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리핀, 남성용 면도기·헤어스타일링 제품이 잘 팔린다World Wide 2017. 1. 17. 17:19반응형
필리핀, 남성용 면도기·헤어스타일링 제품이 잘 팔린다
2017-01-17 현성룡필리핀마닐라무역관- 필리핀 개인위생용품 시장 동향 및 전망 -
□ 필리핀 개인위생용품 시장 동향
ㅇ 개인위생용품 판매 현황
- 2016년 기준 개인위생용품 판매는 총 1923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6.8% 증가
- 제모기(Body Shavers)가 986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제품군 중 가장 높은 매출 및 증가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헤어케어용품이 800만 달러를 기록함.- 2015년까지 하락세를 보이던 구강케어용품은 2016년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임.
최근 4년간 필리핀 개인위생용품 판매 및 전년대비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2013
2014
2015
2016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제모기
7.56
9.0
8.21
8.5
9.01
9.8
9.86
9.4
전동페이셜클렌저
-
-
-
-
-
-
-
-
헤어케어용품
7.02
3.8
7.27
3.6
7.67
5.5
8.01
4.4
구강케어용품
1.42
-5.1
1.35
-4.8
1.33
-1.6
1.37
2.7
- 배터리 칫솔
0.30
-14.2
0.26
-15.2
0.26
0.8
0.26
1.6
- 전동 칫솔
1.12
-2.1
1.10
-2.0
1.07
-2.2
1.10
2.8
- 기타
-
-
-
-
-
-
-
-
기타 개인위생용품
-
-
-
-
-
-
-
-
합계
16.00
5.3
16.83
5.2
18.01
7.0
19.23
6.8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PSA), 유로모니터
ㅇ 제모기, 헤어케어용품 상세분류
- 제모기 중 가장 판매가 많이 되는 품목은 남성용 면도기로, 79.1% 점유
- 그 중 수동면도기의 점유율이 61.2%, 자동면도기는 17.9%의 점유율을 보임.
- 헤어케어용품에서는 드라이어기가 약 7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헤어스타일링용(젤, 스프레이 등)이 23.5%, 헤어·수염 다듬기용(제모용 크림 등)이 7.5% 점유율 기록제모기 제품별 점유율
(단위: %)
2011
2012
2013
2014
2015
남성용면도기
76.1
75.6
77.7
78.8
79.1
- 수동
58.6
58.0
60.0
61.0
61.2
- 자동
17.5
17.6
17.7
17.8
17.9
여성용면도기
13.5
12.6
11.5
11.0
10.7
보디 제모기
10.4
11.8
10.8
10.2
10.2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PSA), 유로모니터
헤어케어용품 제품별 점유율
(단위: %)
2011
2012
2013
2014
2015
드라이어기
70.3
70.0
70.0
69.5
69.0
헤어스타일링용
21.5
22.0
22.5
23.0
23.5
헤어·수염 다듬기용
8.2
8.0
7.5
7.5
7.5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PSA), 유로모니터
□ 개인위생용품 최신 경향
ㅇ 3차 산업 국가에 진입
- 최근 5년간 중국과 더불어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달성하면서 중산층 소비자들의 패션 경향이 서양식에 물들기 시작함.
- 비즈니스용역서비스(BPO) 등 서비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사무직이 증가하면서, 사무실용 복장과 외모관리에 신경을 쓰는 필리핀 소비자 증가
ㅇ 가처분 소득 증가로 인한 비필수제품에 대한 구매력 증가
- 가처분 소득 증가로 인해 이전에는 비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던 제품에 지출을 하는 필리핀 소비자 수가 증가
- 또한, 필리핀의 낮은 물가상승률(최근 2년 동안 연평균 1~2% 수준)로 인해 제품 가격이 안정되면서 개인위생용품 구매를 용이하게 함.ㅇ 제모기 동향
- 이발소에서 구매하는 수요와 필리핀 남성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동면도기를 선호하는 이유로, 수동면도기 시장은 점유율이 높고 꾸준히 성장하는 편
- 여성용 제모기 및 보디(Body) 제모기 시장은 점차 판매가 축소되거나 정체돼 있음.ㅇ 헤어케어용품 동향
- 헤어케어용품은 대량 판매로 인해 개인위생용품 시장의 55% 점유율을 차지
- 특히 헤어스타일링용 제품과 드라이기는 여성 소비자가 주로 사용하는 제품인데, 필리핀 여성 소비자의 사회진출이 늘어날수록 수요가 증가□ 현지 인기 개인위생용품
ㅇ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필리핀 개인위생용품 시장
- 이 시장에서 절대강자에 속하는 Philips Electronics & Lighting Inc는 남성용 면도기의 높은 점유율에 힘입어, 2015년 기준 전체 시장의 38.6%의 점유율 기록
- 그 외 가정용 전자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Northern Islands Co Inc(9.4%), 글로벌기업인 Procter & Gamble Philippines Inc(3.3%) 등이 일정 수준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기타 브랜드의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는 등 Philips Electronics & Lighting Inc가 장악한 시장을 제외하고는 제품 침투가 가능한 시장으로 알려져 있음.ㅇ 인기 브랜드 제품
자료원: 각 기업 홈페이지(http://www.philips.com.ph/, http://3-d.com.ph/, http://www.pg.com/en_PH/)□ 향후 개인위생용품 시장 전망
ㅇ 향후 5년간 5% 이상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제모기 시장은 연평균 8~9%의 증가를 기록하면서 필리핀 개인위생용품 시장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남을 것이라는 전망- 그 외 용품은 판매가 약간 감소하거나 소폭 증가를 반복할 것으로 예상
필리핀 개인위생용품 판매 전망(단위: 백만 달러, %)
2017
2018
2019
2020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제모기
10.65
8.0
11.56
8.5
12.60
9.0
13.76
9.2
전동페이셜클렌저
-
-
-
-
-
-
-
-
헤어케어용품
8.19
2.3
8.35
2.0
8.50
1.8
8.64
1.6
구강케어용품
1.35
-1.0
1.35
0.0
1.36
0.9
1.38
1.2
- 배터리 칫솔
0.26
0.0
0.26
0.0
0.27
1.5
0.27
0.0
- 전동 칫솔
1.10
-1.1
1.10
0.0
1.10
0.9
1.11
1.3
- 기타
-
-
-
-
-
-
-
-
기타 개인위생용품
-
-
-
-
-
-
-
-
합계
19.23
5.0
20.19
5.3
22.46
5.7
23.78
5.8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PSA), 유로모니터
□ 시사점
ㅇ 개인위생 서비스 산업 발전으로 인해 대량 공급 가능한 시장
- 필리핀 서비스 산업이 매년 10% 이상 성장하면서 개인위생 서비스 산업도 동반 발전하고 있음.
-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개인위생관리를 대행해주고 있으며, Spa, Salon, 이발소에서 필요한 개인위생용품은 공급자만 확보된다면 대규모 공급이 가능함.ㅇ 현지 기업과의 협업 중요
- 개인위생용품은 필리핀 식약청(FDA)을 통해 수입허가를 받은 기업만 공급이 가능하므로, 관련 허가를 받은 기업 리스트 확보가 중요함.
ㅇ 한국제품의 가능성?
- 한국 상품전을 통해 국산제품의 가능성은 충분히 확인됨.
- 남성용 면도기를 제외하고, 타 제품의 독·과점 기업이 존재하지 않은 필리핀에서 가격·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경쟁한다면 충분히 가능성 있는 시장임.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레이시아, 우기에도 수도권 단수 등 상수도난 심각 (0) 2017.01.17 중국 기능성 식품시장, 성장 잠재력 크다 (0) 2017.01.17 대만, 노동법 개정안 전면 시행 (0) 2017.01.17 中 고령화시대에 성인용 기저귀시장 고속 성장 (0) 2017.01.16 식을 줄 모르는 호주 패스트 패션시장 (0) 2017.01.16 美 트럼프 행정부, 강력한 지재권 보호정책 도입 전망 (0) 2017.01.16 프랑스, 2017년 1월 1일부터 달라지는 것들 (0) 201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