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성장하는 중국 전시산업 현황World Wide 2017. 12. 11. 17:00반응형
급성장하는 중국 전시산업 현황
2017-12-11 노형석 중국 청두무역관- 고도 경제 성장과 함께 전시 시장도 크게 확대-
- 전시 수요를 반영 지역별 전시장도 대형화 -
□ 중국 전시산업 현황
ㅇ 지속적인 규모 증가
- 2009~2014년, 중국의 각종 전시회 총횟수는 4290회에서 7495회까지, 매년 평균 7.27%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총 전시 면적은4900만㎡에서 9736만㎡로 11.11%의 증가율을 보였음. 전시회 면적의 증가 속도는 전시 횟수의 증가에 비해 빨랐으며 전시회 개최 역시 지속 확대되고 있음.
-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014년 중국 전시산업 규모는 4190억 위안에 도달한 것으로 발표함.
2009-2014년 중국 전시회 개최 횟수 및 면적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ㅇ 전시회 횟수와 면적이 확대되면서 전시회의 경제 효과도 대폭 증가하고 있음.
-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009년 전시회 시장의 직접적인 생산액은 1817억 위안, 2014년에는 4190억 위안으로 매년 평균18.18%가 증가했으며, 2014년 기준 중국 GDP 63조6100억의 0.68%를 차지함.
2009~2014년 중국 전시회 시장의 직접적인 경제 생산액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2008-2014년 중국 전시회 시장 및 연관 산업의 총생산액
자료원 : 중국 산업정보망
□ 중국 전시회 산업의 5대 권역
ㅇ 중국 각 도시 및 지역의 산업 구조, 지리적 위치, 개방 정도 등에 따라 차이점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전시회 경제 산업 구역이 나누어짐.
- 분포된 지역으로 보았을 때, 중국의 전시회 시장은 크게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환보하이 전시회 경제구역(环渤海会展经济带),상하이(上海)를 중심으로 한 창장삼각주(长江三角洲)-화동 전시회 경제 구역(华东会展经济产业带), 광저우(广州) 및 홍콩(香港)을 중심으로 한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화남 박람회 경제구역(华南会展经济产业带), 우한(武汉), 정저우(郑州), 청두(成都), 쿤밍(昆明)등 도시를 선두로 한 중서부 전시회 중심도시(中西部会展中心城市), 마지막으로 다롄(大连), 하얼빈(哈尔滨) 등 도시를 중심으로 한 동북 국경무역 전시회 경제구역(东北边贸会展经济产业带) 등임.
① 환보하이 전시회 경제구역(环渤海会展经济带)
* 베이징(北京)이 중심이며 톈진(天津), 랑방(廊坊) 등 도시가 포함돼 있음. 역사가 오래된 이 구역의 전시회 시장은 규모, 횟수,전문화, 국제화 수준, 유명 브랜드 전시회의 집중 등 장점을 갖고 있음. 특히 베이징(北京)의 전시 시장은 중국의 중앙정부의 지원으로 부서에서 매우 큰 영향력을 갖고 있음.
② 창장삼각주 전시회 경제구역(长江三角洲会展经济带)
* 상하이(上海)를 중심으로 난징(南京), 항주(杭州), 닝뻐(宁波), 쑤저우(苏州) 등 도시가 포함돼 있음. 이 구역은 현지 정부의 지원,구도의 합리적인 전시 기획, 지역적 우세 등 장점을 갖고 있으며, 잠재력이 뛰어남.
③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
* 광저우(广州)를 중심으로 선전(深圳), 주하이(珠海), 샤먼(厦门), 东莞(둥관) 등이 대표적이며, 국제화 및 높은 수준의 현대적 전시회 개최 밀집지역임.
④ 동북전시회 경제구역(东北会展经济带)
* 다롄(大连)을 중심으로 선양(沈阳), 창춘(长春) 등, 동북 공업 기지의 산업적인 우세 및 동북아의 지역적 우세를 토대로, 창춘(长春)의 자동차 전시회, 선양(沈阳)의 국제장비 제작전시회, 다롄(大连)의 패션 박람회 등 유명 브랜드 전시회가 있음.
⑤ 중서부 박람회 경제구역(中西部会展经济带)
* 청두(成都)와 우한(武汉)을 중심으로 충칭(重庆), 시안(西安) 등 대표 도시에서 전통있는 전시회가 개최됨. 우한(武汉)의 화중국제자동차박람회(华中国际汽车展), 우한광전박람회(武汉光电博览会), 청두(成都)의 서부국제박람회(西部国际博览会), 쿤밍(昆明)의 남아박람회(南亚博览会), 몐양(绵阳)의 과학기술산업박람회(科技产业博览会), 충칭(重庆)의 첨단기술성과무역박람회(高新技术成果交易会), 시안(西安)의 동서부상담회(东西部洽谈会) 등 전시회가 개최됨.
□ 서부로 확장하는 전시 시장
ㅇ 급속도로 성장하는 중국의 전시장 규모
- 2002년부터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를 이어서 중국의 각 대도시는 대규모 전시장을 설립하기 시작했음. 정부의 지원속에 각 성(省)의 전문 전시장은 2011년의 153개, 실내 면적 504.33만㎡에서 2014년에는 전시장 226개, 실내 면적 964.13만㎡로 확대됐음.이 중 전문 전시장(실내 사용 면적이 5000㎡ 이상 및 2회 이상의 경제 무역과 관련된 전시회를 개최한 전시장)은 총 128개임.
ㅇ 세계 최고 전시장 규모를 보유 중인 중국
- 2014년 세계 10대 전시장 중 중국은 2개를 보유하고 있음. 그 중 상해의 국가전시센터(国家会展中心)는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실내 전시 면적은 40만㎡, 광저우(广州)의 중국수출입상품무역박람회(中国进出口商品交易会) 파조우전시관(琶洲馆)은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내 전시 면적은 33만8000㎡임. 2014년 연말 기준, 쓰촨(四川), 후난(湖南), 장시(江西)에서 건설 중인 전시장은21만5000㎡, 20만2000㎡, 20만㎡로, 전시장의 건설 추세는 중국의 중서부 내륙지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
10만㎡ 이상 전시장 사용 가능 도시(2014년 기준)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2016년 기준 중국 10대 전시장
구분
전시장
기본 정보
1
中国进出口商品交易会展馆(광저우)
수출입 상품 거래 박람회 전시관, 아시아에서 비교적 큰 규모를 가진 현대화 전시관 중 하나
2
上海新国际博览中心SNIEC(상하이)
중국 및 외국 기업이 합작한 첫번째 전시 센터, 중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전시관 중 하나
3
中国国际展览中心(베이징)
1985년부터 정식 운영하며,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 및 중국국제상회 소속
4
国家会展中心(상하이)
중국 국가상무부와 상해시 정부 합작으로 설립
5
国家会议中心(베이징)
북경북진실업주식유한공사(北京北辰实业股份有限公司)가 운영하며, 주요 상업지역에 위치
6
香港会议展览中心(홍콩)
아시아 최고 수준의 전시장 및 회의 장소
7
深圳会展中心(선전)
전시회, 회의, 오락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대형 MICE 전시장
8
XIECE厦门会展(샤먼)
샤먼전시회그룹주식유한공사(厦门会展集团股份有限公司)가 운영
9
昆明国际会展中心(쿤밍)
1993년에 설립된 종합 서비스 전시센터
10
武汉国际博览中心(우한)
화중(华中)지역의 유력 종합 전시센터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 중국 전시산업에 진출한 외국기업
ㅇ 2004년 1월, 중국 상무부는 <설립외상투자회의전시공사실행규정> (设立外商投资会议展览公司暂行规定)을 발표하며, 외부기구 및 기업이 중국 내에서 전시 활동하는 것을 허가함.
- 외자기업이 중국 전시시장에 진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음. 중국에서 대리기구를 설립하는 것, 전시장의 건설에 투자하는 것,국외 전시 브랜드의 이전 및 공동 개최, 외자기업과 중국기업이 합작 전시회사를 설립하는 것, 외자기업이 독립적으로 회사를 설립하는 것, 중국 전시회사를 매입 혹은 공동 구입하는 것 등임.
ㅇ 현재 중국에 진출한 외자 전시기업은 독일과 영국을 위주로 20여 개에 달함. 그 중 인지도가 높은 외자 전시기업은 다음과 같음.
- Reed Exhibitions(英国励展博览集团)
- Deutsche Messe AG(德国汉诺威展览公司)
- Messe Dusseldorf GmbH(杜塞尔多夫展览有限公司)
- Munich Exhibition(慕尼黑展览有限公司)
- Nuremberg Exhibition Service(纽伦堡会展服务有限公司)
- Frankfurt Exhibition Service(法兰克福展览服务有限公司)
- UBM Asia(亚洲博闻)
- VNU Exhibitions Europe-Million Dragon Enterprise Exhibition(万耀企龙)
- Bologna Italy Exhibition(意大利博洛尼亚展览集团)
- Tarsus Group(塔苏斯集团) 등
□ 전망 및 시사점
ㅇ 현지의 전시산업 인식이 점차 선진화
- 현지에는 전시산업이 잠재력이 뛰어난 새로운 서비스업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도시산업과 주변 경제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시각임. 특히 최근 청두미용전시회 주관 가업을 인수한 영국 I 사는 청두와 같은 내륙 지역 역시 전시산업의 가치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교통, 통신, 호텔, 여행, 판매, 광과, 인쇄, 장식, 물류 운송, 금융 등 주변 산업의 발전에도 이로운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함.
ㅇ 급속도로 성장 중인 중국 전시산업
- 서부 내륙 중심 청두 역시, 기존의 전시장 9만㎡ 이외 신 전시장(40만㎡)이 개관돼 중국 중서부 전시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임.
- 특히, 현지 토박이 중심으로 움직이던 전시 기획사 역시 중국 동부 연안 및 해외 전시 관련 업체의 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보임.
ㅇ 외국기업의 증가
- 중국에서 개최되는 전시회 중, 독일 및 영국의 전시 기획사가 외자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중국의 전시 시장 및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외자기업의 투자 진출은 향후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임.
ㅇ 새로운 먹걸이로서 전시산업 진출 필요
- 전시산업은 무역, 여행, 호텔, 교통, 운송, 금융, 부동산, 판매 등 산업의 발전을 직접적으로 자극시키며,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풀랫폼으로 인식되고 있음.
- 이에 따라 우리 관련 기업 및 유관기관 역시 현지 산업 진출 다변화 및 심화를 위해 현지 기업과의 합작을 통해 전시산업 진출도 고려할 때가 된 것으로 보임.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코, 장난감 안전규제 사례 (0) 2017.12.11 [유망] 중국 카메라 뷰티 앱 시장동향 (0) 2017.12.11 [전문가 기고] 외자기업의 재중 핀테크사업 (0) 2017.12.11 페루, 에너지 효율 라벨링 시행 (0) 2017.12.11 [유망] 대만 반려동물용품 시장동향 (0) 2017.12.11 스리랑카 폴리에틸렌 사용제한 조치 (0) 2017.12.11 EU 의회 및 이사회, EU 개정 무역방어법(반덤핑 관세법)에 합의 (0)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