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카타르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World Wide 2017. 11. 27. 21:04
    반응형
    [유망] 카타르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2017-11-27 김민경 카타르 도하무역관

    - 자동차 판매 증가와 함께 자동차부품 수요 동반 전망 -  

    - 특정 자동차부품군은 통관 시 카타르표준청(QS)에서 요구하는 추가서류 제출 필요 -




    □ 자동차 판매시장은 지속성장할 전망


      ㅇ BMI에 따르면, 카타르의 자동차 판매는 2021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전망

        - 자동차 판매는 2015년 약 9만3000대를 기록한 이후 2016년에는 판매가 감소함. 그러나 2017년부터 회복세를 보이면서 2021년까지 지속 증가할 전망 

        - 2022년 월드컵 개최에 대비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진행 및 이에 따른 인구 증가는 승용차 및 화물차에 대한 수요를 동반하고 있음. 


    자동차 판매 추이

    구분

    2015

    2016e

    2017f

    2018f

    2019f

    2020f

    2021f

    승용차(대)

    72,940

    61,999

    50,839

    54,906

    58,749

    61,687

    64,487

    상용차(대)

    20,403

    15,219

    12,936

    13,549

    14,309

    14,738

    15,052

    합계

    93,343

    77,218

    79,872

    85,738

    98,833

    116,027

    136,486

    주: 1) e(추정치), f(전망치), 2) 자료원: BMI


    □ 자동차 판매 증가와 함께 자동차부품시장도 성장세 기록


      ㅇ 자동차 판매 증가와 함께 자동차부품 수요도 동반되고 있음. 2016년 자동차부품 수입 금액은 약 1억7000만 달러로, 2015년 대비 8% 증가


    HS Code 8708 수입 동향

    (단위: 달러)

    2014

    2015

    2016

    161,033,291

    156,922,278

    169,745,337

     주: HS Code 8708(Motor vehicles; parts and accessories, of heading no. 8701 to 8705)

    자료원: UN Comtrade


      ㅇ 2016년 기준 일본산 자동차부품은 4900만 달러 규모로 수입돼 전체 수입시장의 약 30%를 차지

        - 일본 자동차 브랜드인 도요타, 닛산, 미쓰비시는 전체 자동차 판매 시장의 50%를 점유하는 동시에 각각 1~3순위를 차지하고 있음. 이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부품은 수입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한국 자동차 브랜드인 기아와 현대는 각각 4, 5위 점유율을 보이며 전체 시장의 10%를 점유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부품 제품은 약 930만 달러 규모로 수입돼 전체 수입시장의 5%를 점유


    2016년 주요 수입국

    연번

    국가명

    수입액(달러)

    점유율(%)

    1

    일본

    49,648,335

    29

    2

    독일

    22,362,324

    13

    3

    미국

    19,145,900

    11

    4

    중국

    11,591,197

    7

    5

    한국

    9,286,445

    5

    6

    태국

    9,176,269

    5

    7

    영국

    5,869,894

    3

    8

    이탈리아

    4,616,316

    3

    9

    인도

    4,516,991

    3

    10

    멕시코

    3,791,353

    2

    기타

    29,740,313

    18

    합계

    169,745,337

    100

    주: 1) HS Code 8708 기준, 2) 자료원: UN Comtrade 


    □ 인근국과의 국교 단절에 따른 수급 불안정, 신규 수입노선 구축으로 해소

     

      ㅇ 한 자동차부품 수입업체에 따르면, 2017년 6월 발생한 카타르 단교사태에 따라 기존에는 UAE를 통해 7일이면 제품을 받아볼 수 있었으나 20일 이상씩 소요돼 수급에 일시적인 애로를 겪었다고 함.

     

      ㅇ 그러나 단교사태 발생 직후 인근국으로 신규 항로와 수입노선이 신속히 구축됨에 따라 수급 불안정은 점차 해결됐으며, 국교 단절이 발생한 지 5개월 지난 시점인 현재 대부분 부품은 같은 가격대로 판매됨.


    □ 자동차부품 수입 규정


      ㅇ 현지 에이전트는 아래 품목군에 대해 카타르 표준청(QS)의 'Qatar Standard Guide'에 따라 제품 통관 시 아래와 같이 별도의 서류 제출이 필요


    품목명

    내용

    기본 통관서류(공통)

    관세

    타이어

    - 수입자의 공식 레터헤드지에 인쇄된 'Declaration of Conformity' 

    - 타이어 타입 및 사이즈별로 GSO 인증서 제출(GCC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발급). 발급받은 인증서는 발급일로부터 1년간 유효


    ① Certificate of Origin

     - 선적지 상공회의소 인증, 카타르대사관 인증, 날인 및 서명이 묻은 원본

     Commercial Invoice

     - 선적지 상공회의소 인증, 카타르대사관 인증, 날인 및 서명이 묻은 원본 

    ③ Packing List 

     - 날인 및 서명, 품목별 HS Code 명시

     Bill of Lading, Airway Bill 


    5%

    브레이크

    라이닝(패드, 슈),

    휠림, 안전벨트 

    - 수입자의 공식 레터헤드지에 인쇄된 'Declaration of Conformity' 

    - 원산지국의 자동차 제조사로부터 받은 원본 'Pledge-declaration Letter'에 카타르 내 공식 딜러명 명시. 모든 부품은 진품이며, 브레이크라이닝(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슈)의 경우, 비석면계임을 명시

    - 제품이 공식 제조사로부터 구입됨을 증명하는 스탬프를 받은 원본 인보이스의 Copy 제출 

    자료원: 카타르 표준청

     

    □ 시사점


      ㅇ 신차 판매는 2021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자동차부품에 대한 수요도 동반될 전망

        - 자동차 판매시장에서 13%를 차지하며 4, 5위 점유율을 보이는 현대 기아차의 활약과 함께 한국산 자동차부품 또한 시장점유율을 넓힐 것으로 기대


      ㅇ 카타르 단교사태 발생 후 신규 항로 및 수입노선이 즉각적으로 구축돼 자동차부품 수급은 대부분 정상화됨.

        - 단교 발생으로 신규 거래선 물색을 위해 KOTRA 도하 무역관을 접촉한 바이어들은 대부분 제조사를 통한 직거래를 선호하거나, 다양한 자동차부품 및 액세서리류를 취급하는 업체를 선호함.

     

      ㅇ 타이어, 휠림, 브레이크 패드 및 안전벨트 제품은 카타르 표준청에서 제시하는 규정에 따라 수입 에이전트는 수입통관 시 별도의 서류 제출이 필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