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온라인 쇼핑몰 Top 10World Wide 2017. 6. 15. 16:52반응형
독일, 온라인 쇼핑몰 Top 10
2017-06-15 이진희 독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 독일 온라인 쇼핑시장 성장세 -
-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 활용 추천 –
□ 독일 온라인 쇼핑시장
ㅇ 2016년 독일 온라인 시장 판매액은 442억 유로를 기록했으며, 2017년 말에는 전년도보다 45억 유로 증가한 487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ㅇ 이에 따른 2015년 온라인 쇼핑 이용자는 5200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2021년에는 58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온라인 쇼핑 이용자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ㅇ 2016년 독일 연방통계청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용자 연령대는 10대부터 65세 이상까지 다양하며, 그 중 25~44세 연령대의82%가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고, 그 다음으로는 각각 16~24세의 68%, 45~64세의 67%가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독일 온라인 시장 판매액 추이
(단위: 십억 유로)
자료원: 독일 무역협회(HDE)
독일 온라인 쇼핑 이용자 수
(단위: 백만 명)
자료원: 독일 Statista
연령대별 쇼핑몰 이용자 비중
자료원: 독일 연방통계청
□ 독일 10대 온라인 쇼핑몰
ㅇ 2015년 독일 아마존이 매출액 77억9000만 유로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고, Otto가 23억 유로, Zalando 약 10억 유로로 그 뒤를 따르고 있음.
ㅇ 2016년 독일 Statista의 통계에 따르면 상위 5대 온라인 쇼핑몰 순위에는 변동이 없었으며, 아마존은 매출액은 95억1900만 유로를 기록해 전년 대비 22%가량 증가
ㅇ 이를 이어 Otto는 10.5%, Zalando 17.6%, Notebooksbilliger 17.2%, Cyberport 29.7% 로 전년 대비 모두 큰 폭의 증가율을 보임.
2015년 독일 Top 10 온라인 쇼핑몰 매출액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독일 EHI Retail Institute
2016년 Top 5 온라인 쇼핑몰 매출액
(단위: 백만 유로)
순위
회사명
매출액
1위
amazon.de
9,519
2위
otto.de
2,542
3위
zalando.de
1,214
4위
notebooksbilliger.de
7,16
5위
cyberport.de
637
-
총계
48,070
자료원: 독일 Statista
□ 온라인 쇼핑몰 별 잘 팔리는 품목
쇼핑몰명
품목명
Amazon.de
모든 품목
Otto.de
여름 휴가 용품
Zalando.de
의류, 신발
notebooksbilliger.de
컴퓨터, 가전, 휴대폰 및 악세서리
cyberport.de
컴퓨터, 가전, 휴대폰
주: 특히 최근 아마존에서 단기간 내에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은 인공지능 음성비서 아마존 에코 닷 2(Amazon Echo Dot)임
□ 전망 및 시사점
ㅇ 온라인 쇼핑몰은 해외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릴 기회의 통로
- 온라인이라는 특성 때문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되는 곳이면 이용 가능
- 최근 모바일 폰을 이용한 온라인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패턴을 분석해 본 결과, 모바일 구매량이 증가추세를 나타냄.
- 독일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한 모바일 앱 등의 마케팅 전략 구사 필요
ㅇ 아마존과 같은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 판매자로 등록해 온라인 판매를 시도하는 것도 독일 시장 진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ㅇ KOTRA 해외 공동 물류창고 이용 추천
- 독일의 바이어와 인터뷰에서 한국 제품을 수입하는 데 큰 걸림돌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함.
- 우선 제품을 소량 주문해 현지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고 구매·수입량을 늘려가고 싶은데, 소량의 물건을 위해 지불해야 하는 운송비가 크므로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답변을 함.
- 독일 현지에 물류창고가 있어 소량이라도 제품구매가 가능하고 빠른 배송이 가능하면, 독일 바이어들과의 접촉이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함.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OTRA의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임.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가포르, 7월부로 수도세 인상 (0) 2017.06.15 [전문가 기고] GCC 국가의 부가가치세 도입 (0) 2017.06.15 [유망] 2017년 미국 헤드폰 시장동향 (0) 2017.06.15 [유망] 이집트, CCTV 카메라 시장 눈여겨볼 만 (0) 2017.06.15 中 주방용 환풍기, 로컬 브랜드의 고급품이 강세 (0) 2017.06.15 코트디부아르에 투자해야 할 세가지 이유 (0) 2017.06.15 독일, 스마트 센서를 둘러싼 글로벌 경쟁에 맞서기 (0)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