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아라비아 3분기 예산 운용 실적World Wide 2017. 12. 8. 19:08반응형
사우디아라비아 3분기 예산 운용 실적
2017-12-08 Osama Alhajouj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무역관- 수입구조 개선으로 정부 수입 11% 상승, 지출은 5%p 상승 -
- 정부 재정적자 130억 달러 도달··· 전년대비 14억 달러 감소해 9.4%p 하락 -
□ 정부 예산
2016~2017년 사우디 정부 예산 현황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6년 예상 예산
2016년 실질 예산
2017년 예산
석유 부문
89,013
88,986
182,000
비석유 부문
48,000
49,533
56,533
총수입
137,013
138,519
184,533
총지출
224,000
221,470
237,333
흑자(적자)
(86,986)
(82,950)
(52,800)
자료원: 사우디아라비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Saudi Arabia)
□ 정부 수입
2016~2017년 3분기 정부수입 현황 및 변동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6년 예상 예산
2016년 실질 예산
2017년 예산
석유 부문
89,013
88,986
182,000
비석유 부문
48,000
49,533
56,533
총수입
137,013
138,519
184,533
총지출
224,000
221,470
237,333
흑자(적자)
(86,986)
(82,950)
(52,800)
자료원: 사우디아라비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Saudi Arabia)
ㅇ 사우디 재무부에 따르면, 비석유부문 수익 증가 및 세금 수입 구조 확대로 석유부문 수입 악화를 상쇄
ㅇ 올 3분기 정부 수입은 사우디 비전 2030 개혁 목표 중 하나인 재정균형에 수렴했음. 37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1% 상승
- 수입구조 중 특히 비석유부문에서 전년동기대비 80%가량 대폭 상승해 1275억 달러 규모 도달. 경제 개혁의 성과를 상당 부분 보여주는 지표
ㅇ 외국인 거주증인 이까마(Iqama) 연장료 인상
- 외국인 노동자는 100사우디아라비아 리얄에서 200사우디아라비아 리얄로 인상
- 외국인 노동자의 부양자는 100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인상 등 세금 수익구조 개편으로 세금 확대
ㅇ 내년 금융부문 이외의 기타 부문에 부가세(VAT) 도입으로 정부 수입이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
ㅇ 투자부문에서 전년동기 44장의 인·허가증 대비 87장의 인·허가증 발행으로 2배 이상 상승
- 올 2분기 또한 3분기와 같이 전년동기의 인·허가증 54장대비 85장의 인·허가증 발행
- 투자자본 유입의 최대 국가는 대한민국이며, 아랍에미리트(UAE)는 투자회사의 수에서 1등의 자리를 차지
ㅇ 총 수권자본액 또한 4억 달러 규모에 이르며, 전년동기의 8200만 달러 규모 대비 5배가량 상승한 수치
- 올 2분기 총 수권자본액의 경우 5억9000만 달러 규모에 이르렀으며, 이는 전년동기의 2억4000만 달러 대비 2배가량 상승한 수치
□ 정부 지출
2016~2017년 3분기 정부지출 현황 및 변동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6년 3분기
2017년 3분기
변동 폭
노동소득
26,001.3
28,432
9
소비재 이용
5,275.5
5,510
4
자금조달 비용
260.8
307.2
18
식비 보조금
444.5
452
2
연구 보조금
7.7
315.2
100 이상
사회복지
1,540.8
2,006
30
기타 비용
5,364.8
4,554
▲ 15
비금융자산
9,445.1
9,323.2
▲ 1
총계
48,341
50,899
5
자료원: 사우디아라비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Saudi Arabia)
ㅇ 3분기 정부지출은 1002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p 상승한 수치임.
- 1·2·3분기 전체 정부지출은 152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0.4%p 상승한 수치임. 이 수치는 연간 전체 지출의 6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 교육, 의료, 사회발전, 지자체 서비스 등 사회 부문이 3분기 예산 지출의 44%를 차지. 정부 정책이 시민들을 최우선순위에 둔다는 점을 고려
ㅇ 1·2분기와 달리 3분기 지출은 정부 주도 각종 사업 진행으로 인해 발생
- 미래투자전략(FII)의 네옴(NEOM) 미래도시 및 사우디아람코(ARAMCO) 등 프로젝트 준비자금으로 지출 폭이 커짐.
□ 정부 재정적자
2017년 분기별 적자 현황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7년 1분기
2017년 2분기
2017년 3분기
총계
분기당 적자
6,989.6
12,404.5
12,994.7
32,388.8
2016년 경상수지 계정
8,533.3
-
1,733.3
10,266.7
외화보유고 계정
-
4,000
4,000
8,000
국내 대출금
-
-
9,866.7
9,866.7
국외 대출금
-
9,000
-
9,000
총 자금조달액
8,533.4
13,000
15,600
37,133.3
자료원: 사우디아라비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Saudi Arabia)
ㅇ 사우디 재무부에 따르면, 올 3분기 재정적자는 130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전년동기의 144억 달러 대비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
- 반면, 이 수치는 올 2분기 대비 5% 상승한 결과값으로 확인됨.
- 정부 1~3분기 누적 재정적자는 324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전년동기대비 40%p 감소
□ 시사점
ㅇ 비석유부문의 수익 다각화 노력에 따른 정부 수입 증가
- 전 분기 6%의 수익률 증가에 이어 3분기 5%의 수익률 증가 등 향후 이와 같은 수익률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
- 3분기 정부 재정적자는 전년동기대비 약 10% 감소
- 1~3분기 누적 정부 재정적자는 전년동기대비 40% 감소
ㅇ 따라서 정부 지출 합리화 노력의 성과로 예상보다 재정적자 감소가 진행
ㅇ 네옴(NEOM) 미래도시, 홍해 인근 관광산업도시 등 정부 주도 프로젝트 추진으로 인한 미래 수입구조 대수술로 당분간은 수입과 지출이 동시에 오를 전망
- 지난 2분기 자금조달에 48억 달러 지출, 올 10월 국제채권 및 국내 수쿠크 발행에 152억 달러 추가 지출이 근거
ㅇ 2018년도 인두세, 부가세 시행 강화로 향후 정부 수입 증가 예상
- 금융부문에서는 성장 강화 목적으로 부가세 시행 제외부문으로 선정 예정
- 현재 사우디를 주축으로 이란외의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석유 감산 노력으로 유가상승 기대. 현재 세계 각지의 석유 수요는 공급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사우디 정부의 수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
- 네옴(NEOM) 미래도시, 홍해 인근 관광산업도시, 공공투자지금(PIF) 킹압둘라경제지구(KAEC, King Abdullah Economic City)관리권 이전 이외에도 정부 주도 프로젝트가 추진 재개될 전망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에 진출하려면 크리스마스 시즌을 노려라 (0) 2017.12.11 영국의 미래산업전략 심층 분석 (0) 2017.12.08 터키 아르첼릭사, 한국 가전제품 구매 확대 희망 (0) 2017.12.08 [유망]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동향 (0) 2017.12.08 환경 규제강화로 중국진출 우리 기업 좀더 주의를 기울여야 (0) 2017.12.08 혼란 속의 온두라스 대선 (0) 2017.12.08 알제리, 외국 자동차제조사 현지 투자 요건 강화 (0) 2017.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