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러시아 이차전지시장이 유망한 이유
    World Wide 2017. 12. 1. 17:19
    반응형
    러시아 이차전지시장이 유망한 이유
    2017-12-01 최진형 러시아 모스크바무역관

    러시아의 자동차 배터리 수입국 중 한국이 2위 -

    현지 생산이 증가하면서 러시아도 배터리 수출국으로 진입 -



     

     시장현황

     

      ㅇ 러시아는 지난 3년간의 경기침체를 극복하면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시장도 성장세 회복

        - 2017년 신규 자동차 판매량은 150만 대를 기록하면서 2016년 대비 5.7% 증가 전망

        - BMI에 따르면, 2018년 러시아 자동차시장은 2017년 대비 11.1% 성장 전망

     

    2015~2021년 러시아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전망  

    external_image

     

    구분

    2015

    2016

    2017년*

    2018*

    2019*

    2020년*

    2021년*

    자동차 판매량(천 대)

    1,492

    1,317

    1,383

    1,535

    1,734

    1,815

    1,898

    상용 경차 판매량(천 대)

    108.8

    108.5

    122.6

    137.3

    150.5

    164.4

    179.7

    주*: 2017~2021년 자료는 예상치

    자료원: AEB, BMI

     

      ㅇ 러시아 자동차 및 부품시장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 러시아 자원개발산업 집중으로 중장비 수송기계 발달은 지속 유지될 것

        - 러시아 자동차 소비진작정책(자동차 대출금 지원 등)으로 2018년까지 자동차 소비는 지속 증가 추세

        · First Car, Family Car, It’s Business, Russian Tractor 등 수송기계 소비진작 프로그램 운영 중

        - 러시아의 자동차 산업 발전 목표 중 하나는 자동차 수출 확대라는 점에서 현지 생산성은 정부 지원 하에 지속 증가

        · 러시아 정부는 Strategy 2025라는 4차 산업혁명 기술발전 프로그램으로 자동차 관련 투자기업들의 인센티브를 확대 중이며, SICs(Special Investment Contracts) 절차를 통해 자동차 현지 생산 투자 진작에 노력 경주 중

        - 2017 1~7월 자동차 생산량은 2016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ㅇ 러시아 수송기계 배터리 시장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 러시아 수송기계 배터리 생산은 2014년부터 본격화되면서 지난 3년간 배터리 수입은 점차 감소추세

        - 2016년 기준 러시아 자동차 부품시장에서의 배터리 소비 규모는 1100만 개이며, 생산량은 850만 개로 2015년 대비 11% 증가

        - 러시아 프라이머리 시장(1차 시장)의 배터리 거래량은 200만 개이며, 이차전지 거래량은 900만 개 정도이고, 이 중 1/3이 외국산임.

        - 애프터마켓 배터리 주요 수요처는 모스크바시(86만 개)와 모스크바주(63만 개)에 집중돼 있음. Krasnodar Krai(40만 개), 상트페테르부르크, Rostov, Sverdlovsk, 타타르스탄공화국 등(30만 개)도 주요 수요처로 알려져 있음.

     

      ㅇ 2017년 기준 러시아 수송기계 배터리 시장 전망은 아래와 같음.

        - Autostat에 따르면, 2017년 러시아 수송기계 배터리 수요량(세컨더리 시장)은 1080만 개일 것

        - 2017년 배터리 수요량 중 일반 자동차 배터리는 770만 개로 약 71%를 차지

        - LCV(상용차) 배터리 수요는 120만 개이며, 버스 배터리는 17만5000개일 것

        - 2017년 기준 배터리 수요는 소폭 감소할 전망. 감소 원인은 가격상승이며, 가격상승에 따라 배터리 교체 시기를 5년 이상으로 보고 있는 소비자 비중이 전체 소비자의 15%임.

     

     수출입 현황

     

      ㅇ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수송기계 배터리의 50%는 수출되는 것으로 조사

        - HS Code 8507류 기준, 러시아의 연간 배터리 수출 규모는 7670만 달러이며, 피스톤식 엔진 축전지가 60% 이상 비중 차지

        - 주요 수출국은 CIS 역내 또는 FTA 체결국들로, 카자흐스탄이 전체 수출의 24%를 차지하고 있음. 벨라루스(19%), 베트남(FTA 체결지, 16%), 타지키스탄(6%), 우크라이나(5%) 등임.

     

    러시아 배터리 수출 현황(HS Code 8507)

    (단위달러, %)

    HS Code

    종류

    2016. 8.

    2017. 8.

    증감률

    합계

    ('16.8~'17.8.)

    비중

    850710

    피스톤식 엔진 시동용 연산 축전지

    4,400,000

    3,800,000

    -13

    46,500,000

    60.6

    850720

    그 밖의 연산 축전지

    464,000

    400,000

    -14

    16,300,000

    21.2

    850730

    니켈-카드뮴 축전지

    104,000

    651,000

    +526

    6,200,000

    8.1

    850740

    니켈-철 축전지

    116,000

    187,000

    +61

    2,200,000

    2.8

    850750

    니켈-수소합금 축전지

    50,000

    41,000

    -16

    485,000

    0.6

    850760

    리튬이온 축전지

    76,000

    418,000

    +454

    2,100,000

    2.8

    850780

    그 밖의 축전지

    185,000

    116,000

    -38

    1,200,000

    1.6

    850790

    축전지 부분품

    2,500

    8,400

    +241

    1,800,000

    2.3

    -

    총계 

    5,400,000

    5,620,000

    +5.5

    76,790,000

    100

    자료원http://ru-stat.com러시아 연방 관세청

     

    러시아 배터리 국가별 수출현황(2016.8~2017.8.)

    순위

    국가명

    수출액(백만 달러)

    비중(%)

    1

    카자흐스탄

    18.7

    24.4

    2

    벨라루스

    15

    19.5

    3

    베트남

    12.6

    16.4

    4

    타지키스탄

    4.7

    6.1

    5

    우크라이나

    3.9

    5.1

    6

    키르키스스탄

    3

    3.9

    7

    인도

    2.8

    3.6

    8

    아제르바이잔

    2.1

    2.7

    9

    아르메니아

    1.7

    2.3

    10

    세르비아

    1.7

    2.2

    자료원: http://ru-stat.com, 러시아 연방 관세청

     

      ㅇ 러시아의 배터리 수입규모는 연 6억 달러 이상으로 한국은 주요 수입국 중 2위

        - 러시아가 주로 수입 중인 배터리 종류는 피스톤식 엔진 축전지(45% 비중)임. 기타 연산 축전지로 분류되는 배터리 비중도 높은 편(32.5%)

        - 러시아의 주요 배터리 수입국은 중국(25.8% 비중), 한국(10%), 독일(9.5%), 체코(9.2%), 폴란드(4.6%) 등임.

        - 2016년 8월~2017년 8월 대러시아 한국 배터리(축전지) 수출은 5940만 달러로, 러시아 전체 배터리 수입의 10% 비중 차지

     

    2014~2016년 러시아 배터리 수입 현황(HS Code 8507 기준)

    (단위천 달러, %)

    국가명

    2014

    2015

    2016

    2016년 비중

    증감률('16/'15)

    전체

    608,210

    386,678

    494,227

    100

    28

    중국

    124,453

    97,047

    127,679

    25.8

    32

    한국

    70,384

    39,199

    49,262

    10

    26

    독일

    74,211

    22,141

    48,003

    9.7

    117

    체코

    46,092

    20,756

    41,432

    8.4

    100

    카자흐스탄

    27,004

    14,125

    25,397

    5.1

    80

    폴란드

    24,128

    23,697

    23,331

    4.7

    -2

    베트남

    13,045

    15,570

    19,631

    4

    26

    벨라루스

    10,836

    5,675

    15,362

    3.1

    171

    슬로베니아

    10,914

    7,517

    13,859

    2.8

    84

    프랑스

    15,983

    8,798

    12,434

    2.5

    41

    자료원http://www.trademap.org

     

    러시아 배터리 수입 현황(HS Code 8507 기준) 

                            (단위: 달러, %)

    HS Code

    종류

    2016. 8.

    2017. 8.

    증감률

    합계('16.8~'17.8.)

    비중

    850710

    피스톤식 엔진시동용

    연산 축전지

    21,200,000

    29,600,000

    +40

    271,000,000

    45.1

    850720

    그 밖의 연산 축전지

    14,200,000

    18,800,000

    +33

    195,000,000

    32.5

    850730

    니켈-카드뮴 축전지

    794,000

    875,000

    +10

    10,000,000

    1,7

    850740

    니켈-철 축전지

    6,690

    15,000

    + 125

    203,000

    0

    850750

    니켈-수소합금 축전지

    1,400,000

    1,300,000

    - 9

    12,700,000

    2.1

    850760

    리튬이온 축전지

    6,500,000

    5,800,000

    - 11

    83,400,000

    13.9

    850780

    그 밖의 축전지

    1,100,000

    1,300,000

    +17

    12,200,000

    2

    850790

    축전지 부분품

    1,700,000

    1,500,000

    - 13

    16,800,000

    2.8

    총계

     

    46,900,000

    59,200,000

    +26.2

    60,130,000

    100

    자료원: http://ru-stat.com, 러시아 연방 관세청

       

    2016~2017년 러시아 배터리 수입국 현황

    (단위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합계(2016. 8~2017. 8.)

    비중

    1

    중국

    155

    25.8

    2

    한국

    59.4

    9.9

    3

    독일

    57.3

    9.5

    4

    체코

    55.2

    9.2

    5

    폴란드

    27.7

    4.6

    6

    카자흐스탄

    26

    4.3

    7

    베트남

    25

    4.2

    8

    슬로베니아

    20.1

    3.3

    9

    벨라루스

    18.3

    3

    10

    터키

    15.8

    2.6

    자료원: http://ru-stat.com, 러시아 연방 관세청

     

     러시아 배터리 상품정보

     

      ㅇ 러시아 배터리 시장에서 활발히 유통되고 있는 외국산 품목들은 독일, 미국, 터키, 한국 등 수입품들임.

        - 대표적으로 Varta(독일), Bosch(독일), Exide(미국), Delkor(한국), Panasonic(일본) 등임.

        - 러시아에 유통되는 독일 배터리 가격은 4500~8000루블(77~137달러)이며, 일본 제품은 5000~8000루블(86~137달러), 한국 제품은 5000~6500루블(86~112달러)임.

      

    외국 배터리 제조업체 현황

    제조사명

    제품사진

    제조국

    매출액

    종업원 수

    1

    Varta

    http://img.uavto.com.ua/photo/13/99/big/auto-Lugansk-1350003099_1.jpg

    독일

    377억 달러

    13만 

    2

    Bosch

    http://fast.ulmart.ru/p/ym/52/5210/521030.jpg

    독일

    870억 달러

    3만9000명

    (러시아 내 1700 )

    3

    Mutlu

    http://www.avtoakkumulator.ru/files/images/mutlu/M55S.jpg

    터키

    -

    -

    4

    Exide

    http://www.azzod.in.ua/upload/iblock/33c/33cb841ab371430523fd75e3b2b50d5e.jpeg

    미국

    29억 달러

    9000

    5

    TAB

    http://www.avtotok.com.ua/image/cache/data/foto%20akb/TAB_!!/60%20Ah12V%20TAB%20Polar%20Blue%20(0)%20Euro%20(TPB60-0)%D0%B0-800x800.jpg

    슬로베니아

    -

    -

    6

    Delkor

    external_image

    대한민국

    3억 달러

    465

    7

    GS Yuasa

    https://sporthit.ru/img/110935/akkumulyator_yuasa_y60_n24l_a_d1_image.jpg

    일본

    33억 달러

    14만7000

    8

    Panasonic

    http://xn----7sbbih8aojgedu3a.xn--p1ai/upload/medialibrary/14f/14fe6551ae61eea501368864c33832c5.jpg

    일본

    680억 달러

    25만 

    9

    Westa

    http://images.ua.prom.st/10440611_w640_h640_55.jpg

    우크라이나

    -

    -

    10

    Banner

    http://perova.net/image/cache/data/catalogs/003-akkumulyatory/0030529_554x554_0.jpg

    오스트리아

    3억 달러

    1300

    자료원: http://www.battery-industry.ru

     

      ㅇ 러시아 현지 생산 배터리는 Akom, Zver, AkTeh, Istok, Tyumen BatBear 등임.

        - Istok와 Kursk는 쿠르스크에서 생산되는 배터리로, 1944년부터 생산되면서 CIS 지역 내 최대 배터리 제조사로 알려짐.

        - Zver사(스비르스크 소재)와 TN Titan사 등은 90년대 설립된 기업들로, 러시아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음.

        - AkTeh는 러시아 최초 EFB 배터리 제조사이며 수출도 활발한 편임.

        - 러시아 현지산 배터리 유통가격은 3000~5000루블(51~86달러) 수준임.

     

    러시아 배터리 제조업체 현황

    연번

    제조사명

    제품사진

    본사 위치

    설명

    종업원 수

    1

    AKOM

    http://www.autopusk.by/wp-content/uploads/2017/07/akom-60-590-1.jpg

    톨야티

    규격용량 55~190AH의 적극성·역극성 배터리 제조

    -

    2

    Zver

    https://static-eu.insales.ru/images/products/1/4974/81646446/large_zver_60.jpg

    스비르스크

    1999년 이후로 공정 대규모 현대화를 필두로, 2017년 11월 현재 러시아 배터리 산업에서 가장 활발히 발전하는 제조업체

    500

    3

    AkTeh

    https://male-hobby.ru/wp-content/uploads/2017/01/reyting-akkumulatorov4.jpg

    스비르스크

    러시아 최초로 EFB 배터리 제조 및 수출

    500

    4

    ISTOK

    https://admtyres.kz/upload/iblock/b43/b43ca62c1f6b3a0c16c0d00acf0fca73.jpg

    쿠르스크

    1944년 설립된 Kursk Plant 'Accumulator'를 이은 러시아 및 CIS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

    5

    Tyumen BatBEAR

    http://autolux63.ru/wp-content/uploads/2017/03/59656b134e20109b4690d708416e7a99-600x600.jpg

    튜멘

    스타터 배터리의 양극 집전장치 제조를 위한 'PUNCH' 기술을 최초로 도입한 제조업체 중 하나

    -

    6

    Bravo

    http://avtoshop23.com/image/cache/data/product/BRAVO%206CT%2060%20(%D0%9F.%D0%9F.)-600x600.jpg

    톨야티

    AKOM 브랜드  하나이며표준옵션 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

    -

    7

    TN Titan

    http://raufov.ru/upload/iblock/265/2653420178943ce0ca5825a9ae9cfb74.jpeg

    보르

    1999년부터 니즈니 노브고로드 외곽의 보르에서Exide사와 함께 Tubor사의 스타터 배터리 생산

    -

    8

    Tubor

    https://chel.express-shina.ru/images/model/Avtomobiljnyiy_akkumulyator/TUBOR/SYNERGY/SYNERGY.jpg

    보르

    -

    -

    9

    Kursk

    http://cdn.e96.ru/assets/images/catalog/avto/accumulators/akkumuljatory/809523/_3760728.jpg

    쿠르스크

    Kursk Battery Factory LLC 소속

    -

    10

    Forse

    https://a.d-cd.net/134166as-960.jpg

    -

    BatBaza 브랜드 배터리 판매업체

    -

    자료원: http://www.battery-industry.ru

     

     시사점

     

      ㅇ Delkor 제품과 같이 한국산이 러시아 시장에 인지도가 높은 이유는 가격대비 내구성이 좋기 때문임.

        - 독일, 일본 제품 대비 한국산은 10~20%의 가격경쟁력을 보유 중인 것으로 조사

     

      ㅇ 러시아 지역별로 수입 배터리 선호도가 매우 다양한 편임. 그러나 유럽 지향적인 서부 러시아에서도 최근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

        -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같이 러시아 서부지역은 독일, 오스트리아, 미국 등 서구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임. 반면, 극동지역은 한국·일본·중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편임.

     

      ㅇ 러시아의 제조업 육성정책으로 현지생산 배터리 비중이 높아질 전망으로, 배터리 생산공장 투자 진출을 크게 고려해야 할 것임.

        - 러시아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현지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시장 또한 자국산 비중이 높아질 것

        - 자원개발 중심인 러시아 산업 구조상 중장비 수송기계 배터리 시장진출도 고려해볼 만한 상황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