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잡하고 비싼 라오스 운송과 통관World Wide 2017. 12. 8. 14:24반응형
복잡하고 비싼 라오스 운송과 통관
2017-12-08 이다함 라오스 비엔티안무역관- 높은 운송비용에 더해 복잡한 통관절차로 애로사항 다대 -
- 태국, 중국 등 경쟁국 대비 높은 물류비용으로 라오스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가격경쟁력 저하 -
□ 내륙국의 한계로 인한 높은 운송·물류 비용 발생
ㅇ 라오스는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5개국에 둘러싸인 내륙국으로 별도의 국제 무역항이 없음.
- 수도 비엔티안을 비롯해 전국 20여 개의 육로 및 수로 국경에 국제출입국관리 사무소와 4개의 국제공항 출입국사무소가 설치돼 있음. 여기에 수출입 물품의 통관을 처리하는 세관도 함께 설치돼 있음.
라오스 국경출입관리사무소 및 국제공항
ㅇ 높은 한국-라오스 간 물류비용
운송 절차 및 흐름도
자료원: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 라오스는 별도의 항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한국에서 라오스로 이동하는 화물은 태국, 베트남 등의 항구를 거쳐야 함.
- 현재 한국에서 라오스로 이동하는 대부분의 화물은 물동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태국의 람차방 항구를 경유하고 있음. 운송기간은 인천·부산항 선적부터 라오스 세관 통과 및 물품 인도까지 12~17일 정도가 소요됨.
- 한국산 제품은 중국, 태국, 베트남 등 라오스와 국경을 접한 국가의 기업들이 육로 운송비용만 부담해야 되는 것과는 달리 해상운임 등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해 가격 경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
태국 람차방 경우 한국-라오스간 운송비용
(단위: US$)
구분
20피트
40피트
해상운임(부산 → 방콕)
500
750
태국 항만(람차방) 비용
220
280
경유통관비(람차방 → 비엔티안)
235
255
내륙운송비(방콕 → 비엔티안)
1,200
1,200
라오스 국경통과비(교량통행료 등)
80
80
보세창고 신고비용
80
80
보세창고 이용비용(10days)
40
40
하역비용
100
100
B/L fee
35
35
Seal fee
5
5
자료원: CJ 대한통운
□ 복잡한 통관절차 및 만연한 급행료 요구
ㅇ 라오스는 별도의 통관본드(Entry Bond)가 없음. 국경통관의 경우 브로커를 통한 약식통관의 물품 하역 후,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정식통관이 혼재함.
- 통관 절차는 다른 나라와 동일하게 수입 신고와 심사에서 시작해 물품 검사, 관세 납부 등의 절차를 거쳐 물품을 반입하는 것으로 수속이 종결됨.
- 현재 전자통관시스템(ASYCUDA)이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통관절차상 준비해야 하는 각종 구비서류와 단계별 허가절차로 인해 통관 지연 현상이 아직도 심각한 수준임.
- 첫 통관의 경우 절차상 준비해야 하는 각종 구비서류와 단계별 허가 절차로 인해 통관 지연 현상이 심각해 7일 정도 소요됨. 정기적인 통관의 경우 1~3일 정도 소요됨.
ㅇ 라오스 정부는 최근 들어 부족한 세수 확보를 위해 우편통관 및 국경 통관에서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있음.
- 전수조사 시 1컨테이너 기준 1000달러 상당의 급행료를 요구해 통관업무를 지연시키는 경우가 빈번함. 응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창고 보관료 등으로 통관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 이외 물품의 신고가격을 인정하지 않고, 가격을 새로 높게 결정하거나 세금을 낮춰주는 대신 뇌물을 요구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
□ 시사점
ㅇ 한국 기업의 제품은 높은 운송비와 복잡한 통관을 라오스 바이어가 직접 부담해야 함. 태국, 중국 등의 제품에 비해 품질이 좋더라도 경쟁에 떨어지고 있음.
- 라오스의 시장 중요도 등을 판단해 라오스로의 제품 수출물량이 많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직접 수출보다는 라오스로의 물류·운송에 능한 태국 등 인근국 바이어에게 딜러십을 판매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음.
ㅇ 또한 일부 운송통관을 직접 진행하는 한국 기업들은 중국, 태국 등 타 국가 진출기업보다 '급행료' 등의 비공식적인 절차를 통해서라도 빠른 통관을 선호해 라오스 세관의 표적이 되기도 함.
- 납기일이 임박해 세관에 끌려 다니지 않도록 시간적 여유를 갖고, 선적한 물품과 대비해 정확한 인보이스를 작성하는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 이외 직접 통관이 자신이 없을 경우 라오스의 전문 통관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임.
라오스 주요 운송회사 및 통관서비스 회사
기업명
CJ Korea Express(Laos Office)
주소
No.406, 4th floor, Kolo Tower II, 23 Singha Road, Nongbone Village, Saysetha Distric, Vientiane, Lao PDR
전화
856-21-455-092
팩스
856-21-455-092
홈페이지
이메일
기업명
SDV Lao Co., Ltd
주소
Ban Thapalanxay, Thadeua Road, Sisattanak District, Vientiane, Lao PDR
전화
856-21-315-262
팩스
856-21-315-263
홈페이지
이메일
기업명
T.E.C. Logistics Company Limited
주소
Thadeua road, No. 171, Unit 11, Ban Beungkhangong, Sisattanak District, Vientiane, Lao PDR
전화
856-21-260-387 / 354-067
팩스
856-21-265-045
홈페이지
이메일
기업명
Lao Freight Forwarder Co., Ltd
주소
Km3 Thadeua Rd, Vientiane, LaoPDR. PO Box 3145
전화
856-21-313-321/351
팩스
856-21-314-831
홈페이지
이메일
기업명
Societe Mixte de Transport CO., Ltd
주소
17 Sisangvone Road, Ban Hongke, Vientiane, Lao PDR PO Box 4237
전화
856-21-417-051~5
팩스
856-21-417-056
홈페이지
이메일
기업명
Tanaleng Warehouse State Enterprize
주소
Thanaleng village, Thadeua road, Hatxaypong district, Vientiane, Lao PDR
전화
856-21-832-006/008
팩스
856-21-832-117
홈페이지
twselao.com(라오스어), twseenglish.blogspot.com(영어)
이메일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섬유봉제산업, 2018년에도 우리 기업이 이끈다 (0) 2017.12.08 핀란드 유압부품 시장동향 (0) 2017.12.08 [유망] 독일 차(Tea) 시장동향 (0) 2017.12.08 [유망] 일본 플라스틱 식품 보존용기 시장동향 (0) 2017.12.08 [전문가 기고] 인도 지식재산권(상표권) 침해 대응방안 (0) 2017.12.07 [전문가 기고] I love Korea, I Love Bulgaria (0) 2017.12.07 [전문가 기고] 인도 수출을 위한 유용한 물류정보 (0) 201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