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상무부, 한국산 합성단섬유에 대한 예비 덤핑혐의 긍정 판정World Wide 2017. 12. 26. 14:20반응형
美 상무부, 한국산 합성단섬유에 대한 예비 덤핑혐의 긍정 판정
2017-12-26 Charlie Chung 미국 워싱톤무역관- 미 상무부, 우리 기업들에 0.00~45.33% 덤핑마진 주장 -
- 2018년 5월 10일 최종 덤핑혐의 조사 결과 발표 예정 -
□ 미 상무부, 한국산 합성단섬유에 대한 덤핑혐의 예비 긍정 판정 발표
ㅇ 미 상무부는 12월 19일 한국·중국·인도·대만산 합성단섬유(fine-denier polyester staple fiber)에 대한 덤핑혐의 예비 긍정 판정을 발표함.
-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31일 DAK Americas, Nan Ya Plastics, Auriga Polymers의 제소로 인해 6월 20일 착수됐음.
- 해당 제품의 HS Code는 5503.20.0025이며, 카드(card)·코움(comb) 방적준비 처리나 예비개섬(pre-opening)되지 않은 합성단섬유(fine-denier polyester staple fiber) 중 코팅여부와 상관없이(coated or uncoated) 직경 3.3데시텍스 미만의 제품이 이번 조사 대상임.
- 또한 HS Code 5503.20.0045, 5503.20.0065, 5503.20.0015에 해당하는 제품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됨.
□ 한국산 합성단섬유에 덤핑마진 0~45.23% 주장
ㅇ 상무부는 우리 기업 중 도레이케미칼에는 0%의 덤핑마진을 주장했으나, 다운나라와 휴비스에는 45.23%, 나머지 기업들에는30.15%의 덤핑 마진을 주장함.
- 이번 판정으로 우리 기업들은 상무부 주장 덤핑마진에 해당하는 현금 보증금을 미 관세국경보호청에 예치해야 함.
상무부 주장 덤핑 마진율
연번
국명
상무부 주장(%)
1
한국
0.00~45.23
2
중국
63.26~181.46
3
인도
2.66~21.43
4
대만
0.00~48.86
자료원: 미 상무부
□ 향후 일정
ㅇ 상무부는 2018년 5월 10일까지 최종 덤핑혐의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임.
- 최종 덤핑혐의 또한 긍정 판정이 내려지면 미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산업피해 여부 최종 판정을 2018년 6월 25일까지 발표할 예정임.
- 최종 산업피해 여부 또한 긍정 판정이 나오면, 상무부는 2018년 7월 2일 반덤핑 관세 부과 명령을 발표할 예정임.
□ 미국의 합성단섬유 수입 현황
ㅇ 2016년 미국의 대한 합성단섬유 수입량 5위
- HS Code 5503.20.0025 기준으로 지난해 한국의 대미 합성단섬유 수출량은 1058만 달러로 수입시장 내 6.57%의 비중을 차지하며 점유율 5위를 기록함.
- 2015년과 2016년 사이 미국의 한국산 제품 수입량은 22.10% 감소했음.
- 반면 이번 조사 대상국 중 하나인 중국의 경우 2016년 대미 수출량 7900만 달러를 기록하고, 미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으며 2015년 대비 수출량이 29.35% 증가했음.
- 따라서 이번 조사대상국 중 한국의 대미 수출량은 비교적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음.
미국 합성단섬유 수입현황(HS Code 5503.20.0025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
총계
160.18
174.22
161.09
100.00
100.00
100.00
-7.54
1
중국
50.25
61.39
79.41
31.37
35.24
49.30
29.35
2
독일
27.79
26.21
18.65
17.35
15.05
11.58
-28.85
3
인도
15.79
17.13
14.74
9.86
9.83
9.15
-13.95
4
베트남
10.73
12.28
12.41
6.70
7.05
7.71
1.09
5
한국
11.36
13.58
10.58
7.09
7.79
6.57
-22.10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시사점
ㅇ 이번 조사대상국 중 한국의 합성단섬유 대미 수출량은 비교적 많지 않음. 추후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면 중국이나 인도와 같은 국가들보다 피해가 적을 수 있음.
ㅇ 그러나 유사제품에 대한 미 상무부의 조사가 이어지고 있는 바, 폴리에스터 합성단섬유를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은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 미 상무부는 한국산 저융점 합성단섬유(low-melt polyester staple fiber)에 대한 반덤핑 조사도 진행하고 있고, 한국은 2016년 미국 저융점 합성단섬유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음.
- 저융점 합성단섬유 예비 덤핑혐의 판정 결과는 2018년 1월 23일 발표될 예정이며, 해당 판정 결과와 추후 ITC의 최종 산업피해 여부 조사 결과에 따라 관세가 부과될 예정임.
- 합성단섬유에 이어 저융점 합성단섬유에 대한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면 폴리에스터 합성단섬유를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에 적지 않은 피해가 예상됨.
- 또한 미국은 반덤핑 조사대상 외국업체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미국 제소 측 업체가 제공한 불리한 정보를 판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
* Adverse Fact Available(AFA): 조사대상 수출기업이 정보 제공 요구에 최선을 다해 협조하지 않을 경우, 높은 덤핑마진 산정
ㅇ 따라서 해당 품목을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은 조사 결과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대응책을 수립해나가야 할 것임.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기고] 한국과 프랑스의 인공지능과 미래 (0) 2017.12.26 [전문가 기고] 케냐 프로젝트 현장을 감독하며 느낀 몇 가지 (0) 2017.12.26 [전문가 기고] 일본에서 벤처창업 - 초기투자를 통해 겪는 사례와 생각 (0) 2017.12.26 다시 한번 돌아보는 콜롬비아 통상 환경 (0) 2017.12.26 인도 수입규제제도와 현황 (0) 2017.12.26 EU 신관세법 주요 내용과 시사점 (0) 2017.12.26 한국 음식점, 우크라이나에서는 어떨까? (0) 201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