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이집트, CCTV 카메라 시장 눈여겨볼 만World Wide 2017. 6. 15. 16:51반응형
[유망] 이집트, CCTV 카메라 시장 눈여겨볼 만
2017-06-15 김지혜 이집트 카이로무역관- 이집트 정부와 민간의 CCTV에 대한 수요 증가 추세-
- 현지 생산 없이 전량 수입에 의존, 한국은 7위의 CCTV 수입국-
□ 상품명: CCTV카메라(HS Code 8525.80)
□ 선정 사유
ㅇ 최근 범죄율과 테러 증가로 정부는 대중밀집시설(쇼핑몰, 주거지역, 병원, 정부청사, 은행 등) 에 보안 강화를 위한 감시카메라 설치를 요구함.
- 이집트 정부는 모든 상점과 산업 및 관광 시설은 CCTV 카메라 설치가 선행돼야 허가를 받을 수 있음.
- 교통부는 거리에 CCTV를 설치하는 ‘지능형 교통시스템 프로젝트’를 작년 발표함.
- 내무부는 사업자들과 상점에 강도사건을 줄이기 위해 감시카메라 설치를 장려함.
ㅇ 아울러 정부는 카이로와 수에즈 중간지점에 450억 달러를 투입해 신 행정수도 건설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며, 모든 건물과 거리에 CCTV 카메라를 설치할 계획으로 향후 이에 따른 공공발주도 잇따를 것으로 기대
ㅇ 이집트 국민 개개인도 범죄 및 테러 증가로 감시 카메라와 같은 개별 보안 시스템에 의존하기 시작함.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CCTV 카메라는 현지 생산이 없어 수요 전체를 수입에 의존함. 이에 시장규모는 수입액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연간 수입액은 2400만 달러 수준임(2016년 기준).
이집트 CCTV 카메라 수입규모(HS Code 8525.08)
(단위: 달러, %)
2014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22,049,684
8.01
26,334,124
19.43
24,428,391
- 7.24
자료원: 이집트통계청(CAPMAS)
- 2015년 대비 7.24%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주재국의 외환 부족에 따른 수입 감소, 정부의 각종 수입규제 조치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수입품목이 큰 감소폭을 보인데 반해 비교적 작은 폭의 수치임.
ㅇ 정부와 민간 부분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상위 10개국(한국 포함) 최근 3년 수입동향
이집트 CCTV 카메라 상위 10개국 수입규모
(단위: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014년
2015년
2016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중국
8,077,282
9,531,319
10,307,372
36.63
36.19
42.19
8.14
2
독일
3,624,450
3,796,101
4,664,340
16.44
14.42
19.09
22.87
3
미국
2,825,625
4,452,150
3,340,184
12.81
16.91
13.67
- 24.98
4
영국
485,026
632,349
1,270,482
2.20
2.40
5.20
100.91
5
프랑스
556,546
357,708
1,058,742
2.52
1.36
4.33
195.98
6
대만
1,089,273
1,156,980
769,784
4.94
4.39
3.15
- 33.47
7
한국
1,095,283
469,163
665,279
4.97
1.78
2.72
41.80
8
아랍에미리트
1,369,379
195,119
551,901
6.21
0.74
2.26
182.85
9
말레이시아
429
4,744
312,326
0.00
0.02
1.28
6483.82
10
네덜란드
28,061
3,646,377
229,979
0.13
13.85
0.94
- 93.69
자료원: 이집트통계청(CAPMAS)
ㅇ 주요 수입국은 중국이 1000만 달러로 시장의 42%를 차지하고 뒤를 이어 독일(19%), 미국(14%), 영국(5%), 프랑스(4%) 순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ㅇ 한국은 66만 달러로 수입국 중 7위, 시장의 2%를 차지하며 2015년 46만 달러 대비 42%나 증가한 수치임.
- 한국 기업들의 신기술, 유럽 및 미국산 대비 고품질에 가격경쟁력이 수입 Top 10국가에 들게 된 이유임.
□ 경쟁동향
ㅇ 유통업자와 에이전트 인터뷰 결과, 소비자는 브랜드명이 아니라 제품의 원산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함. 이에 브랜드별 시장점유율을 계산하기는 어려움.
ㅇ 최근 3년간 유통업자와 수입상이 급증했으며 각 유통업자는 수입국 별로 3~4제품을 취급함. 주로 취급되는 국가별 브랜드는 아래와 같음.
국명
상품명
미국
Cohu, Pelco, 2M
독일
Garndic, Plattic
영국
Vista
한국
Fine Samsung, HST, HD Pro, CMB
일본
Sony, National, Philips
ㅇ 수출을 희망하는 해외기업은 현지에 에이전트를 두거나 대리점 계약을 통해 제품을 판매함.
ㅇ 최종 소비자의 종류에 따라 CCTV의 유통방식은 달라짐.
- 일반소비자: 품질, 가격, 편리함 면에서 가장 뛰어난 브랜드 전문가와 상담 후 대리점 등에서 구입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쉬운 카메라를 선호함.
- 부동산 개발업체: 쇼핑몰, 컴파운드 등에서 보안을 위해 CCTV를 설치하며 주로 전문 보안시스템 회사를 통해 납품받음.
- 정부 구매: 통상적으로 수입에이전트를 통해 납품받는 경우가 대부분임.
□ 관세율과 인증절차 및 제도
ㅇ 관세율: 이집트 관세율표에 따르면, 5%의 관세를 부과함.
H.S Code
세부내역
관세율
8525.80
Television Cameras, Digital Cameras And Video Camera Recorders
5%
ㅇ 인증
- 특별한 인증서는 필요없으며, 현지 에이전트는 제품을 NTRA (National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에 등록해야 함.
The National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NTRA)
Website: http://www.tra.gov.eg
Address: Smart Village, Building No. 4, Km 28 Cairo / Alex Road.
Telephone: (+202) 35344000
Fax: (+202) 35344155
□ 바이어 인터뷰
ㅇ Egypto Supply Office(E.S.O): CCTV, Metal detector 등 모든 종류의 보안제품 취급
- 정부는 증가하는 범죄외 테러에 대비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건물과 거리의 보안시스템을 강화할 계획으로, 이집트 CCTV 시장은 매우 유망함.
- 한국의 CCTV 카메라가 좋은 평판을 얻고 있기 때문에 이집트 시장진출에 좋은 기회임.
-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 시장 진출에 관심이 있다면 합리적인 가격대,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중개 회사들로부터 수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직접 제조업자와 일하기 선호함.
ㅇ Jana S.A.E: 국방 및 보안제품 취급- 해당 기업은 국방부와 내무부와 일을 하고 있으며, 내무부는 보통 공항, 국립 은행, 정부 건물, 교통 신호에 필요한 CCTV 카메라를 입찰함.
- 한국 기업이 이런 종류의 입찰에 관심이 있다면, 이집트 에이전트 없이 입찰에 직접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국방부와 내무부의 면허를 소지한 이집트 에이전트와의 파트너십이 필수임.
ㅇ Zero Tech Egypt: CCTV 포함 보안시스템을 취급하는 최대규모의 회사 중 하나- 이집트 CCTV 카메라 시장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 중이므로 한국 기업이 CCTV 카메라를 수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함.
- 이집트는 항상 가격에 민감한 시장이지만 특히 이 분야에서는 품질 또한 중요한 요소
- 시장의 주요 공급 업체는 주로 미국과 유럽이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이 시장진출을 원할 경우 경쟁력있는 새로운 기술과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해야 함.
ㅇ Desco - Delta Electronic Systems: 다양한 CCTV와 보안 제품을 취급하는 에이전트 및 유통업자- CCTV 제품이 이집트 시장에서 매우 유망하고 CCTV 설치가 모든 건물에서 필수적으로 이뤄지고 있음.
- 특히 첨단기술로 여타 수출국들 사이에서 좋은 평판을 얻고 있는 한국 기업들은 이를 활용해 이집트 시장에 적극적인 진출이 필요함.
-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에 수출하기를 원할 경우 첨단기술 외에도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해야 함.
ㅇ Guardian Security Systems: 보안제품 취급 에이전트 및 공급업자- 사회 전반에 보안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들이 있어 모든 보안 제품이 이집트 시장에서 유망함.
- 이집트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첨단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한국 기업의 이집트 시장 진출이 가능함.
ㅇ Etisalat innovations: 보안시스템 수입상- 우수한 품질로 인해 보안분야의 한국 회사와 거래하는 데 관심이 있음.
- 한국 기업의 이집트 전시회에 참여하고 TV, 라디오, 잡지, 신문을 통해 광고에 집중해야 함을 강조
□ 시사점
ㅇ 이집트 CCTV카메라 시장 수요 점차 증가
- 이집트 일반 소비자와 기업체 범죄 및 테러 증가로 감시 카메라와 같은 개별 보안 시스템 설치로 재산을 보호하려는 추세
- 이집트 정부와 군부도 테러 방지 및 치안 강화의 목적으로 CCTV 도입을 확대함.
ㅇ 이집트시장의 수요를 전량 수입에 의존, 한국은 CCTV 수입 상위 10개국 중 7위
- 이는 한국 제품의 좋은 품질과 높은 기술력 때문임.
ㅇ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유능한 대리점 또는 에이전트를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군부나 경찰 수요는 해당 분야에서만 활동하는 전문 에이전트를 통해야만 입찰을 통한 납품이 가능하므로 유의해야 함.
ㅇ 가격의 경우 유럽 및 아시아 국가 기업들 대비 높은 편이며, 이집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좋은 품질과 중국과 아시아 브랜드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해야 함.
ㅇ 한국기업은 다양한 루트를 통해 한국 브랜드를 소개할 기회를 가져야함.
- TV, 라디오, 신문, SNS 등을 통한 광고로 소비자에 한국 브랜드 자주 노출
- 이집트 내 개최되는 전시회 참가해 한국제품 소개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활동도 병행해야 함. 이에 아래 전문 전시회 참가를 권장함.
전시회명
The Middle East Fire, Security & Safety Exhibition and Conference(MEFSEC)
품목
Security Items
국가명/도시명
이집트, 카이로
장소
Cairo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re, Egypt
예정일 (2017)
2017년 12월 3~5일
웹사이트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기고] GCC 국가의 부가가치세 도입 (0) 2017.06.15 [유망] 2017년 미국 헤드폰 시장동향 (0) 2017.06.15 독일, 온라인 쇼핑몰 Top 10 (0) 2017.06.15 中 주방용 환풍기, 로컬 브랜드의 고급품이 강세 (0) 2017.06.15 코트디부아르에 투자해야 할 세가지 이유 (0) 2017.06.15 독일, 스마트 센서를 둘러싼 글로벌 경쟁에 맞서기 (0) 2017.06.15 일본 정부가 주목하는 세계적으로 통할 스타트업은? (0)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