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건설시장 광폭 성장 중World Wide 2017. 11. 28. 21:53반응형
캄보디아 건설시장 광폭 성장 중
2017-11-28 이직수 캄보디아 프놈펜무역관- 2017년 시장규모 120억 달러로 2016년 대비 50% 성장 -- 중국 투자가 70%, 동남아 화교, 일본, 한국 등이 주요 투자자 -
□ 건설 경기가 캄보디아 경제성장의 주 원동력
ㅇ 캄보디아는 2017년 11월 기준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GDP 성장률이 평균 7%가 넘는 경제 성장을 누리고 있으며, 2010년 10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던 건설시장이 2017년에는 12배에 이를 전망
ㅇ 건설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캄보디아의 주요 경제적 원동력 중 하나로 2015년 GDP의 약 9%를 차지
ㅇ 2017년 캄보디아 건설업계는 낙관적인 투자 확신으로 호황기를 보임.
- 캄보디아(MLMUPC)의 도시 계획 및 건설토지관리부에 의하면, 승인된 건설 프로젝트의 총금액은 2015년 33억 달러에서 2016년 85억 달러, 2017년에는 12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2016년 캄보디아 정부가 승인한 건설 프로젝트는 총 8500만 달러를 넘어섰고, 전년 대비 성장률은 155%에 달함.
- 2017년 상반기까지 승인된 건설 프로젝트 총금액은 27%가 상승해 50억 달러가 넘음. 1183건에 720만㎡가 개발될 예정
자료원: MLMUPC 2016□ 중국과 한국이 주도, 일본, 싱가포르, 태국 등이 주요 투자국
ㅇ 캄보디아 토지관리계획(MLMUPC)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이후 2017년 11월 현재 캄보디아에 투자하는 상위 5개국은 중국,한국, 일본, 싱가포르 및 태국임.
- 중국은 120억 달러에 달하는 121개의 건설 프로젝트에 투자
- 한국은 167억 달러 규모로 48개 건설 프로젝트에 투자
- 일본은 24억5000만 달러의 자금 규모로 37개의 건설 프로젝트에 투자
- 싱가포르는 14억9000만 달러 규모로 9개 건설 프로젝트에 투자
- 태국은 14억 6000만 달러 규모로 25개 건설 프로젝트에 투자
캄보디아 건설 프로젝트 승인 건수 및 금액
(단위: ㎡, 100만 달러, %)
연도
프로젝트 수(개)
건물면적(㎡)
견적비용(백만 달러)
증감률
2005
2,995
4,117,402
857
Compared with 2004, Increased by 4%
2006
2,583
6,244,402
1,192
Compared with 2004, Increased by 4%
2007
1,942
10,695,340
3,212
Compared with 2006, Increased by 169%
2008
2,156
10,339,642
3,192
Compared with 2007, Decreased by 0.64%
2009
2,230
6,614,747
1,989
Compared with 2008, Decreased by 38%
2010
2,149
3,287,468
840
Compared with 2009, Decreased by 58%
2011
2,129
5,257,585
1,734
Compared with 2010, increased by 106%
2012
1,694
6,528,452
2,109
Compared with 2011, Increased by 72%
2013
1,641
7,596,151
2,773
Compared with 2012, Increased by 31,45%
2014
1,960
6,460,148
2,507
Compared with 2013, Decreased by 9.58%
2015
2,305
7,686,112
3,338
Compared with 2014, Increased by 33.14%
2016
2,635
12,158,268
5,579
Compared with 2015, Increased by 68%
2017. 8.
2,239
8,859,248
5,482
Compared with same period in 2016,
increased by 28.57%
주: 1) 2005년 8월~2017년 8월 자료, 2) 자료원: CCA(캄보디아 건설협회)
건설 프로젝트 총 투자규모주: 1) 2005년 8월~2017년 8월 자료, 2) 자료원: CCA(캄보디아 건설협회)
ㅇ 중국의 캄보디아 건설프로젝트 6선
① 프로젝트명: Four Season Phnom Penh LE BASSAC
· 투자 회사명: CHINA STATE CONSTRUCTION. CORP. LTD.
· 건축 면적: 8만3000㎢
· 프로젝트 투자 규모: 약 7000만 달러
② 프로젝트명: National Stadium
· 투자 회사명: CHINA STATE CONSTRUCTION. CORP. LTD.
· 건축 면적: 8만2000㎢
· 프로젝트 내용: 제 32회 동아시아 게임 메인 스타디움 등
③ 프로젝트명: China-Cambodia Friendship Medical building
· 건축 면적: 1만2900㎡
④ 프로젝트명: New International Siem Reap Airport
· 프로젝트 투자 규모: 약 8800만 달러
⑤ 프로젝트명: Chroy Changva City
· 투자 회사명: OCIC(Overseas Cambodian Investment Corporation)
· 프로젝트 투자 규모: 약 16억 달러 내외
⑥ 프로젝트명: Dara Sakor Seashore Resort
· 투자 회사명: Tianjin Union Development Group
· 프로젝트 투자 규모: 약 38억 달러 내외
외국인 건설 프로젝트 투자금액 및 연면적 비교
(단위: 개, ㎡, 달러)
국가명
2010~2016년
2017년 8월
프로젝트 수
총면적
견적 비용
프로젝트 수
총 면적
견적 비용
중국
125
6,765,558
2,035,350,669
11
462,619
248,644,120
한국
49
3,755,124
1,640,031,037
2
34,756
16,398,500
일본
38
697,268
246,471,121
3
57,811
20,242,850
싱가포르
10
411,301
158,827,880
2
44,098
15,434,300
태국
26
380,282
148,295,506
4
50,370
20,608,800
영국
10
480,894
141,049,699
0
0
0
대만
11
377,912
104,705,354
1
9,771
3,419,850
말레이시아
17
247,341
97,269,501
0
0
0
러시아
2
125,326
51,958,216
0
0
0
캐나다
4
161,663
47,378,740
1
45,134
15,796,900
라오스
1
75,742
36,356,160
0
0
0
베트남
9
115,868
35,464,602
0
0
0
프랑스
4
45,061
18,019,390
0
0
0
인도
2
37,804
16,876,550
0
0
0
네덜란드
1
14,596
9,487,400
0
0
0
미국
6
43,763
9,265,826
0
0
0
벨기에
2
22,514
7,518,200
1
8,134
4,067,000
호주
2
8,249
4,311,600
0
0
0
전체
319
13,766,266
4,808,637,451
25
712,693
344,612,320
주: 2000년~2016년, 2017년 8월까지 자료
자료원: CCA(캄보디아 건설협회)
□ 팀부타(Tim Vutha) 캄보디아 건설협회 사무처장 2018년 시장 낙관
ㅇ 최근 캄보디아 건설시장 현황은?
- 인프라, 주택 개발, 상업센터 및 소매점을 비롯한 여러 하위 분야에 걸쳐 건설 활동이 폭넓게 퍼지고 있으며, 건설 붐은 캄보디아의 수도 및 상업 중심지인 프놈펜과 그 주변 지역에 집중돼 있음.
ㅇ 프놈펜 건설 특징은?
- 최근 프놈펜시를 둘러보면 주요 교통 외곽 축을 따라 여러 개의 대규모 주거 단지와 상업 단지가 건설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ㅇ 주요 건설 부분은?
- 2017년 11월 현재 캄보디아 건설 시장에서 가장 발전된 부분은 아파트, 호텔, 슈퍼마켓, 상업 시설 등 서비스 산업과 관련이 있음.그 다음으로 사무용 빌딩, 주거용 건물, 공장 및 기업이 관련돼 있음.
ㅇ 전망은?
- 캄보디아 정부가 인프라 개발을 추진하고 외국인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캄보디아의 건설 활동이 계속 높아질 전망. 특히 내년 총선거(2018년) 이후에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ㅇ 한국 기업에 대해 한마디?
- 캄보디아 건설 붐을 타고 건설 분야 및 관련 전문서비스에 종사하는 해외 기업들은 캄보디아를 탐구할만한 가치가 있는 시장으로 생각하고 있음.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은 2017년 11월 현재 경제 성장으로 이끄는 캄보디아의 기둥 산업 중 하나이며, 고용 시장에서 수천 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음.
- 2017년 11월 현재 캄보디아 자체적으로 건축자재 생산은 극히 일부만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 건축자재는 주변국(태국, 베트남,중국 등)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으므로 한국 기업들의 건설 및 자재 시장 투자를 적극 환영함.
캄보디아 건설 협회(CCA) 사무처장 팀 부타(Tim Vutha)과 인터뷰
자료원: KOTRA 프놈펜 무역관
캄보디아 건축자재 수입 단가 및 수입국 현황
(단위: 달러, %)
자재명
단위
가격
HS Code
원산지
VAT
Portland Cement
Ton
79~98
2523.10.10
태국, 중국, 베트남, 현지
10
Reinforcement
Rebar
Ton
590~595
7213.91.20
태국, 중국, 이탈리아(베트남), 현지
10
Aggreate
㎥
11~12.5
2517.10.00
현지
10
Sand
㎥
7~11
2505.90.00
현지
10
Clay Brick
Pc
0.028~0.037
6815.10.20
현지
10
Roofing Clay Tile
㎡
10~14
6808.00.20
태국, 베트남, 현지
10
Floor Tile
㎡
5.5~19
6815.10,20
태국, 중국, 이탈리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스페인, 현지
10
Mastic under
painting
Bag
6~20
3214.10.00
3214.90.00
태국, 베트남, 현지
10
Emulsion Paint
25lters/Tank
16~110
8486.30.30
태국, 베트남, 일본, 프랑스, 한국,
노르웨이, 말레이시아, 현지
10
Plywood
Sheet
7.5~23.5
4412.3
태국, 중국, 베트남, 현지
10
Ready Mix Concrete
Grade 20
㎥
67
3816.00
Local
10
Grade 25
㎥
69
3816.00
Local
10
Grade 30
㎥
73
3816.00
Local
10
Grade 40
㎥
78
3816.00
Local
10
Diesel(26 Sep)
Liter
0.87
27.10
Caltex
10
Petroleum(26 Sep)
Liter
0.97(super)
27.09
Caltex
10
Timber
290~310
82.01
Local
10
자료원: CCA 통계자료
□ 전망 및 시사점
ㅇ 캄보디아 건설시장 특이점 간파 틈새시장 진출 노려야
- 중국의 캄보디아 건설시장 진출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힘입어 캄보디아 인프라 건설과 주택시장에 집중함에 따라 차별화 필요
- 캄보디아 기간시설 투자추진 현황을 분석해 우리 업계가 활용할 수 있는 틈새시장 분야를 모색 및 동남아 화교 기업과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분야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노력 필요(예: 중급 상업용 빌딩)
ㅇ 캄보디아 경제발전 방향에 병행하는 중장기 프로젝트 진출 유리
- 지난 20년간 7%대의 꾸준한 경제성장에 따른 다양한 분야에 인프라 건설이 예상됨에 따라 냉동 물류창고, 농산물 저장 및 가공장치, 인증센터 등 캄보디아에서 필요하지만 아직 미비한 분야에 민간투자 희망
- 캄보디아 정부에서는 사회시설에 민간투자를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음. 캄보디아 정부가 필요한 농산물가공 및 유통, 물류, 환경시설, 수처리 시설 등 틈새시장에 민간투자개발 형식(PPP, Private-Public Project)의 민관합동 프로젝트로 진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
- 한국의 유휴 장비를 활용한 캄보디아 건자재 시장 진출도 가능성이 높으며 철근, 유리, 조립공장 등도 진출 유망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기고] 일본의 특허심사 현황과 특허출원의 이점 (0) 2017.11.28 2017 솽스이, 중국 온라인 화장품 판매 트렌드 (0) 2017.11.28 미국 소비자 소셜미디어 사용 실태 (0) 2017.11.28 칠레 대선1차 및 총선 결과에 대한 현지 반응 (0) 2017.11.27 [유망] 뉴질랜드 건설중장비 시장동향 (0) 2017.11.27 [전문가 기고] 중미 인프라·플랜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제언 (0) 2017.11.27 중국 전국 통관 일체화 실무 FAQ (0) 201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