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일본 선박용 안전밸브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2. 6. 16:03반응형
[유망] 일본 선박용 안전밸브 시장동향
2017-12-06 조은진 일본 오사카무역관- 일본의 선박용 안전밸브시장, 수요확대에 따라 안정적 성장 기대 -
- 한국 제품, 소형·경량·유지보수 용이한 것이 강점 -
- 상사를 통한 거래가 일반적, 일본 해사협회 인증 취득 필수 -
□ 상품명 및 HS Code
□ 선정 사유
ㅇ 선박용 안전밸브는 선박의 디젤엔진에 사용되는 부품임. 수입 바이어에 따르면 2018년 3월 말까지는 저속 디젤엔진 수요가 늘어나고, 4월부터는 중속 엔진의 수요가 계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됨.
ㅇ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 제품의 경쟁력은 우수함.
- 2016년에는 일본 조선기업의 수주 감소 및 해외 선박건조 수요 감소 등으로 수입이 소폭 감소했으나, 한국 제품은 품질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우수함.
□ 일본 선박용 안전밸브시장
ㅇ 선박용 안전밸브가 사용되는 중속 디젤엔진 수요는 지속 증가가 기대됨.
- 안전밸브가 들어가는 선박용 디젤엔진의 2017년 상반기(1~6월) 제조금액을 보면 중속(1000PS~1만PS 미만)은 전년동기대비34.1% 증가한 416억 엔, 저속(1만PS 이상)은 3.5% 증가한 557억 엔을 기록
선박용 디젤엔진 제조금액 (2017년1~6월)
디젤엔진 종류
수량(기)
증감률(%)
출력(PS)
증감률(%)
금액(천 엔)
증감률(%)
1000PS 미만
4,485
▲11.4
1,456,553
▲8.3
15,268,482
▲10.7
1000PS이상 1만PS 미만(중속)
964
22.8
2,111,632
32.7
41,622,947
34.1
1만PS 이상(저속)
140
▲6.0
2,931,784
9.2
55,700,685
3.5
합계
5,589
▲6.8
6,499,969
10.8
112,592,114
10.4
자료원: 일본 국토교통성
ㅇ 안전밸브 및 스팀트랩 제조
- 2016년 기준 제조수량은 전년대비 1만6000개 증가한 189만6000개 기록
- 제조금액은 전년대비 1.57% 증가한 180억2600만 엔 기록
안전밸브 및 스팀트랩의 제조 수량 및 금액 추이
구분
제조수량(천 개)
제조금액(백만 엔)
2012년
2,227
18,073
2013년
2,094
17,851
2014년
2,100
18,016
2015년
1,880
17,747
2016년
1,896
18,026
자료원: 일본 경제산업성 생산동태통계연보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ㅇ 전체 수입액 증가세
- 2016년 기준 일본의 HS Code 8481.40 수입액은 8436만 달러이며, 2017년 1~10월은 전년동기대비 38.2% 증가한 9135만 달러
- 2016년 연간 기준 최대 수입국은 전체 수입의 약 23%를 차지하는 미국이며, 그 뒤를 독일, 중국, 스페인이 잇고 있음.
- 최근 일본 벨브 제조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하면서 특히 베트남에서의 수입이 급증해 2017년 1~10월에는 베트남이 미국을 누르고 최대 수입국이 됨.
ㅇ 한국은 2016년 기준 일본의 7대 수입국
- 2016년 일본의 대한 수입은 전년대비 약 8.5% 감소한 250만 달러를 기록
- 베트남 포함 전체 수입은 늘어났으나 대한 수입은 소폭 감소하면서, 수입시장 점유율도 소폭 하락. 2017년 1~10월에도 8.7% 감소
일본의 최근 3년간 선박용 안전밸브 수입추이(HS Code 8481.40)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2014
2015
2016
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
전체
50.23
59.70
84.36
100
100
100
41.31
1
미국
20.72
18.75
19.68
41.26
31.41
23.32
4.95
2
독일
8.68
12.62
14.43
17.29
21.14
17.11
14.39
3
중국
7.77
9.06
11.52
15.47
15.18
13.66
27.15
4
스페인
0.09
3.22
11.22
0.18
5.39
13.3
248.56
5
베트남
0.34
1.45
10.44
0.67
2.42
12.38
622.41
6
영국
2.94
5.00
6.07
5.85
8.38
7.2
21.43
7
한국
2.76
2.73
2.50
5.5
4.57
2.96
▲8.56
8
필리핀
0.00
0.00
1.99
0
0.01
2.35
48,360.81
9
대만
1.04
1.06
1.35
2.08
1.78
1.6
27
10
프랑스
1.64
1.29
1.14
3.27
2.15
1.35
▲11.56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주요 경쟁기업 및 유통구조
ㅇ 현재 일본 해사협회(NK)의 제품 승인을 받은 일본 기업은 8개사가 있음.
- 구체적 기업 현황은 아래 표와 같음.
일본해사협회(NK) 제품 승인을 받은 일본 기업
기업명
매출액(억 엔)
특징
Miyairi Valve
45
- LP가스용 밸브로 국내 점유율 1위
후쿠이제작소
74
- 안전밸브 전문 제조기업
나카키타제작소
195
- IHI, 이마바리조선, 미츠이조선, 사노야스조선 등 조선사와 거래 기업
- KCs(한국산업안전인증센터의 안전인증) 등 해외 인증 다수 보유
니이쿠라공업
N/A
- 조선기자재 1000여 종류를 제조하는 조선기자재 제조기업
Okano Valve
75
- 선박용외에 대형 플랜트(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용 밸브에도 강점
Osaka Zoki Valve
N/A
- Japan Marine United, 오시마조선, 미쓰비시중공업 등과 거래
산쿄제작소
N/A
- 이마바리조선, 오시마조선소, 오노미치조선소, 츠네이시조선소 등과 거래
Toa Valve Engineering
81
- NK, LR, AB, DNV, BV, JG, KR 등의 선급협회승인
자료원: 일본해사협회, 각사 홈페이지
□ 유통구조
ㅇ 상사를 통한 거래
- 바이어인 I사에 따르면, 안전 밸브의 주된 수요처인 디젤엔진 제조사는 무역거래, 해외기업 관리의 번거로움 때문에 직접 거래를 원하지 않으며 상사를 통해 주로 거래한다고함.
- 안전밸브 관련 주요 유통상으로는 NYK Trading, Mitsui물산, Kawasaki Trading, Fuji Sangyo 등이 있음.
□ 관세율, 인증절차 및 제도
ㅇ WTO협정 관세율은 무세이며 통관시 소비세 8%가 부가됨.
수입 관세율
HS code
세율
단위
비고
8481.40
무세
CIF
세관통관 시 (CIF+관세) × 8%의 소비세가 부과됨
주: 1) 한국산의 경우에는 협정관세율이 적용됨, 2) 자료원: 일본 관세협회, '실행관세율표2017'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ㅇ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국제해사전(国際海事展, Sea Japan 2018)
전시품목
조선 기자재 관련 전반 품목
개최국가 및 도시
일본, 도쿄(Tokyo Bigsite)
개최주기
2년에 한 번
개최기간
2018년 4월 11(수)~13일(금)
개최규모
참가기업 수 580개사, 참관객 2만1000명(예상)
웹사이트
http://www.seajapan.ne.jp/
전시회명
BARI-SHIP 2019
전시품목
조선 기가재 등 선박 관련 제품 전반
개최국가 및 도시
일본 에히메현(텍스포트 이마바리)
개최 주기
2년 1회 개최
개최기간(2019년)
미정
개최규모
2017년 기준 330개사, 1만6062명 참관
웹사이트
□ 바이어가 말하는 안전밸브 조달 포인트
ㅇ I사, 일본 수입바이어
- I사는 한국에서 안전밸브를 수입하는 상사임.
- 수입을 위해서는 우선 NK(일본해사협회인증) 보유가 필요함. 일본은 NK이지만, 한국에는 KR이 있고 영국·러시아 등 10개국가에서 선박관련 기자재 인증이 있음.
- 보통 10개국 인증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많지 않지만, 이럴 경우 거래에 있어 우선순위가 올라감. 선박은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고객이 있어 일본에서 수요가 없어도 다른 나라 고객에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임.
- 인증을 위한 제품 및 공장 등록에 각각 50만 엔 정도(3년 갱신) 비용이 소요되지만, 인증 보유 수에 따라 전문성과 글로벌기업으로서의 인식(평가)이 달라짐.
- 한국 제품은 다른 나라 제품보다 소형이면서 무게도 가볍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점이 강점임.
- 한국 조선업계가 어렵다고 하지만 부품 제조기업은 아직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함.
- 디젤엔진 제조기업은 해외기업과 직접 거래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상사를 찾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함.
- Bari Ship등 전문 전시회가 참가해서 제품을 어필하는 것이 효과적임. Bari Ship(에히메현), Sea Japan(요코하마시)이 번갈아서 개최되므로 해마다 참가하는 것이 좋음.
ㅇ 참고사항
- NK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일본해사협회 한국 지사에 신청서와 도면을 제출해 신청
- 이후 감사관이 직접 공장을 방문, 서류 확인(ISO 등), 설비확인, 제품테스트 등을 걸쳐 승인하는 절차를 거침.
□ 시사점
ㅇ 일본의 선박용 밸브가 사용되는 디젤엔진 시장 확대에 따라 선박용 밸브시장도 성장이 기대됨.
- 수요 증가로 수입도 증가하고 있음.
- 그러나 최근 베트남에서의 수입증가 예에서 보듯이 비용 절감을 위한 일본 기업의 해외진출 사례도 있어, 선박용 밸브도 가격 경쟁력 유지가 중요함.
- 선박용 밸브를 수입하는 상사 A사는 KOTRA 오사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2018년 한국의 최저임금 인상이 가격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힘.
ㅇ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인증 획득이 필요
- 일본 인증뿐 아니라 다른 나라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면, 전문성 등에 대한 평가를 높이 받는 데 유리
- 디젤 엔진 제조기업과의 직접 거래보다는 상사를 통한 거래가 일반적이므로, 현지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상사와의 네트워킹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한국 상사도 오래 전부터 일본에 수출해왔기 때문에 수출 실적이 많은 한국 상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가능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원자력 폐쇄에 따른 태양발전시스템 수요 증가 (0) 2017.12.06 [전문가 기고] 이스라엘 기초과학의 중심, 와이즈만 연구소 (0) 2017.12.06 [유망] 일본 스마트농업 관련 기기 시장동향 (0) 2017.12.06 [전문가 기고] 파라과이 내 법인 설립 (0) 2017.12.06 [전문가 기고] 일본에서의 취업 (0) 2017.12.06 [유망] 콜롬비아 의료기기 시장동향 (0) 2017.12.06 [전문가 기고] 과테말라 보건의료시장 제대로 이해하기 (0)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