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동 최대 건축기자재 전시회, 2017 Big 5 Show
    World Wide 2017. 12. 22. 18:53
    반응형
    중동 최대 건축기자재 전시회, 2017 Big 5 Show
    2017-12-22 최유빈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무역관




    external_image

     

    □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2017 UAE 두바이 건축기자재 전시회(Big 5 Show)

    개최기간

    2017 11 26~ 29(4일간)

    홈페이지

    https://www.thebig5.ae/

    연혁

    1980년부터 38번째 개최

    규모

     113526, 59개국(2016)

    참가업체 수

     2500개사

    참관객수

    약 65000

    전시분야

    건축기자재내외장재빌딩관리건물유지보수, HVAC 

    한국관 참가현황  

    2017년 기준 KOTRA 한국관 포함 총 94개사

     

    □ 전시회의 특징

     

      ㅇ UAE 두바이 건축기자재 전시회(이하 Big5)가 두바이 최대 전시장인 Dubai World Trade Centre(DWTC)에서 2017 11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개최됨.

        - 2017년 38회차를 맞이하는 이번 Big 5 전시회는 전 세계 60개국 약 2500개사의 건축 산업 관련 기업들이 대거 참가함Big 5 전시회는 중동∙아프리카 지역 최대 건축기자재 전문 전시회로 현지 기업들의 신제품 소개 및 GCC 지역의 신규 프로젝트그리고 80여 명의 산업 전문가들과 진행하는 Big 5 Talk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됨.

        - 주최사인 DMG Events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UAE의 프로젝트가 전년대비 17.4% 증가했음. 최근 3개년 동안 참가기업 수가 증가하는 추세임.

     

    Big 5 전시장 전경

     external_image

      

    □ 전시관 구성

     

      ㅇ 중동 최대 규모의 건축기자재 전시회답게 Big 5는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연간 전시회 중에서도 손에 꼽는 규모를 자랑하며개최기간 동안 4일로 일반 전시회보다 길게 개최됨.

        - 올해 전시회는 작년에 이어 열린 Excellence in Construction Summit뿐 아니라 이틀간 열린Innovation in Precast Summit, 그리고 건축프로젝트관리, MEP, 비즈니스건설분야의 지속가능성과 기술을 주제로 80여 명의 산업 전문가와 함께 하는 Big5 Talk 등 전시회의 교육적 측면을 부각함.

        - 전시회 홀은 크게 MEP Services, Building Interiors & Finishes, Building Envelope & Special Construction, Construction Tools & Building Materials, 그리고 Construct Technology & Innovation의 다섯 가지 품목 군으로 나누어 졌으며올해 새롭게The Big5 Solar 섹션이 추가돼 태양에너지 관련 품목을 다루었음.

     

    전시장 Floor Plan

     external_image

    자료원: Big5 홈페이지

     

        - 국가관으로는 한국, 중국미국독일이탈리아 등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참가함.

     

    국가관 부스 전경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 한국관 주요 품목 소개 및 동향

     

      ㅇ 이번 Big5 전시회에는 KOTRA, 냉동공조협회의 주관으로 건설장비빌딩마감재기자재, HVAC  49개사의 한국 기업이 한국관으로 참가했으며유력 바이어와의 상담을 통해 4일간 총 1295여 건, 10억 달러 규모의 현장 상담이 이루어짐한국관 주요 참가 품목은 아래와 같이 나뉨.

        - Doors, Windows, Ceiling Moldings

        - Kitchen, Bathroom, Sanitary-ware

        - Wall coverings, Decorative products, Flooring

        - Tarpaulin, Shade Nets, Agricultural Nets, Pruning Shears

        - Valves, Pipes & Fittings & Water pipeline products, Waterproofing Membranes

        - Production Machinery, Drilling Equipment, Power Tools, Hand Tools

        - GRP Water Tanks, Stadium Seating, Construction & Building Materials, Electric Pump

        - IOT Products, LED Lighting

        - HVAC & Industrial Fans

     

      ㅇ 그 외에도 용인시, 화성시 지원 기업 등 총 94개사가 참가해 작년에 비해는 줄어들었으나최근 5개년치 참가기업을 봤을 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최근 3개년 한국 기업 참가 수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한국 참가기업(개사)

    75

    73

    91

    99

    94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한국관 전경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 전시회 전망

     

      ㅇ 두바이는 MENA 지역의 경제 허브로건축 및 석유가스 분야의 대형전시회의 경우 실제로 주변 국가의 바이어들도 상당수 참가해 해당 국가의 프로젝트를 위한 공급처를 찾고 있음.

        - GCC 지역의 주요 경제국가인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가 발주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주택호텔인프라 개발 및 에너지 시설 분야임.

     


    GCC 국가별 프로젝트 규모

    (단위: 백만 달러)

    external_image

    자료원: GCC 건설시장 전망 보고서, KOTRA 두바이 무역관

     

        - 아랍에미리트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비즈니스 허브로, 2013 11월 두바이 2020년 엑스포 개최지로 선정됨당시 추진예정 프로젝트 규모는 총 1400억 달러이며 이를 통해 인구증가부동산 경기 회복 및 일자리 27만 개 창출을 기대함또한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 건설에 정부가 약 4억 달러의 예산을 투입해 주택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으며관광객을 위한 관광시설 및 숙박시설 등의 인프라를 개발 중

        - 사우디아라비아도 아랍에미리트와 마찬가지로 주택 및 인프라 개발에 힘쓰고 있음. 앞으로 약 5년간 150만 개의 주택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주택개발이 활발하며 2016년 기준 사우디 국민 중 약 47%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어 2020년까지 52%를 목표로 함.또한 종교 관련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30년 까지 현재 보유 호텔 객실 수의 2배 증가를 목표로 현재 MENA 지역에서 가장 많은 호텔을 건설 중

        - 그 외에도 카타르는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을 대비해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나중동국가와의 국교 단절로 인해 약간은 불안정한 시장 상황임쿠웨이트는 현재 국제공항 확장을 진행 중이며, 그 밖에도 주택 및 병원대학도로확장 등의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지속 추진하는 등 대부분의 GCC 국가가 인프라 및 주택 보급을 늘리는 것을 알 수 있음.

     

    중동지역 프로젝트

    external_image

    주: 두바이 엑스포 사이트사우디아라비아 제다 타워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쿠웨이트 신공항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