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일본 자동차용 선바이저 시장동향
    World Wide 2017. 11. 28. 21:57
    반응형
    [유망] 일본 자동차용 선바이저 시장동향
    2017-11-28 임지훈 일본 나고야무역관

    - 전기자동차 등 동력기관과 무관한 내장재로 향후 수요는 지속 -

    - 일정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갖추면 납품가능성 충분 -

     



    □ 상품명 및 선정사유


       상품명: 차량용 선바이저(Sun Visor, HS Code 8708.99)


      ㅇ 선정사유

        - 기존의 가솔린자동차에서 점점 친환경자동차로 주류차량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엔진을 포함 기존 구동부품이 대폭 감소될 전망이지만 동력기관과 상관없는 내장부품의 대부분은 유지될 것으로 판단

        -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선바이저 제품은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을 인정받아 일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음. 가격경쟁력에서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납품가능성이 있다고 보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일본의 외국산 선바이저의 수입시장 규모는 2016년 9억3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96% 증가했음.

     

    일본 외국산 선바이저 수입현황

    (단위: US$ 백만, %)

    2014년

    2015년

    2016년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증감률

    872.69

    7.29

    877.91

    0.60

    939.02

    6.96

    자료원: Wolrd Trade Atlas


      ㅇ 일본의 소비자는 세금 및 경비 등 유지비용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어, 소형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연비성능이 뛰어난 자동차가 인기를 끌고 있음.

     

      ㅇ 자동차부품 생산금액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 연속 6조 엔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동차부품은 차량판매와 연계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ㅇ 자동차 선바이저의 경우 형태 및 기능은 자동차 제조사 및 차종에 따른 큰 차이는 없고 기술적인 면에서도 제조사에 의한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음.


      ㅇ 일반적으로 천장, 트림류와 동일한 PP수지(폴리프로필렌) 및 PUR수지(폴리우레탄)를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성능 향상을 위해 단일 소재를 사용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동향


      ㅇ 주요 수입국은 중국으로서 일본 시장에는 중산산 제품의 수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추가로 멕시코 수입도 전년대비 284.71% 증가하는 등 해외제품의 수입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일본의 선바이저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70899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

    전 세계

    872.69

    877.91

    939.02

    100

    100

    100

    6.96

    1

    중국

    345.62

    353.27

    383.87

    39.60

    40.24

    40.88

    8.66

    2

    태국

    102,39

    109,87

    110,91

    11.73

    12.52

    11.81

    0.95

    3

    한국

    87,97

    71,14

    77,85

    10.08

    8.10

    8.29

    9.43

    4

    미국

    83,74

    75,87

    68,72

    9.60

    8.64

    7.32

    -9.42

    5

    독일

    48,97

    70,58

    61,56

    5.61

    8.04

    6.56

    -12.79

    6

    멕시코

    5.22

    12,36

    47,55

    0.60

    1.41

    5.06

    284.71

    7

    인도네시아

    22,86

    22,33

    31,58

    2.62

    2.54

    3.36

    41.40

    8

    필리핀

    34,05

    31,50

    24,48

    3.90

    3.59

    2.61

    -22.29

    9

    대만

    20,95

    20,13

    21,09

    2.40

    2.29

    2.25

    4.79

    10

    체코

    17,79

    17,96

    14,15

    2.04

    2.05

    1.51

    -21.2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2016년 기준 일본 시장의 한국산 선바이저 수입규모는 7785만 달러이며, 전체 수입의 약 8%를 차지하며 순위로는 태국에 이어 3위에 해당함.

        수입액 금액 기준으로 살펴보면 2016년은 전년대비 9.43% 증가한 수치임.

     

    □ 주요 경쟁기업 및 경쟁동향


      ㅇ 주요 경쟁제품 현황

        - 일본 시장 내 자동차 선바이저 시장의 점유율은 교와산업이 시장의 86.4%의 점유율을 보유하며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음. 기타 시게루공업, 카사이공업, 델타공업이 각 6.6%, 4.7%, 1.7%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사실상 교와산업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에 교와산업에 납품을 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진출방법임.


    일본 선바이저 시장 시장점유율

    제조업체명

    시장점유율(%)

    원산지(수출국)

    교와산업

    86.4

    일본

    시게루공업

    6.6

    일본

    카사이공업

    4.7

    일본

    델타공업

    1.7

    일본

    하야시테렘프

    0.5

    일본

    안톨린

    0.1

    스페인

    자료원: 자동차부품200품목 생산유통조사, IRC

     

    주요 기업의 자동차 제조사 대상 선바이저 납품현황

    (단위: 개)

    기업명

    도요타

    닛산

    혼다

    미쓰비시

    스즈키

    다이하쓰

    마쓰다

    스바루

    총 합계

    교와산업

    259

    25

    41

    64

    60

    59

    42

    13

    563

    카사이공업

     

    104

    11

    4

    2

    1

    2

     

    124

    시게루공업

    2

     

     

     

     

     

     

    40

    42

    델타공업

     

    2

     

     

     

     

    9

     

    11

    하야시테렘프

    1

     

    5

     

     

     

     

     

    6

    안톨린

     

     

     

     

     

     

    1

     

    1

    총합계

    264

    131

    57

    68

    62

    60

    54

    53

    749

    자료원: 마크라인즈(2008~2016 기업별 차종별 선바이저 납품현황, 모델체인지포함)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관세율: HS Code 870899 기준 무세


      ㅇ 규제내용: 특별한 규제사항 없음.

         

    □ 시사점


      ㅇ 바이어 특성 및 동향

        - 일본 바이어의 특성상 가격경쟁력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제품의 품질이 우선시되며 불량품이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중요함.

       - 엔화가치 하락이 지속되고 있어 한국으로부터의 조달 필요성이 낮아지고 있으나, 완성차 또는 1차 부품 제조사의 수요 증가에 따른 해외 발주의 가능성은 있음.

        또한 연비에 제품의 경량화 및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부품의 경우 바이어가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함.

         

      ㅇ 현지 바이어 구매 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자사의 주력제품을 확실하게 어필할 필요가 있으며, 해당 부품을 도입시 바이어에게는 어떤 이점이 있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 기존의 해외기업과 거래 경험, 특히 일본 바이어와의 거래경험은 도움이 되며 일본 내가 아니더라도 해외거점이 있을 시에는 이것을 적극적으로 어필할 필요가 있음.

     

      ㅇ 일본의 완성차 제조사와 거래

        일본 완성차메이커들은 현지조달 강화를 위해 주요 부품을 제외한 많은 부분을 해외거점에 조달권 부여하고 있어 일본 국내를 포함 해외 거점에도 적극적인 영업활동이 필요함.

        도요타 자동차는 국내생산 차종에 대해 해외부품 채용에 소극적이므로 해외거점 위주로 영업을 전개하는 것이 효율적임.

        최근 미쓰비시 자동차가 르노 닛산 그룹에 편입, 닛산과 공동으로 기업 평가 및 조달을 진행할 예정으로 경쟁력 있는 기업은 비즈니스 기회 확대가 기대됨.

        혼다는 주요 차종을 '글로벌 전략 자동차'로 지정, 부품 공통화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R&D센터 주도로 기획 및 서플라이 체인을구성(본사로부터 해외거점에 부품공급기업 제안 후 문제가 없으면 해외거점에서 가격협상 및 조달 진행)

        소형 자동차 제조사는 비용절감을 위해 기능보다는 가격경쟁력 있는 기업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ㅇ 현지 전시회 참가를 통한 관심 바이어 발굴


    자동차 관련 전시회

    전시회명

    NAGOYA2017 AUTOMOTIVE ENGINEERING EXPOSITION

    (自動車技術展: 人とくるまのテクノロジ展 2017 名古屋)

    전시품목

    자동차 부품, 자동차용 재료, 시험·계측기기, CAD/CAM 등 정보기기

    개최국가 및 도시(개최주기)

    일본, 나고야(매년)

    규모(참가업체 수)

    2만㎡(320개사)

    개최기간(2017년)

    2017년 6월 28~30일

    웹사이트

    http://expo-nagoya.jsae.or.jp/

     

    전시회명

    1st AUTOMOTIVE WORLD NAGOYA 2018

    (第1回 名古屋オトモティブ ワルド)

    전시품목

    자동차부품, 가공기술, 표면처리기술, 가공기·공작기기, 금형 등

    개최국가 및 도시(개최주기)

    일본, 나고야(매년)

    규모(참가업체 수)

    2만㎡(270개사 예정)

    개최기간(2018년)

    2018년 9월 5~7일

    웹사이트

    http://www.automotiveworld-nagoya.jp/About/Outline/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