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신형 디스플레이 부품 수입세 면제정책 연장World Wide 2017. 1. 19. 20:29반응형
중국, 신형 디스플레이 부품 수입세 면제정책 연장
2017-01-19 강민주중국상하이무역관- 중국 신형 디스플레이 재료, 부품 관세 감면정책 2020년까지 연장 -
- 중국의 수입규모 지속 확대 예상, 치열한 경쟁과 핵심기술 노출 대비 필요 -
□ 중국 재정부, 하이테크 발전을 위해 관세 감면정책 연장 공지 발표
ㅇ 중국 재정부는 신형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과 업그레이드를 위해 신형 디스플레이의 상류 원재료와 부품 관세 감면정책을2017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연장 적용하기로 발표함.
- <신형 평판 디스플레이의 상류 원재료, 부품 생산 기업 수입 물자에 관한 조제정책 규정(잠정)>(关于新型显示器件及上游关键原材料、零部件生产企业进口物资税收政策的暂行规定)
· 원문: http://gss.mof.gov.cn/zhengwuxinxi/zhengcefabu/201612/t20161223_2498526.html
- 이는 2006년부터 이미 시행돼 온 정책으로, 이번의 연장 공지를 포함하면 총 3번의 연장이 있었음.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규정에 기재된 평판 디스플레이의 유형 및 원재료, 부품 리스트도 업데이트가 됨.
ㅇ 이번 연장 범위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임.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음.
- 중국 현지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사는 규정 범위 내의 생산용 및 연구 개발용 원재료와 소모재 수입 시 관세 면제
· 제품 예시: Glass Fiber, HS Code 70182000), Color Filter, HS Code 90019090, Photo Mask, HS Code 37059090 등
- 무진실(無塵室) 건설 시 필요한 규정 범위 내의 조립 설비를 수입하면 수입관세와 수입 부가가치세(进口环节增值税) 면제
· 제품 예시: 전기 공급 시스템, HS Code 85437099, 독기처리기(POU), HS Code 84213990, 화학 용품 공급 장치, HS Code 73090000 등
- 신형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사가 규정 이내 금액(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공업정보화부가 제공한 공식으로 계산) 이내에 수입 설비 수리 시 해당 부품을 구입하면 수입관세와 부가가치세 면제
· 제품 예시: PECVD/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CVD, Sputter/Metal Sputter 등
- 컬러 필터(Color Filter), 편광판(Polarizer) 제조사가 생산용, 연발용 해당 원재료, 소모품을 구입 시 관세 감면
· 제품 예시: Photo Mask, HS Code 90019090, ITO Target, HS Code 28259090, Color Resist, HS Code 32041700 등
ㅇ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공업정보화부는 신형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사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 편광판(Polarizer) 제조사 리스트를 정리해 재정부, 해관총서, 국가세무총국에게 전달하고, 해당 산업의 발전 상황에 따라 리스트 조정이 가능
□ 중국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 현황
ㅇ 현재 중국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은 크게 LCD, PDP와 OLED로 나눌 수 있음.
LCD, PDP, OLED의 비교
대비 아이템
LCD
PDP
OLED
가능한 사이즈(in)
1-60
42-60
1-10.4
디스플레이 퍼포먼스
제일 높은 대비율,
높은 해상도, 상대적으로 넓은 시각, 반응속도 보통
높은 대비율,
넓은 시각, 빠른 반응속도, 해상도 보통
높은 대비율과 해상도,
넓은 시각, 빠른 반응속도
에너지 소모
낮음
필요한 전압,
에너지 소모 다 높음
낮음
사용 기한
긴 편임
긺
긺
온도
상승할 공간이 있음
내열성, 내진성(抗震)
탁월한 내열성, 내진성
가격
높음
높음
제일 높음
응용분야
TV, Notebook, Monitor, Mobile phone, Digital camera, VOBC
TV, 빅 사이즈 모니터
Mobile phone, PDA 등 소형 제품
대량생산 기술조건
성숙
상대적으로 성숙
미성숙
제조
복잡, 하이 코스트
상대적으로 간단
복잡, 코스트 제일 높음
산업투자
거대한 투자군 기 형성
후속 투자 많지 않음
소수 업체 투자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
ㅇ 중국 LCD 생산은 이미 성숙단계에 도달했으나 첨단기술로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면서 비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
- OLED는 대량생산기술이 부족하며 가격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기 때문에 소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제조에만 응용하고 있어 출하량이 시장 수요에 부합하지 못함. 따라서 OLED는 글로벌 시장은 물론, 중국도 정부가 전면적으로 나서서 육성하고 있음.
- 연평균 성장률(GAGR)을 보면, 1위는 OLED TV임. 그러나, TV용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큰 편이라서 생산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음. 2위는 높은 발전 잠재력을 보이는 AR/VR 산업임.
ㅇ 현 단계에서 OLED의 출하량은 제한적이며, 대부분은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음.
* 주로 AMOLED(Active Matrix OLED)가 쓰임.
2014~2020년 중국 OLED 출하량 예측(응용 분야로 분류)
출하량(백만 장)
2015
2016E
2017E
2018E
2019E
2020E
5년간GAGR
자동차 감시
0
0
0
0.18
0.5
0.83
-
무인운전 자동차
3.41
3.44
3.5
3.54
3.57
3.59
1%
디지털카메라
0.7
0.64
0.68
0.73
0.75
0.77
1.9%
가전
18.21
24.11
27.29
30.74
33
34.78
13.8%
컴퓨터
5.25
8.05
9.59
10.22
10.73
11.36
16.7%
휴대폰(스마트폰)
256.95
353.40
416.9
548.84
633.34
701.46
22.2%
AR/VR
1.62
3.56
4.23
4.81
5.43
6.43
31.7%
작업
0.6
0.71
0.78
0.82
0.83
0.83
6.8%
OLED TV
0.42
0.99
1.89
3.70
6.33
9.43
86.3%
스마트 워치
37.52
46.47
51.49
56.87
66.3
76.31
15.2%
기타
36.63
41.20
46.3
48.41
49.49
49.30
6.1%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
2015~2020년 중국 AMOLED 시장규모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
2014~2018년 중국 스마트폰의 AMOLED 침투도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
ㅇ 중앙정부의 정책 지원, 지방정부의 자금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의지를 바탕으로 중국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 라인 건설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 대표적인 강자인 징동방(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BOE)은 현재 건설 중인 생산라인을 합해 총 11개를 갖고 있음.
중국 주요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사 생산라인 분포 상황(2016년 기준)
기업
상태
분포 상황
京东方科技集团股份
有限公司(BOE)
생산 시작
베이징; G5 line, G8.5 line
청두: G4.5 line
충칭: G8.5 line
허페이: G6 line, G8.5 line
어얼둬쓰: AMOLED G5.5 line
건설 중
푸저우: G8.5 line(총 투자 300억 위안, 2017년 개시 예정)
허페이: G10.5 line(총 투자 400억 위안, 2018년 개시 예정)
청두: LTPS G6 line(총 투자 220억 위안, 2017년 개시 예정)
쓰촨: G8.5 line(계획 중)
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SOT)
생산 시작
선전: G8.5 line/2
우한: LTPS G6 line
건설 중
선전: G11 line(총투자 500억 위안, 2.16m 이상의 액정패널을 자를 수 있음)
中国电子信息产业集团
有限公司(CEC)
생산 시작
난징: G6 line, G8.5 line
건설 중
선양: G8.6 line(총 투자 280억 위안, 2017년8월 개시 예정)
쓰쵠: G8.5 line(총 투자 280억 위안)
深圳天马微电子股份
有限公司(TIANMA)
조업 개시
상하이: G4.5 line, LTPS G5.5 line
청두: G4.5 line
우한: G4.5 line
샤먼: G5.5 line, G6 line
건설 중
우한: LTPS AMOLED G6 line(총투자 120억 위안, 2017년 개시 예정)
자료원: ITTBANK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의 제약 조건
- (기술개발 능력 부족) 중국 기업의 투자 규모는 세계 최고 수준이나 업체의 기술 개발은 많이 부족함. 세계 시장을 보면 일본과 한국의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은 일찌감치 발달했으며, 관련 특허기술(technical patent)의 수량이 제일 많음. 특히 중국은 고성능AMOLED 제조 장비를 거의 수입으로 채우고 있어 생산비용을 낮추기가 어려움. 최근 들어 정부의 지지, 대형 제조사의 참여가 늘면서 기술개발 투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미래 특허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 (원재료 수입비중 여전히 높아) 현재 OLED와 같은 신형 평판 디스플레이의 원재료는 주요 일본(Idemitsu Kosan, HODOGAYA CHEMICAL CO.,LTD.), 미국(universal display corp.) 및 한국 기업들만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 현지 기업들 중에 OLED 양산에 필요한 원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이 없음. 특히 중국의 <신화학물지환경관리법>(新化学物质环境管理法)에 따라 신형 화학재료 검사를 거쳐야 하는 제약이 있음. 또한, 외국기업들의 핵심 기술 유출의 우려로 중국 시장에서 OLED 원재료 판매는 소규모에 그치고 있음. 이와 같은 복합적인 원인에 따라, 중국 OLED 산업의 발전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음.
ㅇ 중국의 OLED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
- 중국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도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의 건설 확대에 앞장서고 있음. 예를 들어, 지방의 세제 혜택, 국유지 사용권 허가, 인재 유치 등의 여러 지원책을 제공하면서 중국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있음.
- 2015년 중국의 평판디스플레이의 수요는 이미 글로벌시장의 30%를 차지함. 특히, OLED의 수요는 스마트폰 제조사의 경쟁에 따라 늘어남. 한국의 SAMSUNG, LG, 중국의 HUAWEI, XIAOMI, OPPO, vivo는 이미 스마트폰에 OLED를 장착하기 시작함. 업계에 따르면, 애플도 OLED를 사용할 계획임에 따라 중국 제조사도 생산량을 늘려갈 것임.
ㅇ 우리 기업들은 현재 비교적 유리한 환경에서 시장 확보 기회를 잡아야 함. 그러나 치열한 경쟁과 핵심기술 노출에 대비해야 함.
- 앞으로 일본 등 기존의 강자들과의 경쟁 외에도 중국 기업과의 경쟁이 예상됨. 이에 따라, 꾸준한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 우위를 확보해야 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간다 전력산업 동향과 전망 (0) 2017.01.19 2017 코트디부아르, 이 분야를 주목하라 (0) 2017.01.19 중국 新외국인근무 허가제도 시행 (0) 2017.01.19 2017년 브라질, 경기 불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까? (0) 2017.01.19 국공립어린이집 설치범위 확대! (0) 2017.01.19 1월 이란 동향 2호 (0) 2017.01.19 美 재무부, 대수단 경제제재 해제 발표 (0) 2017.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