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만, 노동법 개정안 전면 시행
    World Wide 2017. 1. 17. 17:19
    반응형
    대만, 노동법 개정안 전면 시행
    2017-01-17 박지현대만타이베이무역관

    - 전면적으로 사실상 주5일 근무제 시행 -

    - 개정안 해석 놓고 논란 일파만파 -

    - 위반 시 처벌규정 강화…우리 기업 관련사항 숙지해야 -

     

     

    □ 개요

     

      ㅇ 입법원은 지난해 12월 6일 노동법 개정안을 최종 통과시키면서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실시에 들어감.

        -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그동안 법적으로 7일 중 1일을 공휴일로 지정해왔던 것을 사실상 주5일 근무제도(一例一休일례일휴)로 변경해 실시하는 것

        - 또한, 연차에 따른 유급휴가 일수 조정국정 공휴일 7일 삭제휴게시간 보장 등 내용을 수정

        - 개정안은 '16년 12월 23일부터 전면 실시하나, 법정 공휴일 개정은 올 1월 1일부터휴식시간 11시간 보장(안)은 노동부가 향후 시행일을 별도 공고할 예정

        - 노동법 개정안 전문보기(영문) URL: http://law.moj.gov.tw/Eng/LawClass/LawContent.aspx?PCODE=N0030001


      ㅇ (배경근로자의 휴일을 법적으로 보장하기 위함.

        - 노동부는 기업의 인력 운용에 있어 실용적이며 탄력 있게 운영하기 위한 취지라고 밝힘.

     

    □ 주요 변경사항

     

      ㅇ 법적으로 1(7)간 2일을 휴일로 지정

        - 1주일 가운데 1일을 법정 휴일로 지정했던 것과 달리, 개정 후 2일의 휴일을 보장, 실질적으로 주 5일 근무를 시행하는 것으로 해석 

        - 이 중 1(例假)은 고용주가 마음대로 노동자에게 초과근무를 요구할 수 없으나, 별도의 1(休日)에는 고용주가 추가근무수당을 별도로 제공하고 근무를 요청할 수 있음.

     

      ㅇ 개정 법안 내용(노동법 제36

        - (현행근로자는 7일간의 근로시간 중 적어도 1일의 휴식(regular day off)을 한다이는 공휴일(例假)이다.

        - (개정 후근로자는 7일간의 근로시간 중 2일의 휴식을 한다이 중 1일은 공휴일(例日), 1일은 비번(休日)으로 지정한다.

     

    개정 후 법정 휴일 근무 시 초과 근무수당

     

    공휴일(例日)

    비번(休日, Day-off)

    휴일근로 수당

    통상 시급의 2

    2시간 이내평일 시급의 1/3 추가 지급

    추가 2시간 근무평일 시급의 2/3 추가 지급

    4시간~8시간 이내: 8시간으로 계산

    8시간~12시간 이내: 12시간으로 계산

    대체휴가

    월 36,000신타이완달러를 받는 노동자의 경우 시급이 150신타이완달러라면(36.000NT$/30/8시간)

     휴일에 1시간을 근무할 경우 150*1.33=199.5NT$/h, 3시간은 150*1.67=249NT$/h, 5시간은 249*8h=1,992NT$,

    9시간은 249*12h=2988NT$로 추가 근무수당 지급

    2: (초과근무수당 계산기 URL) http://labweb.mol.gov.tw/

    자료원대만 노동부,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ㅇ 근속연수에 따른 연차휴가 부여일 수 조정

        - 이전과 달리 6개월 이상 1년 미만 근로자에 3일의 유급휴가를 지급

        - 2년 이상~5년 미만 근로자의 유급휴가는 상향조정

        - 노동부에 따르면, 이는 대만 기업 내 절반 이상의 근로자가 5년 미만 근로하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

        - 또한,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모두 소진하지 못했을 경우 고용자는 해당 임금을 지급해야 함.

     

      ㅇ 국정 공휴일삭제

        - (현행공무원을 제외한 노동자는 이번에 삭제한 국정 공휴일에 휴무

        - (개정 후공무원과 같이 7일의 국정 공휴일에 정상근무

         * 양력 1월 1일 다음 날청년절(3월 29), 교사절(9월 28), 광복절(10월 25), 장개석탄생일(10월 31), 국부탄생일(11월 12), 제헌절(12월 25)

     

    근로기본법 개정 전후 변경내용 비교

    항목

    개정 전

    개정 후

    연차 유급휴가

    · 1년 미만없음

    · 1년 이상~3년 미만: 7

    · 3년 이상~5년 미만: 10

    · 5년 이상~10년 미만: 14

    · 10년 이상매년 1일 추가최대 30

    · 남은 휴가는 고용주가 자율적으로 처리

    · 6개월 이상~1년 미만: 3

    · 1년 이상~2년 미만: 7

    · 2년 이상~3년 미만: 10

    · 3년 이상~5년 미만: 14

    · 5년 이상~10년 미만: 15

    · 10년 이상매년 1일 추가최대 30

    · 남은 휴가는 임금으로 지급

    국정 공휴일

    1년 총 19

    1년 총 12

    공무원을 제외한 노동자는 노동절(5월 1추가 휴무

    자료원: 대만 노동부

     

      ㅇ 교대 근무 시 최소 11시간의 휴식시간 의무화

        이전은 휴식시간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아 통상 8시간을 휴식시간으로 가짐.

        - 개정 후 휴식시간 의무 부여로 근로자의 권익 보장 효과

        노동부에 따르면, 실시 기간은 충격이 비교적 큰 산업에 해당하는 기업과 조정 후 행정원이 정식 실시날짜를 정할 것이라고 밝힘.

     

    □ 대만 내 상황 및 영향

     

      ㅇ 여객운송업외식 프랜차이즈영화관물류업계 등 운영시간 축소하거나 가격 조정 시행

        여객 운송기업 궈광커윈(國光客運)은 1월 4일부터 다수의 버스노선 운행을 축소구정 이후에는 운임 조정(5~8%) 예정이라고 발표

        - 지역 여객 운수사는 인력 배치 어려움으로 잇따라 배차 간격·운행횟수 축소일부 기업은 향후 신규 채용 인력의 월급 책정을 하향 조정한다는 입장

        외식업체는 1월 1일부터 소비자가격 줄줄이 인상일부는 일요일에 휴업하거나 영업시간을 축소할 예정

        대만 최대 종합병원인 대만대학 부설병원(國立臺灣大學醫學院附設醫院)은 올 4월부터 토요일에 외래진료를 하지 않는다는 방침. 이에 따라 기타 대형병원도 줄줄이 진료시간 변경 

        - 우체국은 기존의 지정 영업점에서 토요일 영업을 조정반일 영업점은 아예 휴업으로전일 영업점은 4시까지 영업할 방침 

     

      ㅇ (정부차이잉원 총통 역사상 가장 고통스러운 일이라며 개혁은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입장

        또한 현 시점은 정책의 시작단계일 뿐 수치로만 평가하지 말아달라개정안 실시 후 산업별 요구나 맞닥뜨린 어려움을 파악할 것이며협조·대응하며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1월 3일 민진당 회의에서 밝힘.

        린취앤 행정원장 물가상승은 필연적인 결과전면적 물가 상승이 아니라 택배·교통운송업 등 노동 밀집산업에 한해 부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물가 상승 역시 근로자에게 추가수당이나 실질적 휴가 등 궁극적으로는 이득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입장

        펑준난(彭準南중앙은행장 현재 대만 물가는 낮은 수준이며 안정적인 상태개정안 실시 후 올해 예상 물가상승률 중앙치(1.06%)에 0.2~0.4%의 상승을 불러올 것이며, 이는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 내 원만한 상승세 보일 것이라고 밝힘.

        - 주저민(朱澤民주계총처(통계청 격처장 자체조사 결과 개정안 실시 후 소비자 물가지수(CPI) 소폭(0.3%) 상승하는 결과 불러올 것이라고 분석

     

      ㅇ (언론준비 없는 '밀어붙이기식 정책'이라며 비판적인 의견 다수

        기업은 비용 삭감 위해 규모 축소하고, 근로자는 제한적인 추가근무로 실질월급 감소하는 등 승리자 없는 조치가 될 공산이 큼.

        또 '진흙으로 만든 보살이 강을 건너는 격'으로 개정안의 허점이 너무 많다고 비판(자유시보, 1월 4일 자, ‘일례일휴 이기는 자 없는 개정안<一例一休 沒有贏家的修法>’)

        - 각 산업 특성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정부 정책은 단지 진보에만 초점이 맞춰 있을 뿐 면밀한 계획 없는 급박한 처사

        - 대만 정부의 최대 문제점은 소수의 유명 사회단체나 학자의 목소리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는 것

        - 그들이 노동권인권환경보호건강 등 가치를 외치면 정부가 바로 무장해제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자유시보, 1월 5일 자, ‘유연성 없는 일례일휴휴가 벌고 물가로 갚다<一例一休沒彈性 賺了休假賠了物價>’)

     

      ㅇ (기업기업활동에 도움되지 않는 정책이라며 맹비난하는 편이나, 일각에서는 결과를 수긍하고 산업 구조조정 위한 발전 계기로 삼자는 의견도 존재

        쉬청시옹(許勝雄전국공업총회 회장 원가 상승 → 서비스 악화로 이은 폐업 → 사회 부담 가중 등 3가지 부작용(三輸)을 안은 '썩은 사과(爛蘋果;Rotten Apple) 정책'이자 잔혹한 정책이라며 맹비난

        린보펑(林伯豐공상협진회(工商協進會회장 너무 급한 조치였다며 이번 개정으로 인해 기업의 고용 비용이 5~8% 상승해 물가 상승은 필연적이다는 입장

        라이수신(賴樹鑫중화구매공급체인관리협회 CEO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기업은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던 상황누군가 앞장서 가격을 인상할 엄두 못 내던 차에, 이번 개정안은 기업에게 가격 인상에 좋은 구실로 작용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소비자에게 고통스러운 조치 될 것

        산업 구조가 필요한 시점에서 이번을 발판으로 삼아, 더욱 효율적이고 고부가가치 상품·서비스를 개발하는 계기로 삼자고 덧붙임.

      

      ㅇ 개정안에 대한 정확한 설명 부족해 논란이 분분한 상황

        취업정보사이트 1111 인력은행(1111人力銀行)이 실시한 조사 결과, 기업 인사팀 응답자 중 77%가 새로운 근로법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대답

        이는 근무시간 및 휴가에 대한 복잡한 공식 때문이라는 분석

        중화경제연구원(대만 주요 싱크탱크)이 실시한 기업반응과 대응상황 조사에 제조업·비제조업을 막론하고 응답 기업 모두 곤혹스럽다고 응답했다며, 이는 담당기관에 세부사항을 문의해도 정확한 답변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전함.

     

    자료원: 상업주간


    □ 전망 및 시사점

     

      ㅇ 전문직 및 생산·서비스직 등 인력난 고심 깊어질 것으로 예상

        회계사간호사화물차량 운전자 등 면허가 필요한 전문직종의 경우 연휴나 성수기에 대비인력 채용 필요

        - 이에 따라 정부기관의 경우 필요인력을 추가 채용해 충원할 예정

        한편, 사기업은 추가근무수당을 지급할 필요가 없는 시간제 아르바이트나 파견직의 고용을 늘린다는 설도 존재

        또한, 청장년층 유입이 없는 버스·화물업계는 원래 심한 인력난이 더 심화할 것이라는 입장

     

      ㅇ 인력 채용 확대로 기업의 채용비용이 늘면 제품가격 상승이용요금 증가소비자물가 상승 등으로 이어져

        이에 따른 부담은 피고용인인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됨.

        - 또 1월 1일부터 기본임금 인상이 시행되면서 기업의 채용비용 가중에 영향 미칠 것으로 전망

        - 최저 월급(5% 인상): (이전) 20,008신타이완달러(약 70만 원→ (변경 후) 21,009신타이완달러(74만 원)

        - 최저 시급(10.8% 인상): (이전) 120신타이완달러(4200→ (변경 후) 133신타이완달러(4700)

     

      ㅇ 이번 개정안은 노동법 위반 시 처벌규정을 강화함우리 기업은 복잡한 노동법 개정안으로 분쟁 등의 피해가 없도록 전문기관과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노동부는 1월 4일 개정안 실시에 대해 2017년 반 년간 적응 기간(調適期)으로 하고, 3분기부터 시행점검 나설 것이라고 발표

        처벌규정은 위반 시 100만 신타이완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고 사업 규모위반인수위반 경위 등을 고려해 추가 50%의 벌금을 물려 가중처벌할 방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