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공략백서World Wide 2017. 12. 6. 13:41반응형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공략백서
2017-12-05 이소정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무역관- 수출입에 의존하는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꾸준한 성장세 -
- 지속가능 식품, PL상품, 온라인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시장 팽창 중 -
□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현황
ㅇ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은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네덜란드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자들의 구매력 증가에 기인함.
- 2015년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의 총매출액은 약 35억9000만 유로에 달함.
- 2017년, 2018년 모두 식품 리테일시장은 약 3%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매출액
(단위: 억 유로)
자료원: gfk.nl
ㅇ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 시장은 수출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 2015년 네덜란드는 약 30억3000만 달러의 소비재를 수입했으며, 1/3이 인근국가인 독일과 벨기에로부터 수입됨.
- 비EU국가 중 가장 수입을 많이 하는 국가는 브라질이고 그 다음은 미국임.
- 네덜란드는 작은 토지면적, 비싼 노동력에 따라 대량생산이 강하지 않음. 따라서 대량생산품목의 안정적인 해외공급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곡물, 해산물, 과일주스, 신선제품 등).
- 또한 신선야채, 과일 등의 안정적인 연간공급을 위해 해외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임.
□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의 특징
ㅇ 혼재(Consolidation)가 가장 큰 특징
- 네덜란드 대형 유통업체들은 특화된 소수 수입업자들을 통해서만 외국제품을 수입함.
- 이는 특히 소스, 양념, 조미료, 음료 및 스낵 품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임.
- 편의점 등의 소규모 슈퍼마켓은 구매수량이 적으므로 대체적으로 도매업자들을 통해 제품을 구매함.
- 백화점은 특화된 수입업자를 통하거나 직접 제조사로부터 수입함.
ㅇ 상위 2개 리테일 업체가 마켓 50%을 점유하고 있음.
- 네덜란드 최대 유통사인 A-hold 계열의 Albert Heijn이 네덜란드 식품 유통시장의 35%를 점유하고 있음.
- 독일 저가형 슈퍼마켓 Aldi와 Lidl도 꾸준히 상승 중임.
네덜란드 식품 유통시장 점유율
자료원: distrifood.nl
ㅇ Full-service 슈퍼마켓 체인이 다수
- 네덜란드 약 80% 식품 리테일 업체는 약 500~1500㎡ 규모의 Full-service 슈퍼마켓 체인으로 주로 거주지에 위치하고 있음.
- 이는 집 근처 슈퍼마켓을 선호하는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것임.
- 그 밖의 20%는 대부분 편의점식 슈퍼마켓으로 오피스빌딩, 시내, 고속도로 및 기차, 메트로 역에 위치함.
-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춰 최근 편의점식 슈퍼마켓이 오피스, 상가, 기차, 메트로역 위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
□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트렌드
ㅇ 지속가능 식품(Sustainable Food Product) 수요 증가
- 네덜란드 유통업체들은 지난 10년 동안 지속가능한 식품 유통을 꾸준히 증가시켜 왔음.
- 네덜란드 정부는 연간 'Monitor Duurzaam Voedsel'이라는 리포트를 통해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식품 소비 동향을 발표함.
- 지속가능식품은 네덜란드 식품유통 및 식품서비스 마켓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침.
- 2015년 3억 유로 매출액을 기록, 시장 점유 역시 증가하는 추세임.
ㅇ 건강, 웰빙 식품에 대한 의식 증가
- 네덜란드 소비자들은 음식이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점점 더 주목하고 있음.
- 2015년 기준 유기농제품의 판매는 약 10% 이상 성장함.
- 따라서 건강스낵, 견과류, 슈퍼푸드, 해산물 등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 미디어, SNS 등 역시 소비자들의 이러한 인식 변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음.
ㅇ PL(Private Label)제품 증가
- PL제품의 성장은 대부분의 유럽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스페인과, 영국이 대표적임.
- 네덜란드 PL제품시장은 약 29%를 차지하고 있음.
- 네덜란드 PL제품은 주로 가격경쟁력 및 부가가치 경쟁력의 두 가지 방향으로 개발됨.
·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 매장 가운데 Albert Heijn만이 유일하게 3가지 섹터의 PL라인 유통 가능함(good – better – best).
· 2016년 기준 Albert Heijn의 PL제품은 약 6154개에 달함.
- 식품 유통업체들은 PL제품이 이윤을 많이 창출함에 따라 더 많은 영역으로도 넓혀가는 추세임(웰빙, 건강식품, 제빵, 화장품 등).
- PL 관련 가장 큰 전시회(PLMA)가 매년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고 있음.
· 2018년 5월 29~30일
ㅇ 온라인쇼핑 증가
- 2015년 기준 온라인 쇼핑이 식품 리테일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에 불과하지만, 전문가들은 매우 성장 잠재력 높은 시장으로 평가하고 있음.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쇼핑 역시 지난 5년간 증가하는 추세임.
- 온라인 쇼핑을 주로 이용하는 소비자 연령층은 18~44세로 돈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주로 온라인을 이용함.
- 빠른 배송(익일배송)과 믿을만한 퀄리티로 온라인쇼핑 소비자들의 재구매율이 높은 편임.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 업체
업체명
상세 내용
Albert Heijn(알버트하인)
- 네덜란드 최대 규모 리테일 슈퍼마켓
- 네덜란드 내 시장점유율 약 35%이며 Albert Heijn, AH XL(대형매장), AH To Go(편의점), Albert.nl(온라인) 형태로 운영됨.
- 네덜란드 내 약 850개 매장 보유
- 홈페이지: www.ah.nl
Jumbo(윰보)
- 10년 새 가장 큰 성장을 이루고 있는 네덜란드 대표 슈퍼마켓(2007년 4.4% → 2017년 18.5%)
- 네덜란드 내 약 540개 매장 보유
- 홈페이지: www.jumbo.com
Lidl(리들)
- 저가형 할인마켓으로 네덜란드 내 약 400개 매장 보유하고 있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2007년 4% → 2017년 10.3%)
- 네덜란드 소비자들에게 '퀄리티 우수한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한다고 인식됨
- 홈페이지: www.lidl.nl
Aldi(알디)
- 독일계 대표적 저가형 할인마켓. 네덜란드 내 약 500개 매장 보유
- 홈페이지: www.aldi.com
Dirk(디열크)
- 1942년에 오픈한 네덜란드 대표적 할인마켓으로 네덜란드 전체 약 110개 매장 보유함
- 홈페이지: https://www.dirk.nl/
Amazing Oriental
(어메이징 오리엔탈)
- 네덜란드 대형 아시안 식품 유통마켓으로 네덜란드에 20개 매장 보유
- 한국 식품홍보전, 샘플대리상담회 등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에서 추진하는 각종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해당 무역관 통해 한국 식품, 화장품 등 소비재 업체 다수 소개받고 있음
- 홈페이지: https://amazingoriental.com/
Eko Plaza(에코플라자)
- 네덜란드 유기농 마켓. 90% 이상의 제품이 유기농제품으로, Eko label 획득한 슈퍼마켓 체인
- 네덜란드 내 약 70개 매장 보유
- 가격 경쟁력 상대적으로 낮은편이며 유기농 마켓이 제품군의 90% 이상임. 슈퍼푸드 등 많이 취급
- 홈페이지: https://www.ekoplaza.nl
Marqt(마크트)
- 네덜란드 내 프리미엄 유기농 마켓으로 네덜란드 내 약 13개 매장 보유
-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건강 웰빙 제품이 많음
- 암스테르담 김치 스타트업의 Oh Na Mi Kimchi가 판매되고 있음
- 홈페이지: http://www.marqt.com
Shilla(신라)
-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한국,일본 식재료 취급하는 슈퍼마켓. 2017년 2호점 오픈함
- 현재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과 다양한 사업 협업하고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한국 식품을 취급하고 있음
- 홈페이지: https://www.gelderlandplein.nl/en/shopping-mall/shops/shilla/
Interburgo(인터불고)
- 한국식품 디스트리뷰터로 로테르담에 슈퍼마켓도 함께 운영하고 있음
- 홈페이지: http://www.interburgo.nl/
자료원: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종합
□ 한국 식품 네덜란드 리테일 매장 진출전략
ㅇ 로컬파트너와 협력할 것
- 네덜란드 대형 리테일 마켓들은 브랜드 인지도가 없는 제품에 대해서 직접 구매를 진행하는 경우 거의 드묾.
- 대형 리테일 마켓들은 주로 유통을 진행하는 소수의 채널을 두고, 대부분 이들 업자를 통해 혼재(Consolidation)를 통해 구매 진행
ㅇ 건강, 웰빙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 웰빙 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견과류, 슈퍼푸드, 과일주스, 논알코올음료, 말린 과일 등의 품목이 유망함.
- 다만 가금류, GMO 제품, 정제 밀가루 등의 전망은 밝지 않음.
ㅇ 그나마 진입장벽 낮은 아시안 식품 리테일 업체 공략도 필요
- 한국 식품의 인지도가 아직까지는 높지 않은 편이므로 진입장벽이 그나마 낮은 아시안 리테일 업체를 공략하는 것도 필요함.
- 소수 프리미엄 매장 외 다수 아시안 식품 취급 업체들은 주요 소비자층의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 따라서 아시안 식품 취급 리테일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을 무엇보다 중시하는 경향 보임.
- 특이하거나 고급 패키징으로 인해 단가가 높은 제품의 경우 아시안 리테일 업체에는 크게 어필되지 않음.
· 주류 리테일 업체에서는 프리미엄 라인으로 고급 패키징 등 어필 가능함, 다만 아시안 식품 리테일 업체에 비해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점을 고려할 것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일본 기지국 시장동향 (0) 2017.12.06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 공항 현대화 프로젝트 (0) 2017.12.06 [유망] 러시아 세제 시장동향 (0) 2017.12.06 [유망] 미국 세라믹타일 시장동향 (0) 2017.12.06 [유망] 중국 정수설비 시장동향 (0) 2017.12.06 [유망] 카자흐스탄 온실 필름 시장동향 (0) 2017.12.06 [전문가 기고] 남아공 골프용품 및 의류시장 두드려 볼만 (0)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