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뉴질랜드 건설중장비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1. 27. 21:06반응형
[유망] 뉴질랜드 건설중장비 시장동향
2017-11-27 배선호 뉴질랜드 오클랜드무역관- 다수의 대규모 건설·건축 프로젝트로 투자 수요 및 건설 장비, 자재 수요 증가 -
- 뉴질랜드 건설·건축시장은 2020년까지 23% 성장할 것으로 예측 -
□ 뉴질랜드 신정부의 인프라 투자 및 주택 건설 계획
ㅇ 교통시설 개선 위주의 인프라 투자정책
- 2017년 9월 총선을 통해 선입된 뉴질랜드 신임 총리 Jacinda Ardern은 고속도로 확장, 지방 고속도로 개선, 공항 철도 구축 등 대규모 인프라 시설 개선 계획을 발표했음.
- 뉴질랜드 교통청에 따르면 현재 계획 중인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는 114개인 것으로 확인됨.
- 신임 총리는 또한 2021년까지 오클랜드 서부-공항-시내 중심을 잇는 트램 건설 계획을 최근 발표함.
- 트램 건설은 우선 오클랜드 서부-공항 구간이 착공될 예정이며 예산은 50억 뉴질랜드 달러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로 진행될 예정임.
ㅇ 주택난 해결을 위한 신규 주택 건설
- 뉴질랜드는 이민자 및 투자 수요의 증가로 인해 주택가격 폭등을 겪어왔으며 이로 인한 사회문제가 두드러짐.
- 뉴질랜드 주택평가기관인 Quotable Value에 따르면 오클랜드 지역 주택가격은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7.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 선정된 택지 지구 내 주택건설 완공 시 오클랜드 도시 기능의 일부를 분산하는 위성도시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ㅇ 뉴질랜드 건설·건축시장 2020년까지 성장 예측
- 뉴질랜드 산업혁신노동부에(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and Empoyment) 따르면 건설·건축시장은 2016년 시장 대비 2020년까지 약 23% 성장할 것으로 예측함.
- 건설·건축 수요는 주택, 공공 인프라, 사무용 건물 모두 수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며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건설 시장 규모가 2020년까지 25억 뉴질랜드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ㅇ 건설·건축 관련 중장비 수요 증가
- 2016년 대비 2017년 건설 중장비 수입은 35% 증가했으며 앞으로 더욱 증가할 전망
- 향후 대규모 주택 건설 및 인프라 구축 계획이 잡혀 있으므로 화물차, 건설 중장비 등의 수요는 지속 증가 예상
- 국내 건설 중장비의 대뉴질랜드 수출은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브랜드가 뉴질랜드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음.
- 관련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중국산 제품이 높은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어 건설 중장비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밝힘.
뉴질랜드 건설 중장비 수입 현황(HS Code 8429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 총계
167,366 100 185,212 100 249,997 100 1 일본 82,840 49.5 88,946 48.02 121,676 48.67 2 한국 24,120 14.41 23,951 12.93 34,517 13.81 3 미국 22,971 13.73 27,725 14.97 30,677 12.27 4 독일 6,009 3.59 7,777 4.2 15,198 6.08 5 중국 7,193 4.3 5,188 2.8 12,272 4.91 6 영국 3,077 1.84 5,066 2.74 7,208 2.88 7 스웨덴 3,854 2.3 10,766 5.81 6,390 2.56 8 호주 6,024 3.6 5,712 3.08 5,457 2.18 9 이탈리아 1,194 0.71 1,628 0.88 3,884 1.55 10 체코 1,334 0.8 1,692 0.91 2,073 0.83 주: 1) 2017년 9월 누적, 동기대비 기준, 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시사점
ㅇ 한국산 건설 중장비는 대기업 제품 위주로 시장 진출해 있으며 점차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음.
- 단, 중장비 부착용품 등 관련 제품은 일본, 유럽, 중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가 높은 편임. 초기 시장 진입 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
- 다수의 프로젝트가 예정돼 있으므로 관련 기업 간 컨소시엄을 구축해 프로젝트에 참여, 인지도 및 시장점유율을 넓히는 윈-윈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일례로 1억7000만 뉴질랜드 달러 규모의 터널공사에 일본건설기업이 프로젝트 멤버로 참여해 최근 완공했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소비자 소셜미디어 사용 실태 (0) 2017.11.28 캄보디아 건설시장 광폭 성장 중 (0) 2017.11.28 칠레 대선1차 및 총선 결과에 대한 현지 반응 (0) 2017.11.27 [전문가 기고] 중미 인프라·플랜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제언 (0) 2017.11.27 중국 전국 통관 일체화 실무 FAQ (0) 2017.11.27 [전문가 기고] 제2의 실리콘 밸리, 텍사스 오스틴 (0) 2017.11.27 독일, 프랑크푸르트 3D 프린팅 전시회 스케치 (0) 201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