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동향
    World Wide 2017. 12. 8. 19:08
    반응형
    [유망]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동향
    2017-12-08 이태훈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어선 부족 및 노후화에 선박수리 및 건조시장 활성화 예상 -

    - 각종 전시회 등 행사를 통해 시장 파악 후 진출 접점 찾아야 -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기준 러시아 조선산업 구조

        - 현재 러시아 내 조선산업 관련 기업은 협력업체 포함 약 2200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70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2016년 말 기준 세계 조선소 총생산량 중 러시아의 점유율은 0.6%로 미미한 편이며, 특히 군수분야(군함, 잠수함 등)에 비해 민간 부분의 조선업 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늦은 것으로 알려짐.

         

      ㅇ 러시아의 선박 수입규모

        - 2016년 러시아의 선박 수입액 약 19억 달러 중 대한 수입량은 5억2000만 달러로, 한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음.


    러시아 선박 수입 현황(HS Code 89)

    국가명

    규모(백만 달러)

    비중(%)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전체

    1,428

    1,213

    1,896

    100.00

    100.00

    100.00

    한국

    201

    47

    523

    14.14

    0.39

    27.59

      

      ㅇ 어선부족노후화 문제로 인한 수리조선소 건립 추진 중

        - 러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360척의 어선 건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며그에 소요될 자금은 100~120억 달러로 추정됨.

        - 약 1200척의 러시아 어선 중 30%는 30년이 넘었으며 평균 선령은 28년이며, 2009년 이후 러시아에서 건조된 어선은 16(그중 10척은 소형)에 불과함.

        - 어선 건조가 가능한 러시아 내 조선소는 5곳 정도이며 연간 2~3척 정도 건조가 가능함그 중에서도 대형 트롤선을 건조할 수 있는 조선소는 3곳 정도임.

        - 러시아 내 어선 부족노후화로 인한 러시아의 어선부족 현상은 2020년부터 표면화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극동 각 지방정부도 수리조선소 재건 등을 통한 어선 건조 노력 중임.

     

      ㅇ 상트페테르부르크 내 조선산업 클러스터

        - 기존 클러스터의 2015년 생산량은 약 15억 달러였으며, 현재 신규 클러스터를 개발하기 위해 정부에서 노력하고 있음. Vyborg 지역에 위치한 조선소를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며, 레닌그라드 정부는 2017년 내 조선 및 선박 수리 업체를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조선 클러스터 개발을 준비 중에 있음(자료원: Kommersant).

     

    □ 최근 3개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조선기자재 산업은 예외적인 부분이 많아 HS Code 한 개로 표현하기 어렵고 통일된 통계수치를 얻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음.


      ㅇ 러시아에서 대한 수입량이 어느 정도 있고 한국의 수입점유율이 높은 제품을 선별해 아래에 제시함.

     

     선박용 펌프 수입동향(HS Code 8413.3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전체

    177.1

    119.7

    144.7

    100.00

    100.00

    100.00

    20.89

    1

    중국

    30.7

    23.2

    27.3

    17.38

    19.37

    18.86

    17.67

    2

    체코

    31.3

    19.8

    25

    17.71

    16.55

    17.33

    26.62

    3

    독일

    25.7

    18.3

    19.6

    14.56

    15.36

    13.60

    7.02

    4

    일본

    14.4

    9

    11.2

    8.16

    7.57

    7.79

    24.52

    5

    미국

    11.2

    9.1

    9.8

    6.37

    7.63

    6.80

    7.78

    6

    한국

    11.6

    7.2

    9.2

    6.56

    6.09

    6.41

    27.40

    7

    이탈리아

    4.4

    4.1

    7.6

    2.53

    3.50

    5.28

    82.43

    8

    프랑스

    8

    5.4

    6.2

    4.57

    4.52

    4.34

    16.05

    9

    벨라루스

    3.6

    3.9

    6.2

    2.07

    3.26

    4.30

    59.42

    10

    스페인

    4

    4

    5.4

    2.30

    3.36

    3.76

    35.59

    주: 수입관세율 0%, 부가가치세 18%

     

    선박 보트 추진기 및 블레이드 수입동향(HS Code 8487.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 

    전체

    9,495.3

    5,903.7

    9,258.4

    100.00

    100.00

    100.00

    56.82

    1

    중국

    390.7

    148.7

    2,829.3

    4.12

    2.52

    30.56

    1802.51

    2

    체코

    0

    503.1

    2,505.1

    0.00

    8.52

    27.06

    397.90

    3

    우크라이나

    0

    236.2

    1,905.1

    0.00

    4.00

    20.58

    706.47

    4

    대만

    1,162.3

    610.9

    664.3

    12.24

    10.35

    7.18

    8.74

    5

    네덜란드

    1.8

    259.7

    353.6

    0.02

    4.40

    3.82

    36.15

    6

    미국

    720.9

    330.8

    353.4

    7.59

    5.60

    3.82

    6.81

    7

    일본

    541.9

    352.2

    318.8

    5.71

    5.97

    3.44

    - 9.49

    8

    이탈리아

    312

    134

    97.5

    3.29

    2.27

    1.05

    - 27.21

    9

    한국

    159.8

    113.3

    75.1

    1.68

    1.92

    0.81

    - 33.66

    10

    영국

    199.7

    94.8

    49.7

    2.10

    1.61

    0.54

    - 47.57

    주: 수입관세율 5%, 부가가치세 18%


    선박 추진용 엔진 수입동향(HS Code 8408.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전체

    63,997.5

    31,513.2

    48,505.5

    100.00

    100.00

    100.00

    53.92

    1

    중국

    6,848.8

    1,924.5

    19,518

    10.70

    6.11

    40.24

    914.16

    2

    이탈리아

    2,260.3

    1,722.7

    6,357

    3.53

    5.47

    13.11

    269.01

    3

    핀란드

    5,701.4

    5,579.4

    6,167.8

    8.91

    17.70

    12.72

    10.55

    4

    독일

    38,009

    7,852.2

    4,976.5

    59.39

    24.92

    10.26

    36.62

    5

    미국

    4,481.9

    8,428.7

    3,278.1

    7.00

    26.75

    6.76

    61.11

    6

    네덜란드

    89.9

    51

    2,752.7

    0.14

    0.16

    5.68

    5294.97

    7

    스웨덴

    4,578.6

    2,107.4

    1,897.5

    7.15

    6.69

    3.91

    9.96

    8

    일본

    186.4

    450.5

    1,000.4

    0.29

    1.43

    2.06

    122.06

    9

    영국

    174.4

    259.6

    717.1

    0.27

    0.82

    1.48

    176.23

    10

    한국

    294.5

    279.5

    683.6

    0.46

    0.89

    1.41

    144.56

    주: 수입관세율 5%, 부가가치세 18%


     아웃보드 모터 수입동향(HS Code 8407.21)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전체

    137,221.4

    51,122.9

    51,928.8

    100.00

    100.00

    100.00

    1.58

    1

    일본

    97,037.3

    32,674.4

    33,267.2

    70.72

    63.91

    64.06

    1.81

    2

    태국

    12,524.1

    9,865.5

    7,703.7

    9.13

    19.30

    14.84

    21.91

    3

    미국

    11,378.7

    4,128.2

    6,550.5

    8.29

    8.08

    12.61

    58.67

    4

    중국

    13,578

    4,326.2

    4,322.5

    9.89

    8.46

    8.32

    0.09

    5

    리투아니아

    43

    34

    48.1

    0.03

    0.07

    0.09

    41.57

    6

    한국

    0

    14

    29.3

    0.00

    0.03

    0.06

    109.93

    7

    벨라루스

    0

    0

    5.7

    0.00

    0.00

    0.01

    0.00

    8

    스페인

    0

    0

    1.2

    0.00

    0.00

    0.00

    0.00

    9

    스웨덴

    0

    0

    0

    0.00

    0.00

    0.00

    0.00

    10

    대만

    64.7

    0

    0

    0.05

    0.00

    0.00

    0.00

    주: 수입관세율 8%, 부가가치세 18%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러시아 내 북부에 6서부에 20동부에 13남부에 5개의 러시아의 조선 및 선박 수리 공장이 있음.

        - 러시아 내 민간 공장의 선두주자는 어업시설을 전문으로 하는 Vyborg 조선소임. 이외에는 칼리닌그라드의 Yantar 조선소상트페테르부르크의 Severnaya Verf 조선소니즈니노보고라드 지역의 Oka shipyard, Krasnoe Sormovo 조선소 등이 있음.


    □ 정책동향


      ㅇ 러시아 정부의 조선산업 발전 정책
        - 11억 달러 정도의 예산이 투입되는 러시아 주정부 장기 프로그램 '2013~2030 조선산업 개발'은 2012년에 승인됐으며, 자국 조선산업 발전을 위해 조선해양기자재를 적극 국산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2017년 3월에 프로그램 이름이 ‘해양분야 개발을 위한 조선 및 장비 개발’로 변경됨.


      ㅇ 러시아 어선 관련 투자 쿼터 법률안

        - 2017년 5월 관련 법률안이 승인된 후러시아 연방수산청(Russia’s Federal Agency for Fishery)은 노후화된 어선의 개선과 수산물 시장의 발전을 목적으로 러시아 내 새로운 어선 건조 기업 및 수산물 가공 공장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쿼터 프로그램을 시행함.

        - 이 프로그램으로 최소 100척의 어선을 건조하고 10개의 가공공장이 건설될 것으로 예상됨또한 러시아의 어선 생산능력은 40%정도 증가하고 84억 달러이상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수산업의 국내총생산(GDP) 연간기여를 84억 달러 이상 높일 것으로 기대됨.

        - 러시아 내 가공공장 건설 및 새로운 어선 건조기업에 TAC의 20%를 분배할 예정임. 선정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현금 또는 은행 보증 형태로 투자금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해야 함.

     

    □ 시사점


      ㅇ 러시아 내 다양한 전시회 등 마케팅 행사 참여 필요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러시아 및 CIS 최대 조선전시회(NEVA 2017) 등 주요 마케팅 수단을 활용해 러시아 시장에 진출할 필요성이 있음.

        - NEVA 2017의 경우에도 몇 개의 국내기업이 참가해 러시아 시장에서 자사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했으며, 러시아의 경기 회복을 반영하듯 지난 2015년 전시회 대비 규모가 확대됐음. 자세한 내용은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에서 작성한 NEVA 2017 참관기참고 바람(클릭 시 이동).

        -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각종 인증과 선급 획득이 필수적인 바, 사전에 내용을 확인해 숙지하는 것이 필요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