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독일 차(Tea)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2. 8. 14:24반응형
[유망] 독일 차(Tea) 시장동향
2017-12-08 김유준 독일 뮌헨무역관- 독일 거주 1인당 연간 차 소비량 28리터, 소비 증가 전망 -
- 소비자 건강 관련 차 관심 높아, 시장진입 기회 또한 높아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차류(HS Code 0902)
- HS Code 0902.10: 녹차(발효하지 않고 내용량이 3kg 이하로 포장된 것에 한함)
- HS Code 0902.20: 기타 녹차(발효하지 아니한 것에 한함)
- HS Code 0902.30: 홍차(발효차)와 부분 발효차(내용량이 3kg 이하로 포장된 것에 한함)
- HS Code 0902.40: 기타 홍차(발효차)와 기타 부분 발효차
□ 선정 사유
ㅇ 독일에서 차(Tea)는 와인, 커피와 함께 대표적인 기호 음료이며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할 전망임.
- 2016 년 독일거주 인구 1인당 차(커피, 허브·과일 차를 제외한 홍차, 녹차) 소비량은 약 28리터로 따뜻한 음료 중에서는 커피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음료임.
- 건강과 관련된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성향이 차 트렌드에도 반영되고 있어, 다양한 한국 차 제품의 독일 시장진입 기회가 높아짐.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독일의 2016년 차 총 매출액은 6억5570만 유로임.
- 2016년 독일 거주 인구 1인당 차 소비량은 28리터로 10년 전보다 평균 3리터를 더 마시며,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 독일은 차 원료를 중국, 인도 등의 나라에서 수입해 완제품으로 가공해 수출하는 차 생산국임.
- 2016년 5만7518톤의 차를 수입해 같은 해 EU개국으로 2만5413톤의 차 제품을 수출함.
독일 포장유형별 차 매출액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Nielsen
ㅇ 2016년 독일의 차(Tea) 소비량
- 독일에서 차(Tea)는 와인, 커피와 함께 대표적인 기호품이며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차(홍차+녹차) 소비량은 총 1만9220톤으로 독일 국민 1인당 평균 소비량은 28L임.
- 독일은 홍차의 소비량이 녹차 소비량보다 약 2.5배 많음.
독일 1인당 차(홍차+녹차) 소비량 추이
(단위: 리터)자료원: Deutscher Teeverband(독일 차협회)
2016년 독일 녹차·홍차 소비비율자료원: Deutscher Teeverband(독일 차협회), 독일 연방통계청
ㅇ 유기농 방식으로 재배된 차 선호
- 독일의 소비자들은 먹고 마시는 식 음료품의 생산방식 및 유통환경에 대해 관심이 높음. 이와 관련해 유기농 제품만을 취급하는 판매점에서 다양한 차 제품을 찾아 볼 수 있음.
- 차 제품은 제조 시 많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는 구매 시 재료가 생산된 방식을 중요하게 생각함.
ㅇ 가루녹차(말차) 소비 증가
- 기존의 잎녹차, 티백 제품 외에도 가루 녹차(말차)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요리 또는 베이킹에도 녹차를 사용하는 등 가루녹차 제품이 가판대에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음.
- 가루녹차가 다이어트 및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으며,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각종 매체의 정보로 인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
- 2015년 독일 내 가루녹차 매출액은 276만3000유로였으나, 2016년 매출액은 700만6000유로로 약 2.5배 성장함.
□ 수입동향ㅇ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차류 수입동향(HS Code 0902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9월
2016년 점유율
-
전 세계
236
224
231
151.7
100
1
중국
57
57
57
33.9
24.5
2
인도
51
51
56
33.1
24.2
3
스리랑카
41
35
35
27.4
15.3
4
일본
11
11
14
8.2
6.0
5
인도네시아
7
7
7
6.3
3.3
6
폴란드
5
6
7
5.7
3.0
7
말라위
4
4
6
4.5
2.94
8
아르헨티나
7
5
6
2.9
2.91
9
케냐
4
3
5
2.8
2.4
10
네덜란드
4
5
4
2.2
2.1
20
한국
0.8
1.1
1.2
0.6
0.5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독일의 차(HS Code 0902) 수입규모는 2015년도에 약간 주춤했으나, 2016년 독일의 차 전체 수입액은 2억3100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3.25% 증가했으며, 지속적인 증가 예상
- 해당 시장의 최대 대독일 수출국은 중국과 인도 두 국가로 수입시장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인도의 수출액은 2016년도 중국의 수출액이 약 1.89% 감소한 것과 반해 약 8.39%가량 증가함.
- 우리나라의 대독일 차 수출액은 2016년도 120만 달러로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경쟁동향
- 독일의 차 제품의 대부분(52.9%)은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을 통해 유통됨.
- 독일에서 차 제품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포장형태는 기본적인 티백제품이며, 전통적인 포장형태인 잎차제품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현재 소비자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포장형태는 피라미드 형태의 삼각티백, 리프컵(Leafcup), 마스터백 등이 있음.
주: 왼쪽부터 삼각티백, 리프컵, 마스터백
자료원: just-t.de, ronnefeldt, teegeschwendner
독일 슈퍼마켓 차(Tea) 제품 판매대
자료원: KOTRA 뮌헨 무역관 자체촬영
ㅇ 주요 경쟁기업
- TEEKANNE GmbH & Co.KG
설립연도
1882
본사 위치
Duesseldorf
업종
수입, 제조, 유통
종업원 수
1500명
홈페이지
www.teekanne.de
주요 제품
각종 차 제품(홍차, 녹차, 허브차, 과일차, 가향차 등)
연간 매출액
3억8500만 유로
- Ostfriesische Tee Gesellschaft GmbH & Co. KG
설립연도
1907
본사 위치
Seevetal
업종
수입, 제조, 유통
종업원 수
250명
홈페이지
주요 제품
각종 차 제품(홍차, 녹차, 허브차, 과일차, 가향차 등)
연간 매출액
2억5000만 유로(2015)
- Alois Dallmayr KG
설립연도
1870
본사 위치
Muenchen
업종
수입, 제조, 유통
종업원 수
3900명
홈페이지
주요 제품
고급 식자재, 커피, 차(Tea), 초콜릿, 미식 제품 전반
연간 매출액
9억 유로(2016)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ㅇ 관세율
- 한-EU FTA 협정으로 인해 한국 제품은 독일을 포함 대유럽 수출 시 무관세가 적용됨.
자료원: 유럽의회
ㅇ 수입규제 및 인증
- 차 제품의 경우 수입업체의 확인의무사항(식품규정) 외에 큰 규제사항 없음.
- 대형 수입상 또는 전문 유통 바이어들은 제품 규격이나 라벨링, 포장, 통관, 물류 등의 수입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시장 진출 시 적절한 현지 파트너 발굴 필요.
□ 전문 전시회 및 전문 포럼 정보
전시회명
코테카(COTECA) 2018
전시품목
각종 커피, 차, 코코아 제품
개최국가 및 도시(개최주기)
독일, 함부르크(격년)
규모(참가업체 수)
200개사
개최기간
2018년 10월 10~12일
웹사이트
www.coteca-hamburg.com
전시회명
Anuga
전시품목
각종 식품, 식음료, 미식관련 제품 등
개최국가 및 도시(개최주기)
독일, 쾰른(격년)
규모(참가업체 수)
107개국, 약 7400개사
개최기간
2019년 10월 5~9일
웹사이트
□ 시사점
ㅇ 독일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는 차(Tea)를 마시는 문화가 식음료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어, 안정적인 소비처가 형성돼 있음.
ㅇ 웰빙 트렌드와 맞물려서 차는 건강 음료로 자리잡고 있어 유기농 매장에서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건강 관련된 언론에 노출이 될 경우 그 홍보 파급효과가 큰 소비재 중 하나임.
ㅇ 독일에서 한국의 전통차 또는 녹차 등에 대한 노출빈도가 아직은 높지 않으나, 대규모의 차 생산업체 또는 차 전문매장에서는 많은 양은 아니지만 한국의 차 원료 또는 제품을 취급하고 있음
ㅇ 한국 업체들이 차·음료 관련 전문전시회 등에 참가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독일 및 유럽 차(Tea)시장 진입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의료기기산업에도 부는 AI 바람, 미국 2017 RSNA 참관기 (0) 2017.12.08 인도네시아 섬유봉제산업, 2018년에도 우리 기업이 이끈다 (0) 2017.12.08 핀란드 유압부품 시장동향 (0) 2017.12.08 복잡하고 비싼 라오스 운송과 통관 (0) 2017.12.08 [유망] 일본 플라스틱 식품 보존용기 시장동향 (0) 2017.12.08 [전문가 기고] 인도 지식재산권(상표권) 침해 대응방안 (0) 2017.12.07 [전문가 기고] I love Korea, I Love Bulgaria (0) 201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