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수입규제제도와 현황World Wide 2017. 12. 26. 14:19반응형
인도 수입규제제도와 현황
2017-12-26 임성식 인도 뉴델리무역관- 2017년 하반기 기준 세계 제1의 반덤핑 부과 국가 -
- 70억 달러에 이르는 대한 무역수지 적자, CEPA 개정협상 진행이 돌파구가 될지 주목 -
□ 수입규제제도의 구조
ㅇ 인도 수입규제 개요
- 인도에서 수입 및 수출되는 모든 품목들은 Foreign Trade(Development & Regulation) Act, 1992와 인도 수출입정책(India’s Export Import(EXIM) Policy)에 의거해 반입, 반출처리됨.
수입규제 구조도
구분
항목명
관세장벽
반덤핑관세(Anti-dumping Duty)
세이프가드(Safeguard)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y)
비관세장벽
국영무역기업(State Trading Enterprises)
기술 장벽(Technical Barriers to Trade)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Sanitary and Phytosanitary quarantine)
수출보조 및 국내지원(Export subsidies and domestic support)
수입쿼터 및 관세율 할당(Quantitative Restriction and tariff rate quotas)
자료원: KOTRA 뉴델리 무역관 정리
ㅇ 인도 수입규제 관리부서
- 수입 허가: 인도 대외무역청(DGFT, Directorate General of Foreign Trade)
- 표준, 테스트, 라벨링 및 인증: 인도 표준국(BIS, The Bureau of Indian Standards)
- 반덤핑관세 및 상계관세: 반덤핑총국(Directorate General of Anti-dumping and Allied Duties)
- 수출 보조 및 국내지원: 인도 대외무역청(DGFT, Directorate General of Foreign Trade)
-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 인도 농림부(Department of Agriculture, Cooperation and farmers welfare)
- 수입쿼터 및 관세율 할당: 인도 상공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 인도의 수입규제 동향
ㅇ 인도 수입규제 현황
- WTO에 따르면 인도는 현재까지 768건의 수입규제 조치를 부과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음.
부문별 규제조치 현황
연번
규제 분류
시행 상황
조치 수(개)
1
수입 쿼터(Quantitative Restrictions)
시행 중(In force)
59
2
세이프가드(Safeguards)
시행 중(In force)
2
3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Sanitary and Phytosanitary)
시행 중(In force)
31
개시(Initiation)
168
4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Sanitary and Phytosanitary)
* 특별해당국가: 아프가니스탄, 아르헨티나, 호주, 방글라데시, 캐나다, 칠레,코트디부아르, 가나, 네팔, 페루, 수단
시행 중(In force)
1
5
국영무역기업(State Trading Enterprises)
시행 중(In force)
29
6
관세율할당(Tariff-rate quotas)
시행 중(In force)
3
7
기술 장벽(Technical Barriers to Trade)
시행 중(In force)
2
개시(Initiation)
115
8
반덤핑(Anti-dumping)
시행 중(In force)
276
개시(Initiation)
80
9
상계관세(Countervailing)
시행 중(In force)
1
개시(Initiation)
1
자료원: WTO(http://i-tip.wto.org/goods/Forms/TableView.aspx?mode=modify&action=search)
□ 대한국 수입규제 및 규제항목별 기타국가 부과사례
ㅇ 대한국 수입규제 부과 현황
인도의 대 한국 수입규제 조치 32건
규제 분류
시행 상황
조치 수(개)
반덤핑(Anti-dumping)
시행 중(In force)
23
개시(Initiation)
4
기술 장벽(Technical Barriers to Trade)
시행 중(In force)
5
자료원: WTO(http://i-tip.wto.org/goods/Forms/TableView.aspx?mode=modify&action=search)
ㅇ 반덩핌 규제
2017년 대한국 반덤핑관세 부과 사례
산업
품목명
부과일
대상국
부과 기간
철강
합금 또는 비합금강의 열간압연제품(Hot Rolled products of alloy or non-alloy steel)
2017.5.11.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브라질, 인도네시아
5년
합금강 또는 비합금강의 냉간압연제품(Cold Rolled products of alloy or non-alloy steel)
2017.5.12.
중국, 일본, 한국, 우크라이나
5년
1250mm 초과하는 너비의 최대 두께가 4mm인 스테인리스 스틸 냉간압연제품[Cold-rolled Flat products of stainless steel of width greater than 1250 mm of all series not further worked than Cold rolled (cold reduced) with a thickness of up to 4mm]
2017.10.24.
중국, 한국, EU, 남아프리카,대만, 태국, 미국
2020년
12월 10일까지
화학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2017.6.14.
방글라데시, 대만, 한국,파키스탄, 태국
5년
톨루엔 디 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2017.6.5.
중국, 일본, 한국
6개월
잠정 시행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SBR)]
2017.8.3.
EU, 한국, 태국
5년
직물
탄성 중합체 필라멘트 섬유
(Elastomeric Filament Yarn)
2017.5.3.
중국, 한국, 대만, 베트남
5년
나일론 필라멘트 섬유(Nylon Filament yarn)
2017.1.19.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태국, 한국
2018년
1월 12일까지
자료원: CBEC(http://www.cbec.gov.in/Customs-Notifications)
ㅇ 세이프가드
- 2016년에는 세이프가드 시행 사례가 있으나 2017년에는 없음.
품목명
발효일
최종 확정일(Final finding)
권고사항
가공되지 않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Unwrought Aluminum(Aluminium not alloyed and Aluminium alloys)]
2016.4.19.
예비조사: 2016.4.21.
최종확정: 2016.12.13.
200일 동안 5% 증가세
(ad Valorem)
자료원: CBEC (http://www.cbec.gov.in/Customs-Notifications)
ㅇ 상계관세: 2017년 상계관세는 중국에만 부과됨.
품목명
발효일
대상국
세율
특정 열간 압연 및 냉간압연 평강 스테인리스 강 제품(Certain Hot Rolled and Cold Rolled flat products of stainless steel)
2017.05.11
중국
18.95%
자료원: CBEC (http://www.cbec.gov.in/Customs-Notifications)
ㅇ 기술 장벽(Technical Barriers to Trade)
대상국
시행일
규제 근거 규정
품목
WTO
회원국
2017.2.17.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식품 제품 표준 및 식품 첨가물)개정 규정, 2017(영문 1페이지)[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Food Products Standards and Food Additives) Amendment Regulations, 2017(1 pages, in English)]
2.10.6의 규정 생략 (1) 비 알코올성 탄산 음료. 설탕 첨가[Omission of provision from 2.10.6(1) Beverages Non - Alcoholic-Carbonated, for declaration of added sugar]
WTO
회원국
2017.4.12.
휴대 전화 핸드셋에 대한 인도 언어 지원에 관한 통지 번호 3509 (E) 2016년 11월 23일 자(2페이지)[Notification No. 3509(E) dated 23rd November 2016 (2 Pages) concerning Indian Language Support for Mobile Phone Handsets]
IS 16333(파트 3)에 따른 휴대 전화 핸드셋에 대한 인도어 지원에 대한 관보 통지 '전자 및 정보 기술'[Gazette notification concerning Indian Language Support for Mobile Phone Handsets as per IS 16333 (Part 3) to the Schedul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WTO
회원국
2017.5.17.
태양광, 시스템, 장치 및 구성품(의무 등록 요구사항2017)[Solar Photovoltaic, Systems, Devices and Components Goods (Requirements for Compulsory Registration) Order, 2017]
태양광, 시스템, 장치 및 부품 제품 표준(Standards for Solar Photovoltaic, Systems, Devices and Components Goods)
WTO
회원국
2017.5.29.
철강 및 철강 제품(품질 관리) 주문 2017[The Steel and Steel Products(Quality Control) Order, 2017]
IS 7904 고 탄소강 선재 14246은 지속적으로 도장 된 아연 도금 강판 및 코일 15965(IS 7904 High Carbon Steel Wire Rods IS 14246 Continuously Pre-Painted Galvanized Steel Sheets and Coils IS 15965)
WTO
회원국
2017.8.23.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 (수입) 개정 규정, 2017[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Import) Amendment Regulations, 2017]
식료품
WTO
회원국
2017.8.23.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제3 자 식품 안전 감사) 규정2017[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Third Party Food Safety Auditing) Regulations, 2017]
식료품
WTO
회원국
2017.10.19.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 (유기농 식품) 규정 초안, 2017[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Organic Foods) Regulations, 2017]
식료품
WTO
회원국
2017.11.6.
식품 안전 및 표준 (포장) 법안, 2017 초안[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Packaging) Regulations, 2017]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
WTO
회원국
2017.11.22.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 (광고 및 청구) 규정 2017 (19페이지)[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Advertisements and Claims) Regulations, 2017 (19 pages)]
식품에 대한 광고 및 클레임
WTO
회원국
2017.12.6.
인도 전신 (개정) 규칙
HS Code 8517
WTO
회원국
2017.12.7.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실험실 인정 및 통보) 규정, 2017 (15페이지)[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Recognition and Notification of Laboratories) Regulations, 2017 (15 pages)]
식료품
WTO
회원국
2017.12.7.
(수입 정책) 제95 조 제2 항의 정책 조건의 개정[Amendment in Policy conditions No.2 to Chapter 95 of ITC (HS), 2017-Schedule–1 (Import Policy) ITC (HS), 2017-Schedule-1]
EXIM 코드 아래의 모든 항목 : 95030010, 95030020, 95030030및 95030090
WTO
회원국
2017.12.7.
가성 소다 품질 관리 명령서, 2017(Caustic Soda Quality Control Order, 2017)
화학 물질 - 가성 소다 2825
WTO
회원국
2017.12.7.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판매 금지 및 수정) 개정 규정, 2017[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Prohibition and Restriction on Sal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일반 소금
WTO
회원국
2017.12.7.
법적 도량형 (포장 상품) 개정 규칙, 2017(14페이지,영어 및 힌디어)[The Legal Metrology (Packaged Commodities) Amendment Rules, 2017(14 pages, English and Hindi)]
소매 판매용으로 사전 포장된 모든 상품은 규칙에서 제외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개정안의 적용을 받음(All pre-packaged commodities meant for retail sale are covered under the said amendment except otherwise exempted from the Rules)
WTO
회원국
2017.12.7.
철강 및 철강 제품 (품질 관리) 2017년 2 차 주문[The Steel and Steel Products (Quality Control) Second Order]
철강제품
캐나다, EU,일본, 한국,노르웨이,스위스,미국
2017.6.14.
인도 - 전자 및 정보 기술 상품 (의무 등록 요건) 2012년 주문(ID 367)[India -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Goods (Requirements for Compulsory Registration) Order, 2012 (ID 367)]
'전자·정보기술용품(의무 등록 요구 사항) 2012'에 대한 일정으로 통보된15개 제품 목록[List of 15 Products notified in Schedule to the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Goods (Requirements for Compulsory Registration) Order, 2012"]
한국, 미국
2015.11.4.
인도 - 알칼리 또는 기타 비 산성 전해질(ID 482)이 들어있는 2차 전지 및 전지 '밀폐된 2차 전지 또는 알칼리 함유 전지'[India -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containing alkaline or other non-acid Electrolytes (ID 482) The "Sealed Secondary Cells or Batteries containing Alkaline”]
2차 전지, 배터리
자료원: WTO(http://i-tip.wto.org/goods/Forms/TableView.aspx?mode=modify&action=search)
ㅇ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
- WTO에 따르면 인도는 2017년에 38건의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를 취했으며 대표적인 조치사례는 다음과 같음.
대상국
시행일
규제 근거 규정
품목
WTO
회원국
2017.1.19.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 (식품 제품 표준 및 식품 첨가물) 개정 규정, 2017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Food Products Standards and Food Additiv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The 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흑설탕 줄기 및 사카린 나트륨(식품 등급)및 칼슘 사카린(식품 등급) 표준에 대한 개정[Revision of standards for Cane Jaggery or Cane Gur and Sodium Saccharin (food grade) and standards for Calcium Saccharin (food grade)]
WTO
회원국
2017.2.10.
식물 검역 초안 (인도로의 수입 규제)(제2차 개정) 명령, 2017 식물 검역 초안(인도로의 수입 규제)[Draft Plant Quarantine (Regulation of Import into India) (Second Amendment) Order, 2017 The Draft Plant Quarantine (Regulation of Import into India)]
식물 검역 (인도로의 수입 규제) 명령, 2003 및 그 개정안에 따른 식물 및 식물 재료 및 기타 규제 품목[Plants and plant materials and other regulated articles as per Plant Quarantine (Regulation of Import into India) Order, 2003 and its Amendments]
WTO
회원국
2017.2.10.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식품 사업 허가 및 등록)개정 규정, 2017 식품 안전 및 표준[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Licensing and Registration of Food Business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Food Safety and Standards]
반복적인 튀김을 위한 식물성 기름의 품질(Quality of vegetable oil for repeated frying)
WTO
회원국
2017.2.10.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식품 제품 표준 및 식품 첨가물) 개정 규정, 2017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Food Products Standards and Food Additiv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다양한 식용유의 셰어 버터, 보르네오 탤 로우·아이리버 버터 및 지방산 조성(Shea butter, Borneo tallow/illipe butte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edible oils)
WTO
회원국
2017.4.4.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식품제품 표준 및 식품 첨가물) 개정 규정, 2017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Food Products Standards and Food Additiv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The 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유아용 우유 대체품(Ready to drink infant milk substitute)
WTO
회원국
2017.5.15.
식물 검역 초안(인도로의 수입규제) (제2차 개정) 명령, 2017 식물 검역 초안(인도로의 수입규제)[Draft Plant Quarantine (Regulation of Import into India) (Second Amendment) Order, 2017 The Draft Plant Quarantine (Regulation of Import into India)]
식물 검역(인도로의 수입 규제) 명령, 2003 및 그 개정안에 따른 식물 및 식물 재료 및 기타 규제 품목[Plants and plant materials and other regulated articles as per Plant Quarantine (Regulation of Import into India) Order, 2003 and its Amendments]
WTO
회원국
2017.7.31.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 작성(잉여 식품의 회수 및 분배), 2017[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Recovery and distribution of surplus food) Regulations, 2017]
식료품
WTO
회원국
2017.8.16.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식품제품 표준 및 식품 첨가물) 개정 규정, 2017[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Food Products Standards and Food Additiv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식품 첨가물
WTO
회원국
2017.12.4.
식품 안전 및 표준 초안 (식품 제품 표준 및 식품 첨가물) 개정 규정[Draft Food Safety and Standards (Food Products Standards and Food Additives) Amendment Regulations, 2017]
철분 강화 소금
자료원: WTO(http://i-tip.wto.org/goods/Forms/TableView.aspx?mode=modify&action=search)
ㅇ 국영 무역기업(State Trading Enterprises): 지난 5년간 국영기업의 수입에 대한 장벽은 없었음.
ㅇ 수입쿼터 및 관세율할당: 2017년 수입에 대한 수량규제가 시행된 바 없음.
□ 시사점
ㅇ 타국의 수입규제 조치품목에 주목할 필요 있음.
- 2017년 한국 제품은 반덤핑관세 부과 건수는 8건으로써 2016년 5건에 비해 증가했음. 반면 세이프가드 조치는 2016년 알루미늄품목(Unwrought Aluminum)에 200일 동안 부과된 건 이후로 2017년에는 시행된 바 없음.
- CBEC에 따르면, 인도는 중국제품에 42건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의 해당 품목에 대해서 한국제품이 인도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 그러나 동 품목에 대한 다른 국가의 수입량이 증가하면 해당 국가에 대해서도 반덤핑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음.
- 인도 정부는 주로 위생 및 식물검역, 기술 장벽, 제품 품질기준, 기술 규정, 검역 절차와 인증서 등으로 무역 규제를 가하고 있음.
ㅇ 대한국 수입규제 조치는 한동안 이어질 가능성
- CEPA 재개정 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나 양국 간 무역수지 불균형이 어이지는 동안은 한동안 인도의 대한국 수입규제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이에 인도에 관심있는 한국기업들은 수입규제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 2018년 부과 예정 혹은 가능성이 높은 품목은 다음과 같음.
품목명
대상국
단계
폴리 부타디엔 고무 또는 PBR(Polybutadiene Rubber or PBR)
한국, 러시아, 남아프리카, 이란
최종결정: 2017.12.11.
디옥틸 프탈레이트(DOP,Dioctyl Phthalate)
대만, 한국
공청회: 2017.12.11.
톨루엔 디 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중국, 일본, 한국
공청회: 2017.9.26.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기고] 일본에서 벤처창업 - 초기투자를 통해 겪는 사례와 생각 (0) 2017.12.26 美 상무부, 한국산 합성단섬유에 대한 예비 덤핑혐의 긍정 판정 (0) 2017.12.26 다시 한번 돌아보는 콜롬비아 통상 환경 (0) 2017.12.26 EU 신관세법 주요 내용과 시사점 (0) 2017.12.26 한국 음식점, 우크라이나에서는 어떨까? (0) 2017.12.26 베트남 신 라벨링 규정 유의사항 (0) 2017.12.26 중국 '무인판매'시대 활짝 (0) 201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