이자율

        - 2017/2018년 이자율은 0.2% 전망

     

      ㅇ 고용시장

        - 최저임금평균임금 인상에 따라 최근 이스라엘 고용시장이 확대되는 추세로 고용시장 확대가 전망됨.

     

    □ 한국-이스라엘 수출입 전망


      ㅇ 2016(11월 기준한국의 대이스라엘 수출은 11억6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0% 증가대이스라엘 수입은 총 4억6000만 달러로 4.2% 감소 

        브렉시트한진해운 사태신규 핸드폰 기종의 생산 중단 등의 여건에도 대이스라엘 수출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

     

      ㅇ 2017/2018년 -이 FTA 협정 체결이 전망돼 향후 수출입 확대가 예상됨.

        지난 2016년 5월, 이스라엘 경제부와 통상차관 면담을 통해 한-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 협상 개시를 합의해 6월 27일 한국에서 1차 협상이 진행된 바 있음.

        - 2016년 12월, 이스라엘에서 2차 협상을 진행했으며 3차 협상을 앞두고 있는 상황. 2017/2018년 협상이 체결돼 발효될 경우, 대이스라엘 수출입 증가가 전망됨.

     

     시사점

     

      ㅇ 2017/2018년 이스라엘 경제는 낮은 회복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은 확대될 전망. -이스라엘 FTA 협상 체결에 따른 교역 확대가 전망돼 우리 기업들의 이스라엘 진출 고려가 필요한 시점임.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