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비아, 무역사기 이메일 주의!World Wide 2017. 6. 5. 20:12반응형
리비아, 무역사기 이메일 주의!
2017-06-05 김지혜 이집트 카이로무역관- 메일 송신자는 리비아 외교부를 사칭한 Moha Hassan Abdurrahman -
- 리비아와의 상거래는 국가가 안정된 후에 하는 것이 바람직 -
□ 정보 내용
ㅇ 최근 들어 우리 기업들이 아래와 같은 리비아 비즈니스 오퍼 메일에 대해 내용 진위를 확인 요청하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음.
메일 사례
From: "Moha Hassan Abdurrahman"<moha.hassanabdurrahman@outlook.com>
To: ************
Sent: 2017-05-17 (수) 10:44:07
Subject: Cooperation
As-salamu alaykum:
(중략)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the departments that is granted the authority to lobby, screen, verify and present credible supplier/contractors who can do project for the Libyan government as construction and rebuilding is going on after the devastation from the war in 2011:individuals, small businesses, companies and organisations.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system to offer political and public policy advice to clients. Example: companies, trade associations, charities, profit organisations and overseas governments. Our aim within Economy Environment is to manage the major growth pressures within Libya in a tough investment process.
(중략)
I wait to hear from you.
Regards,
Moha Hassan Abdurrahma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ddress :9 Mustafa Al-Tarjouman street,
Nofleen area,Tripoli, Libya
Post Box 3179
satalite +277-(4467)-2598
ㅇ 이메일을 확인해 본 결과 사기성 메일임.
- 메일의 송신자가 천편일률적으로 리비아 외교부(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소속 Mr. Moha Hassan Abdurrahman으로 돼 있으나,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한 결과 외교부 내 존재하지 않는 인물로 밝혀짐.
- 외교부 주소도 부정확함.
- 위성전화를 사용하지 않는데도 언급하고 있음.
□ 시사점
ㅇ 리비아는 카다피 정권 붕괴 이후 민주화 과정을 거치다가 2014년 7월 이슬람계와 비이슬람계(세속주의) 세력 민병대 간 무력 충돌로 다시 정정 및 치안불안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 또한 석유 생산 급감,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국가 재정이 악화돼 국민생활에 필요한 일부 식료품, 의료품 등을 제외하고는 신용장 개설 및 외화 송금이 제한되고 있음.
ㅇ 리비아는 정상적인 비즈니스 활동이 이뤄지고 있지 않는 가운데, 이와 같은 사기성 메일이 향후에도 난발할 것으로 우려되는 바 우리 기업들의 경각심이 필요하며 현재로선 리비아와의 거래는 국가가 정된 후에 하기를 권고함.
ㅇ 참고로 리비아는 현재 여행금지국으로 지정돼 있으며 한국인이 리비아에 입국하기 위해서는 외교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나, 현재로선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됨(자세한 사항은 외교부에 문의 바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성장이 기대되는 재활용시장 (0) 2017.06.05 쿠웨이트 소비재시장 공략 위한 유통망 구축 시급 (0) 2017.06.05 폴란드, 중소∙영세기업 법인세율 15%로 인하 (0) 2017.06.05 2017 중국 미용박람회 참관기 (0) 2017.06.05 헬리콥터 전시회에서 본, 세계 최대 러시아 드론 (0) 2017.06.05 일본 스마트 커피 메이커 시장, 이제는 ‘올인원 전자동’ (0) 2017.06.05 3D 프린팅을 통한 맞춤형 의류·패션 제작 가속화 (0) 2017.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