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루-아시아 교역규모 5년 연속 증가World Wide 2017. 6. 8. 17:07반응형
페루-아시아 교역규모 5년 연속 증가
2017-06-08 김백진 페루 리마무역관- 한국, 페루 수입 대상국 12위, 대아시아 수입대상국 3위 -
- 페루 완성재 수입 부문에서 강세 -□ 페루-아시아 교역동향
ㅇ 리마 상공회의소(CCL) 무역센터(CCEX)의 발표에 따르면, 2017년 1/4분기 페루-아시아국가 간 교역규모는 76억46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14억700만 달러)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 5년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
ㅇ CCEX 대아시아 는 1분기 교역규모 증가의 주 요인으로 수출규모 증가를 지목
- 페루의 대아시아 수출규모는 지난 1분기 44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억4300만 달러가량 증가한 수준
- 특히 정광 수출이 큰 폭으로 성장했으며, 광물별 수출 증가율은 다음과 같음
· 아연(△ 131%), 철(△ 126%), 구리(△ 80%), 금(△ 58%)
□ 페루의 대아시아 수입 동향
ㅇ 페루의 대아시아 수입규모는 지난 5년간 감소세를 지속(1분기 기준). 올해 1분기 대아시아 수입액은 31억5600만 달러에 그쳤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3억3700만 달러) 감소한 수준
- 최근 수입 감소세에도 아시아 지역은 페루 주요 수입 지역권 2위에 자리하며 페루 총 수입의 27%를 차지함.
- 한편, 페루 주요 수입 지역권 1위 및 3위는 유럽연합 및 미국으로 각각 페루 총 수입의 30%, 18%를 점유
ㅇ CCEX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페루는 약 48개 의 아시아 국가로부터 제품을 수입한 것으로 집계됨.- 최대 수입대상국은 중국으로 페루의 대아시아 수입액의 64%(약 20억500만 달러)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1% 소폭 증가
- 2위 일본(7.2%, 2억2700만 달러), 3위 한국(6.5%, 2억500만 달러), 4위 인도(5.7%, 1억8100만 달러), 5위 태국(3.2%, 1억 달러)가 그 뒤를 이음.
- 지난 1분기 일본, 한국, 인도, 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 -20%, -57%, -20% 폭으로 감소
2017년 1분기 페루 대아시아 주요 수입국
자료원: Camtrade
ㅇ 이와 같은 대아시아 수입규모 감소세는 페루 총 수입액의 40%를 차지하는 자본재 및 건설 자재의 수입 감소에 기인함.
- 해당 부문의 수입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3%(3억7400만 달러) 감소했으며, 특히 산업 장비 품목의 수입규모가 2억6600만 달러에 그치며 가장 큰 폭으로 감소
- 한편, 산업장비 품목의 수입 감소는 전년 1분기 페루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2억2700만 달러 규모의 설탕 생산설비의 일시적 수입 증가로 인한 기저효과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제기됨.
ㅇ 반면, 1분기 중간재 부문(수출품 및 내수품의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원료 및 재화)의 수입액은 9억2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
ㅇ 1분기 완성재 부문 수입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하며 9억2700만 달러를 기록
- 해당 수입부문은 주로 페루 현지에서 생산되지 않는 완성품의 수입이 주를 이루며, 전자제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한국-페루 교역 동향
ㅇ 2011년 8월 1일 한국-페루 FTA 가 발효되며 양국 간 교역량이 꾸준히 증가
- 한국-페루 FTA 발효 이전인 2010년 대비 2016년 한국의 대페루 수출 및 수입액은 각각 2억1055만 달러(22.2%), 2억5545만 달러(24.5%)씩 증가
- 한국의 대표 10대 수출품목을 중심으로 대페루 수출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2014년 자동차 품목에 관세 혜택이 본격 적용되면서 해당 품목 역시 크게 성장
ㅇ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페루는 한국의 수출대상국 58위, 수입대상국 32위로 집계됨.
- 한편, 2017년 1분기 한국의 대페루 수출규모는 1억8781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5%(3348만 달러) 감소
- 이와 같은 수출규모 감소 현상은 올해 초 페루 북부를 강타한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홍수 피해가 경제성장률 둔화 및 소비시장 위축을 야기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 또한 브라질 건설엔지니어링 업체 Odebrecht사의 부패 스캔들로 인해 페루 정부가 추진 예정이던 각종 인프라사업이 중단되면서 화물자동차 및 건설 중장비의 수출에도 영향을 미침.
한국의 대페루 품목별 수출 실적(2016~2017)
2016년 1분기
순위
코드(MIT 4단위)
품목명
수출액(천 달러)
1
7411
승용차
70,110
2
2140
합성수지
18,668
3
7412
화물자동차
14,668
4
7131
공기조절기
10,707
5
7420
자동차부품
9,698
6
8121
무선전화기
8,583
7
2190
기타 석유화학제품
6,254
8
2289
기타 정밀화학원료
6,100
9
7251
건설중장비
5,280
10
7216
화학기계
4,652
총계
221,299
2017년 1분기
순위
코드
품목명
수출액(천 달러)
1
7411
승용차
71,610
2
7412
화물자동차
16,067
3
2140
합성수지
14,355
4
7420
자동차부품
8,446
5
2190
기타 석유화학제품
7,442
6
2289
기타 정밀화학원료
5,295
7
2410
시멘트
3,318
8
7251
건설중장비
3,286
9
8241
세탁기
3,259
10
6111
철강 및 비합금강형강
3,177
총계
187,818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페루관세청(SUNAT)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페루의 수입대상국 12위를 차지함(2017년 4월 기준).
- 한국은 페루의 완성재 수입 부문에 강세를 보이며, 지난 1분기 완성재 수입업체 상위 10위 중 네 자리를 석권.
- 순위 내 한국기업들은 현대자동차 페루 총판기업 Automotores Gildemeister Peru(2위), LG Electronics Peru(3위), Samsung Electronics Peru(4위), Kia Import Peru(10위)이며 주로 전자제품 및 자동차 전문업체임.
페루 완성재부문 수입 동향(2016~2017)
(단위: 천 달러, CIF, %)
순위
수입업체
2016년 1분기
2017년 1분기
증감률
1
Toyota del Perú
61,642
59,640
3.25
2
Automotores Gildemeister Perú
47,253
58,861
24.56
3
LG Electronics Perú
49,225
49,216
0.02
4
Samsung Electronics Perú
33,949
43,525
28.21
5
Saga Falabella
47,879
43,202
9.77
6
Maquinarias
45,218
41,156
8.98
7
Derco Perú
36,187
40,864
12.92
8
Tiendas por Departamento Ripley
35,241
40,173
13.99
9
Procter&Gamble Perú
23,463
34,560
47.29
10
Kia Import Perú
45,991
33,669
26.79
총계
2,130,991
2,084,453
2,23
자료원: SUNAT
□ 전망 및 시사점
ㅇ 페루의 대아시아 교역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페루 시장 내 아시아 업체 간의 경쟁 역시 심화될 것으로 보임.
- 특히, 페루의 아시아 최대 수입국인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지난 1분기 유일하게 수입이 증가한 수입대상국들로 페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 중에 있음.
- 해당 국가 업체들 및 페루 현지 업체들의 저가 공산품과의 경쟁을 고려해 한국제 상품의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음. 현재 칠레 시장 내 한국제 상품은 저가 브랜드에서 동남아시아·중국 상품에, 고가 브랜드에서 독일·미국·일본 상품에 밀리는 이른바 '샌드위치 포지션' 상태임.
- 이에 따라, 페루 시장 진출 시 우리 기업의 마케팅은 '가성비'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을 권장함. 많은 한국 제조업 기업이 가진 장점은 높은 기술력 대비 비교적 저렴한 가격을 꼽을 수 있기 때문에, 페루 바이어가 가격 인하를 요구하더라도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로 저가의 늪에 빠지지 않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ㅇ 아울러 2011년 한국-페루 FTA 체결 이후, 페루의 대한국 무역 흑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 페루 정부는 한국과의 교역을 더욱 확대할 전망
- 현 페루 정부는 2021년까지 5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동시에 약 470억 규모의 광산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음.
- 따라서 페루 내 화물 자동차 및 건설 중장비, 시멘트, 건설자재 등의 품목에 대한 수요가 지속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 관련 분야 한국 기업의 시장 진출 노력이 요구됨.
ㅇ 페루 내 전자제품 및 자동차 품목의 한국 브랜드 선호도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 관련 분야의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진출 전략이 요구됨.
- 페루 소비자들의 한국산 전자제품 선호도는 매우 높은 편임. 특히 TV, 휴대전화, 블루레이 품목에서 LG전자 및 삼성전자가 1, 2위를 나란히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함.
- 이러한 한국산 제품 이미지 상승으로 기타 한국제 전자제품에 대한 선호도 역시 상승해 삼성, LG와 같은 대기업 제품뿐만이 아닌 다양한 전자제품군에서 낙수효과가 일어나고 있음.
- 페루 내 승용차시장의 경우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가 입지를 강화하면서 기존 선두업체였던 도요타를 추월.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페루 최대 자동차 수입대상국으로 부상할 전망
- 이는 자동차부품 시장에 대한 확대가 전망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중고차 수입 제재가 시작된 지 4년이 지나 당시 중고차 대신 구입한 신규 차량들에 대한 수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리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임.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칠레에서 떠오르는 한국산 니트패브릭 (0) 2017.06.09 카타르 온라인 유통망 고속 성장. 간접진출이 유리 (0) 2017.06.08 [유망] 칠레 폴리우레탄 시장동향 (0) 2017.06.08 [유망] 말레이시아,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 (0) 2017.06.08 대형 건설프로젝트 많은 터키, 크레인 수요 지속 활기 (0) 2017.06.08 러시아 주택 대출금리 하락, 소비시장 활성화 신호탄 될까 (0) 2017.06.08 아르헨, 환경 관련 전시회 FITMA 2017 참관기 (0) 201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