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칠레 폴리우레탄 시장동향World Wide 2017. 6. 8. 18:10반응형
[유망] 칠레 폴리우레탄 시장동향
2017-06-08 조윤후 칠레 산티아고무역관- 우수한 품질 대비 높은 가격경쟁력으로 한국 제품 수요 급증 -
□ 시장규모 및 동향ㅇ 최근 칠레 에너지 자원부가 공공건물의 연간 에너지 사용을 20% 감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단열재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음.
ㅇ 이러한 영향으로 2014년 전년 대비 -8.74%로 크게 감소했던 폴리우레탄 수입시장 규모는 최근 3년 사이 감소 폭이 점차 줄어들면서 2016년 기준 -2.57%로 수입 수요가 소폭 늘어나는 양상을 보임.
최근 3년간 칠레 폴리우레탄 수입시장 규모 및 성장률(HS Code 3909.50 기준)
(단위: 만 달러, %)
2014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2,464
-8.74
2,365
-4.02
2,304
-2.57
자료원: Checkpoint, Euromonitor,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 칠레 폴리우레탄 수입 동향
최근 5년간 칠레 폴리우레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909.50 기준)
(단위: 만 달러)
순위
국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세계
2,594
2,700
2,464
2,365
2,304
1
브라질
534
642
636
791
518
2
미국
634
553
522
378
344
3
독일
412
150
125
208
220
4
스페인
164
174
204
153
214
5
이탈리아
412
303
239
162
178
6
대한민국
12
16
53
59
167
7
중국
33
50
76
44
108
8
호주
78
79
130
113
86
9
프랑스
93
118
68
87
70
10
영국
37
93
81
60
55
자료원: Checkpoint, Euromonitor,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순위는 2016년 기준)
ㅇ 2016년 기준 칠레의 세계 폴리우레탄 수입은 전년 대비 -2.57%로 브라질(-34.5%), 미국(-9.0%)과 같은 기존 주요 수입국들의 감소폭이 컸음. 반면, 한국(+183.1), 중국(+145.4%)과 같은 아시아 국가의 수입규모가 크게 증가함.
ㅇ 이러한 배경으로는 FTA로 인한 무관세 효과, 우수한 품질대비 높은 가격 경쟁력, 제품의 내구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됨.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최근 5년간 한국산 폴리우레탄 수입 현황(HS Code 3909.50 기준)
자료원: Checkpoint, Euromonitor,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ㅇ 2016년 기준 한국산 폴리우레탄 수입액은 167만 달러를 기록해 가장 큰 증가 폭을 나타냈는데, 이는 2012년의 12만 달러 대비 1310% 증가한 수치
ㅇ 한편, 한국산 폴리우레탄의 수입 시장 점유율은 2016년 7.3%로 6위를 기록하면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임.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2016년 기준 주요 시장점유 기업(HS Code 3909.50 기준)
기업명
시장 점유율
Henkel Chile Ltda.
16.38%
Synthesia Chile Spa.
10.52%
Sun Chemical S.A.
5.10%
Huber Chile S.A.
3.33%
A.P.V S.A.
2.39%
ㅇ 건축 설비 및 디자인에 관련한 기업들이 대부분 높은 시장점유율 가지고 있으나 칠레의 주요 산업인 광업과 관련한 일부 업체도 폴리우레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 주요 바이어 정보ㅇ Kubal Chile Poliuretanos
홈페이지
E-mail(대표)
info@kubal.cl
특징
- 2001년 진출, 칠레 내 1,500여 회의 작업 진행
- 지붕, 패널, 콘크리트 등 관련해 보호 및 방수에 강점이 있는 액체 폴리우레탄 수입·유통 기업
ㅇ MC Bautek Chile Spa.
홈페이지
E-mail(대표)
contacto@mc-bauchemie.cl
특징
- 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독일 기업, 칠레에는 1996년 진출
- 주로 건축 현장에서 코팅, 건설 기반 확립, 방수 등 작업 진행
- 한국산 액체 폴리우레탄 수입 경험 보유
ㅇ Cauchos Industriales S.A.
홈페이지
E-mail(대표)
clientes@cainsa.cl
특징
- 1988년 설립된 Tehmcorp Group의 계열사
- 광산업 현장의 부식 및 마모 방지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 개발
- 한국산 수입 경험 보유
ㅇ Industrias Celta Ltda.
홈페이지
Tel.(대표)
(56) 2-5-1233-0200
특징
- 칠레의 침대 및 침구류 제조 기업
- 2014년 기준 폴리우레탄 등 원자재의 한국산 수입 규모가 11% 차지
□ 시사점
ㅇ 현재 칠레에서 한국산 제품을 수입하는 바이어들에게 문의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이 다소 생소하지만 품질과 가격면에서 큰 만족을 하고 있고 향후 수입확대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함.
ㅇ 이러한 점에서 우리 기업들은 지속적인 칠레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노력과 적극적인 마케팅을 시행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칠레내 다양한 폴리우레탄 활용 수요와 친환경 수요를 고려한 제품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E 표준측량청, 전자제품 관련 신규 라벨링 및 규제 도입 (0) 2017.06.09 [유망] 칠레에서 떠오르는 한국산 니트패브릭 (0) 2017.06.09 카타르 온라인 유통망 고속 성장. 간접진출이 유리 (0) 2017.06.08 페루-아시아 교역규모 5년 연속 증가 (0) 2017.06.08 [유망] 말레이시아,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 (0) 2017.06.08 대형 건설프로젝트 많은 터키, 크레인 수요 지속 활기 (0) 2017.06.08 러시아 주택 대출금리 하락, 소비시장 활성화 신호탄 될까 (0) 201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