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칠레에서 떠오르는 한국산 니트패브릭World Wide 2017. 6. 9. 14:57반응형
[유망] 칠레에서 떠오르는 한국산 니트패브릭
2017-06-09 조윤후 칠레 산티아고무역관- 2014년부터 한국산 니트패브릭 무관세 적용 및 2016년 수입 급증 -
- 가격에 민감하나 최근 품질, 디자인, 기능성 원단에 대한 관심 증가 -
□ 시장규모 및 수입동향
ㅇ 칠레의 니트패브릭(HS Code 6005) 시장규모는 2016년 기준 761만8000달러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으나, 페루·스페인산 직물을 제외하고는 상위 10개국 수입이 전반적으로 증가함.
ㅇ 2016년 칠레 니트패브릭 수입시장에서 이탈리아(△477.3%), 멕시코(△455.7%), 한국(△270.5%)의 수입증가율이 두드러지며, 2012년 이후 부침을 거듭하던 대한국 수입규모가 다시 20만 달러를 상회하기 시작함.
ㅇ 특히 우수한 염색기술과 2014년부터 적용된 무관세 덕분에 한국산 '염색가공한 니트패브릭(HS Code 6005.32)'의 수입이 2014년 7만2000달러에서 2016년 23만1000달러로 약 219%의 높은 증가세를 보임.
니트패브릭(HS Code 6005) 수입시장 현황
(단위: 만 달러, %)
연번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세계
752.2
△3.0
784.1
△4.2
761.8
▽2.8
1
중국
364.0
▽2.4
368.6
△1.3
431.0
△16.9
2
이탈리아
7.4
▽89.3
14.0
△89.4
81.1
△477.3
3
페루
161.5
△106.4
114.8
▽29.0
76.0
▽33.8
4
포르투갈
42.8
▽3.7
70.0
△63.8
69.0
▽1.5
5
스페인
87.6
△8.9
141.2
△61.2
32.1
▽77.3
6
한국
8.5
▽26.4
6.4
▽25.4%
23.6
△270.5
7
독일
40.1
△125.8
33.7
▽16.0%
21.5
▽36.2
8
멕시코
4.8
△127.9
1.6
▽67.3%
8.7
△455.7
9
남아공
9.1
▽7.2
4.0
▽55.4%
7.5
△85.3
10
말레이시아
1.2
최초수입
2.8
△124.7%
2.6
▽7.3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현재 칠레의 일반관세율은 6%이나 한국산 니트패브릭(HS Code 6005) 제품은 한-칠레 FTA에 따라 2014년부터 무관세혜택이 적용됨.
ㅇ 현재 섬유에 대한 수입규제 및 별도의 특별 인증절차는 전무하며, 일반적인 통관절차를 통해 수입 가능
□ 경쟁동향
업체별 수입시장 점유율(2016년)
순위
업체명
수입액
시장점유율(%)
주요 수입국
1
Comercial Fadonel Spa.
759,933
10.0
페루
2
Industrias Celta Ltda.
627,511
8.2
중국, 한국, 스페인
3
Zoh Spa.
410,575
5.4
중국
4
Comercializadora MPC S.A.
234,372
3.0
중국, 페루, 캐나다
5
Agricola Cerrillos de Tamaya
205,286
2.7
한국, 미국
6
Importadora Di Lido Ltda.
202,889
2.7
중국, 인도, 페루
7
Exportadora Campillay Spa.
201,003
2.6
스페인
8
Cerosor S.A.
167,763
2.2
독일, 스페인, 중국
9
Coagra S.A.
155,668
2.0
브라질, 핀란드, 스페인
10
Euro Plant Chile S.A.
143,179
1.9
스페인, 이탈리아
자료원: Thomson Reuters Checkpoint,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ㅇ 현지 바이어 의견
- 직물 수입 시 가장 핵심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은 '가격'과 '신속한 배송(제작 및 운송 60일 내외 요망)'이나, 최근 '품질', '디자인' 및 '기능성 원단'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함.- 현재 수입 중인 한국산 니트패브릭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편
- 하지만 저렴한 가격대에서는 중국산 제품과 한국산 제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고 언급했으며, 현재 수입품과 같은 품질에 더 저렴한 직물이 있다면 거래의향이 있다고 밝힘.
□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ㅇ 전문 전시회 정보1
전시회명
2017년 칠레 양털·직물 엑스포(Expo Mundo Lana y Textil 2017)
전시품목
양털, 직물 등
개최국가·도시·장소
칠레, 산티아고, Casa Piedra(Av San Josemaría Escrivá de Balaguer 5600, Santiago, Vitacura, Región Metropolitana)
규모(참가업체 수)
70여 개 이상
개최기간
2017년 6월 9(금)~11일(일)
웹사이트
http://www.materiaprima.cl/2016/11/mundo-lana-textil-santiago/
ㅇ 전문 전시회 정보2
전시회명
제26회 칠레 원료품 전시회(XXVI Expo Materia Prima)
전시품목
직물, 세라믹, 목공예품, 수공예품, 미술용품 등
개최국가·도시·장소
칠레, 산티아고, Casa Piedra(Av San Josemaría Escrivá de Balaguer 5600, Santiago, Vitacura, Región Metropolitana)
규모(참가업체 수)
120여 개 이상
개최기간
2017년 10월 19(목)~22일(토)
웹사이트
http://www.materiaprima.cl/2016/11/xxvi-expo-materiaprima-santiago/
□ 시사점
ㅇ 니트패브릭은 '가격'에 매우 민감한 원자재로서 수입규모가 일정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는 않으나, 2014년 무관세 적용 이후 한국산 '염색가공된 니트패브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2016년 수입 규모 또한 급증함.
ㅇ 하지만 저가·대량생산된 중국 및 페루산 직물과 직접적으로 경쟁하기 어려우므로 맞춤형(Customized) 제품이나 '기능성'에 초점을 맞춘 고품질 직물을 통한 수요 창출 마케팅 필요
ㅇ 전문 전시회 참석해 현지 시장 트렌드 파악 및 현지 바이어들과의 접촉하길 권장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가자, 호주 프랜차이즈! (0) 2017.06.09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시장 확대 (0) 2017.06.09 UAE 표준측량청, 전자제품 관련 신규 라벨링 및 규제 도입 (0) 2017.06.09 카타르 온라인 유통망 고속 성장. 간접진출이 유리 (0) 2017.06.08 [유망] 칠레 폴리우레탄 시장동향 (0) 2017.06.08 페루-아시아 교역규모 5년 연속 증가 (0) 2017.06.08 [유망] 말레이시아,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 (0) 2017.06.08