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방글라데시 인프라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2. 26. 20:27반응형
[유망] 방글라데시 인프라 시장동향
2017-12-26 장재호 방글라데시 다카무역관10년간 연평균 6%대 고성장에도 추가 성장을 위한 인프라 부족 -
- 정부 및 국제기구의 대규모 투자로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 중 -□ 시장 현황
ㅇ 상품명 및 HS Code
- 인프라 관련 품목으로 건설기계류, HS Code 84류 해당
ㅇ 선정 사유- 방글라데시는 최근 5년간 6% 이상의 GDP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만성적인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경제 성장 가속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 2016년 방글라데시 1인당 GDP는 1,358달러로 서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음. 방글라데시 정부는 2020년까지 경제성장률 8% 달성을 목표로 정책 추진 중
- 8%대 경제 성장을 위해 방글라데시 정부는 GDP 대비 인프라 투자 비중을 29%에서 35%로 높여야 하는 상황- 최근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며 각종 기계류 수입이 활발함. 국가별로는 일본·인도·중국 기계가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신규 기계 이외에도 중고기계 수요도 많아 다양한 방법의 수출 가능
□ 시장동향
ㅇ 시장규모
- 방글라데시 건설기계류 수출규모를 살펴보면 1억3870만8000달러(2017년 12월 기준/ HS CODE 84류)로 전년대비 12% 증가한 수치
- 방글라데시 건설기계류 수입규모를 살펴보면 49만7000달러(2017년 12월 기준/ HS CODE 84류)로 전년대비 168% 증가한 수치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일본 스미토모, 인도 Tafe사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 방글라데시 시장에 외국기업이 진출하는 형태는 상사가 진출해 있는 경우(ex. 일본 스미토모 상사가 스미토모 건설기계 판매지점 역할)를 제외하고는 현지에 대리상을 두어 관리하고 있으며, 자체로 AS 가능한 인력 및 설비 보유 여부가 중요한 요소
□ 유통구조
ㅇ 관세율, 수입규제 및 유통구조
- HS Code 84류 중 대표적인 절삭기의 경우 최종 세율인 TTI(Total Tax Incidence)가 26.27% 비교적 낮게 형성돼 있음.
- 중고기계류에 대한 별도 제한 정책은 존재하지 않으며, 중고기계류는 가용기간이 10년 이상 남은 경우(발전기의 경우 5년) 수입이 가능
□ 시사점
ㅇ 방글라데시에서 다양한 인프라 분야의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어, 기계 및 기자재 납품이 가능한 우리 기업의 경우 프로젝트 동향 파악을 통해 수주기업에 납품하는 사업모델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 국제기구 프로젝트 이외의 일본·중국의 유상원조가 투입되는 프로젝트에도 기계 및 기자재는 별도 납품가능 국가 제한을 두고 있지 않아 적극적인 시장정보 파악 필요
- 현지 중고기계 수요도 많아 중고기계 수출도 고려해볼 만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미 최대의 식품전시회 Fancy Food Show 참관기 (0) 2018.01.25 조기교육 열풍인 중국, 장난감도 스마트해진다 (0) 2018.01.24 中 선전, 국경 출입소 정보 정리 (0) 2018.01.07 멕시코 농축산업 시장 현황 (0) 2017.12.26 [전문가 기고] 일본의 민간여객기 개발동향 (0) 2017.12.26 [전문가 기고] 한국과 프랑스의 인공지능과 미래 (0) 2017.12.26 [전문가 기고] 케냐 프로젝트 현장을 감독하며 느낀 몇 가지 (0) 201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